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趙順愛-
dc.creator趙順愛-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4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48-
dc.description.abstract"예술의 영역이란 사람이 집을 지어야 되는 과정에서 재료와 그 활동, 걷잡을 수 없는 충동이 들때 생기는 마음의 세계, 그리고 그의 내적 존재를 구성하는 기계적인 과정등 이런 일들을 신중하게 컨트롤(control)하는 영역과 동질인 것이다." 가장 최초의 예술인 陶磁예술의 영역이 환경도예의 개념으로 확대된 것도 이러한 美를 차지하는 예술의 영역을 우리 환경의 美的 창작행위를 통하여 보다 入間化, 美化되는 방향으로 이끌기 위함이다. 環境이라는 공간의 개념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게된 陶藝가 현대미술의 새로운 양상인 陶藝벽장식의 출현으로 새로운 개념이 요구되게 되었다. 1983년 5월 우리나라에도 건축조항에 1% 규정이 의무화됨에 따라 최근 3~4年 사이 벽화제작이 더욱 활발해 졌으며 陶藝벽장식의 참여도 두드러지게 늘어나 陶藝벽장식의 현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本 硏究에서는 도예벽장식의 역사적 배경이 되는 타일(Tile),塼, 陶板등의 역사를 고찰해 보고, 2차대전 이후에 나타난 급속한 사회화, 도시화의 진행의 美的 환경 조성붐에 따른 도예벽장식중 우리나라와 우리와 가장 많은 문화교류가 있어온 美國, 日本의 도예벽장식 277점을 크게 平面型과 浮彫型으로 분류하고 모자이크型 평면타일型, 벽화型, 테라-코타型, 부조장식형으로 세분하여 장식기법, 표현양식등을 연구하였다. 현황 연구의 결과, 277점中 부조장식형 도예벽장식이 179점으로 64.6%, 모자이크型, 벽화型, 평면타일型, 테라-코타形 순으로 현대 도예벽장식은 부조장식형을 선호하는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평면형의 장식기법이 71%로 많았으며, 日本의 경우 건축과 도예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고, 美國을 비롯한 西洋의 심리적, 시각적 깊이까지 고려한 作品의 3차원 세계에로의 접근등의 현황도 알 수 있었다. 表現方法은 후기 현대 美術에서 戰後 최초의 대미술운동이었던 추상표현주의가 도예벽장식 표현에서도 32%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이며 사실적 表現이 26%, 기하학적 表現이 25%, 其他 17%의 분포를 보였다. 도예벽장식의 새로운 부각은 상징적 通語를 가능케 하는 상징적 측면과 다양한 공간감의 美學과 시, 촉각적인 부드러움의 특성을 지닌 심미적 측면, 실용성을 겸비한 실용적 측면, 사회적 욕구에 의한 공공미술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그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도예벽장식에 대한 앞으로의 방향은 壁에 대하여 종 더 遠위치 거리에서 공간과 유기적으로 결부시켜 표현하는 방법을 고찰해 보고, 정책적으로 활성화된 문화활동을 통하여 건축가, 실내장식가 등과의 적극적 연관 속에서 조금 더 전문적인 능력을 소지하여야만 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의 경우처럼 소수가 중심이 된 도예공방, 陶壁회사의 활발한 작품제작의 참여가 기대되며, 앞으로의 예술의 부흥과 대중의 美的 취향의 向上을 고취하는 陶藝벽장식의 활성화를 도모함이 바람직하겠다.;"The sphere of art is identical to the mental world sprung from uncontrollable impulse or theme material and the activity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hourse, and the sphere of controlling these works discreetly with the mechanical process that constitute its internal existences." Expanding the ceramic art sphere, the earlist art, to the environmental ceramic art means that this esthetic art sphere is to be leaded the more beautification and humanization through esthetic creative activity of our environment. The ceramic art which participate in the new spacial concept of the environment is called for new concept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ceramic ornament of wall as the new style of modern art. As our nation regulated the 1% obligation in the Archited Act in May of 1983, the mural construction has been more activated for recent 3-4 years and the participations in ceramic ornament of wall were increased remarkably. Based on these, the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ceramic ornament of wall of the one mural genre are needed. This study is to survey the history of tile, Jeon, ceramic slab(a kind of brick) which form the historical backgrounding of morden ceramic ornament of wall. And the 277 pieces of ceramic ornament of wall focusing on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due to creation of esthetic environment originated from rapid socialization, and urbanization after world war Ⅱ are classified in the ceramic ornament of wall style of mosaic, plane tile, terra cotta, mural, relif ornament, and the differences of ornament technique and expression style are to be studie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present condition, the style of relif ornament account to high percentage of 64.6(It’s pieces are 179 among entire 277 pieces). And these ceramic ornaments of wall are preferred in the order of terra cotta style, mural style, plane tile, and terra cotta style and it is indicated that the modern tendencies of ceramic ornament of wall prefer to the style of relif ornament. In our nations case, there are many ornament techniques of plane tile style, and in Japan the architecture and the ceramic art make good united efforts. Also in it’s present conditions, there is an approaches to the third demention of ceramic ornament of wall, considering the western world's mental and visual depth needed by united states. In the way of expression, the abstractionism that is the first art movement after war the later modern art account for the highest frequency of 32% in the ceramic ornament expression, and the percentage of the realistic expression is 26, geometrical expression is 25 and the rest is 17. The roles of new arisen art of ceramic ornament of wall are to be inquired, dividing them into the symbolic aspect which make possible the symbolic conversation, the esthetic aspect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and the tactile mildness and the esthetics of diverse concept of space, the aspect of public art due to the social desire and the realistic aspect combined with the practicality. Also, the direction of ceramic ornament of wall is organically expressed in relation to the space against wall from more original location. And in the ' matter of policy, more professional ability connected with the architect and the interior decorator in other spheres is demanded through the activated culture activity. Anticipating that the ceramic art workshops and the companies of ceramic ornament of wall centering around a small number woul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ceramic ornament of wall, the world of ceramic ornament of wall that seeks to not only renaissance of art but to improve public esthetic indination is to be acce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ⅹ Ⅰ. 序 論 = 1 A. 硏究의 動機 및 目的 = 1 B. 硏究의 범위 및 방법 = 2 Ⅱ. 陶藝벽장식의 역사적 배경 = 5 Ⅲ. 現代 陶藝벽장식의 현황과 분류 = 20 A. 現代 陶藝벽장식의 현황 = 20 B. 陶藝벽방식의 유형과 분류 = 29 Ⅳ. 陶藝벽장식의 역할 및 방향 = 73 A. 陶藝벽장식의 역할 = 73 B. 陶藝벽장식의 방향 = 80 Ⅴ. 結 論 = 85 參考文獻 = 114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437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도예-
dc.subject벽장식-
dc.subject장식기법-
dc.subject평면형-
dc.subject부조형-
dc.title현대 도예벽장식 현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modern ceramic ornament of wall-
dc.format.page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