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산의 이미지를 응용한 합의 형태 연구

Title
산의 이미지를 응용한 합의 형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lidded-container using image of mountain forms
Authors
김윤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Keywords
합의 형태도자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의 미적가치는 역사적 과정의 산물이며, 우리의 삶과 매우 밀접하고도 깊은 관계 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자연 환경은 인간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조형의식, 조형미의 기초가 된다. 특히 산이 많은 한국은 산이 한국인의 사고와 정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 산의 지형은 노년기 성으로 대부분 침식되어 산의 형세가 기복이 별로 없고 고원성 산지, 구릉형 산지, 화산지형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은 청산별곡에서 비세속적인 곳, 안식처, 은둔처로서의 장소로 나타나고, 단군신화에서는 신성한 곳, 숭고한 곳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금강산, 월출산, 설악산과 같은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산은 사람으로 하여금 경외감, 신비로움을 자아내기도 한다. 사람들은 대자연의 경치가 축소됐거나 자연의 형상과 닮은 것을 마당이나 집안 가까운 곳에 두고 감상한다. 이는 자연을 가까이 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나-우리의 정체성의 개념을 지형적 특성인 산에 관심을 갖고 정서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에 반영한 새로운 조형미를 추구하고자 한다. 합은 다른 공예품과 마찬가지로 생활양식, 역사, 미적 가치를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이며, 많은 효용가치를 가진 공예품이다. 이 합에 조형미를 더하였을 때 생활용기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식물로서도 가치를 가질 것이다. 즉 '합'이라는 생활용기를 접목시켜 산의 조형미를 표현하여 일상용기로도 사용 가능한 도자작품이 되도록 제작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 한국의 지형에서 산을 중심으로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고, 한국산의 지형적 특징과 산에서 받는 정신적인 면, 정서적인 면, 상징적인 면을 고찰하였다. 산의 지형을 주제로 표현한 한국작가들의 작품사례를 통하여 산을 통해 나타나는 조형미를 연구하였다. 산의 이미지를 갖는 형태가 생활에 있어서 어떠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과 함께 산의 형상과 합의 기능이 현대 생활에 어떻게 응용, 활용할 수 있는가를 느끼면서, 작품제작에 있어서 한국의 산인 금강산, 오대산, 지리산, 덕유산, 한라산, 설악산, 월출산, 북한산을 중심으로 산이 갖는 이미지를 합의 기능성에 접목시켜 '산의 형상을 가진 합'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의 성형방법으로는 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 물레성형, 핀칭, 코일링, 모델링 후 속파기 기법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물레성형기법과 핀칭을 함께 사용하거나 물레성형기법과 코일링, 혹은 이장주입성형과 핀칭을 함께 사용하여 작품을 만들었다. 이장주입용의 태토로는 실크소지를 사용하고, 물레 성형과 속파기, 코일링, 핀칭 기법은 청토, 백토, 산백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으로는 주로 투명유를 사용하였는데, 색은 대부분 투명유에 안료를 섞는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그 외에 던컨사에서 제작한 저화도 유약을 사용하거나 소지자체에 착색하는 방법, 표면에 색화장토를 바르는 방법, 이중시유 등도 사용하였다. 소성은 가스가마에서 환원염, 산화염, 혹은 전기가마에서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오대산을 표현한 작품에서 0.3㎥ 전기가마에서 12시간 동안 최고온도 1260℃에 초벌하고, 재벌은 저화도 유약을 바른 후 8시간 동안 최고온도 1000℃에서 산화염소성으로 하였다. 작품과 연구를 마무리지으면서 내린 결론은 '한국의 산'은 나-우리의 조형적 미와 의식을 반영하는 주제로써 첫째, 산의 형태와 지형이 갖는 특징에서 그의 정서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조형적 미를 찾고, 형상화 할 수 있었고 일상생활에 거대한 산을 끌어올 수 있었다. 둘째, 전통적인 합의 연구는 합을 현대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생활용기로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제작방법의 시도는 기법상의 형태적 한계를 극복하고 그 위에 작업에 있어 또 다른 조형미를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한국 산의 조형미를 찾는 과정을 통해서 그를 형상화하는데 의미와 가치가 있었다. 나아가서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도자예술 세계에서 한국의 조형미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갖고 작업에 임하였으면 한다.;The aesthetical appreciation in art is considered as a symbol of our historical progress. It is something that is closely related to us and it has also become deeply embedded in our lives. Furthermore, the source of inspiration for art has come from nature where we have learned to understand about form and structure. In this study, the formation of mountains, have been researched as a subject of inspiration to creative works in clay. The study has examined the mountains of Korea in particular. Through the many different mountain forms, it has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Korean mentality as well as its temperament. Most of the topography of Korean mountains can be divided into high, hilly, volcanic mountain ranges. They are moderately undulating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old and eroded. In Korea, the mountain Is referred to as a secluded, sublime green place for resting ones soul and in the Dan-Gun Myth of Korea, it is referred to as a holy place. Mountains with curious rock formations like the Sorak, Kum-Kang and Woul-Chool mountains portray a reverent and mystical feeling to people. People in general, like to recreate such natural phenomena in their own living environment. They do this by reflecting such an atmosphere in their gardens so that they can reminisce its beauty. People also long to live close to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looks upon such aspects of the human psyche and it endeavors to create a different form of art through the observation on different mountain formations. The study has used different mountain formations to be translated into different shapes of lidded-containers in crafts. This shape has been examined because It is one of the most basic forms in crafts that can be manipulated easily. It also reflects on the history and aesthetics of our tradition. The different formations in Korean mountains have been examined to understand the Korean psychology, symbolism and temperament. In addition to this, the study has examined the works of artists who have used mountain forms as their main source of inspiration. The images of Kum-Kang, Odae, Ji-Ri, Duk-Yoo, Halla, Sorak, Bukhan and Woul-Chool mountains have been used on the lidded-container. Here, great emphasis has been put on function since lidded-containers are used for many different purposes. The clay forms have been made using the slip-casting, wheel-throwing, pinching, coiling and modeling techniques in ceramics. Some of the techniques have been combined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Porcelain, celadon and white stoneware clay bodies have been used. Most of the pieces have been glazed with a transparent glaze. The glaze has been mixed with coloured slip in some of the pieces. Low-temperature Duncan glazes have also been used over coloured slips. The work was fired in both reduction and oxidation firings. The works expressing the Odae mountain were fired in a gas kiln. The first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1260℃ and the second firing reached 1000℃.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possible to understand oneself through the different forms of mountains. They explain the Korean temperament and aesthetical appreciation. The study has also experimented with the lidded-container form to fit the taste of this contemporary era. Different techniques in ceramics have been experimented with in order to create the effect that was desired by the maker. Through such experimentations, one has come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materials used for this subject. The study wishes to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 on Korean aesthe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