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百濟의 東城王 이후 社會變化에 대한 硏究

Title
百濟의 東城王 이후 社會變化에 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hanged Society since King Tong-Sung in Paekje
Authors
曺聖子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Keywords
백제동성왕사회변화백제후기사회백제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can be sai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city in the ancient society is regarded as the movement of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fields. In Paekje(百濟), is Capital, in the external sense, had to be transferred from Hansung(漢城) to Wung-jin(熊津). Due to internal resons, it had to face much political and social disorder. The main point which is emphasized in this thesis is that King Tong-Sung(東城王) who came to reign 6 years after the movement to Wungjin(熊津) as a starting point and its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King Tong-Sung began to mainfest his political leadership as a king when he strengthened the sovereign power as an absolute monarch. First of all by political the balance of powers between ruling classes he kept the political situation stable. As well, he renewed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While keeping peace with Silla(新羅) he made preparations against the invasion of Koguryeo(高句麗). Keeping abreast with the policy of strengtening the sovereign power, the political conditions in the latter period of Paekje(百濟) were greatly transfigured. Then all kinds of social systems assumed many different aspects, which caused a transfiguration both in the sense of exterior and the interior phases. The points of chang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Government systems were put in good order, and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 of government was established. The 6 Chwa-pyong(6佐平) centered upon the aristocratic class in the Hansung period were transfigured greatly. (2) As the regional system, the 5 Pang 5 Bu(5方5部) system, was put into practice ; centralization was to be affected. (3) New regional powers showed up on the political stage of the Capital in its contemporary Society as the large power group of 8 priority-surnames(大姓八族) evolved. (4) Buddhism put in an appearance as a systematic idea of the latter period of its society, becoming the base to strengthen the sovereign power by being taken up as an idea of the king's law, which would incur realistic benefits and national defence. Such changes were relied upon not only due to exterior reasons caused by the transfer of the Capital, but also the interior factors in the society of Paekje(百擴). The extended trade to China was one of the main reasons whv the changes had been brought about rapdily. Although the latter period of the society of Paekje (百濟) corresponded to the last period of Paekje(百濟) in the sense of time division: it can be said that the former period in our history means the transitional one in which all the factors of the ancient tribal system centered on royal family was removed, and the sovereign power of the absolute monarch came to appear on the scene.;高句麗의 南下政策에 밀려 불의의 遷都를 단행한 百濟社會는 큰 혼란을 노정시켰고,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는 단계에서 社會變化를 초래한 것이다. 혼란은 東城王으로 부터 수습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先學의 時代區分을 종합해 보았더니 古 王과 東城王이 時代區分의 기점으로 집약되었다. 이것은 東城王 이후의 百濟社會가 이전과는 크게 달라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本稿에서는 東城王 이후를 百濟後期社會라 하고 그 이후의 變化를 살펴 보았다. 百濟後期의 기점이 되는 東城王代에 나타나는 변화를 「三國史記」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첫째, 新進地方勢力인 沙氏 · 燕氏 · 草氏가 정치 무대의 요직을 점하고 있다. 둘째, 對中國 관계를 재개시켰다. 셋째 , 祭天記事가 소멸되 었다. 즉, 東城王은 新進地方勢力을 정치 무대에 등장시키면서 漢城時代의 支配貴族과 지배층의 세력 균형을 이룰 수 있었다. 이것은 對貴族統制力을 강화시킴으로써 王權强化를 모색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래서 강력한 王權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官制가 편제되었고, 이와 같은 官制整備는 종래의 政호冶組織인 6佐平體制를 변화시킨 것이다. 官制가 정비된 시기는 정확한 근거가 없어 명확하게 말할 수 없지만 대체로 東城王 末年이나 武寧王 初年으로 보고 있다. 그 근거로는 音加의 亂이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발생했다든가, 武寧王 이후 부터 백제 멸망까지의 佐平에 대한 기록에 모두 확실한 嘗職名이 없었다든가 하는 데 그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22部의 관료제 하에서는 貴族中心的인 6佐平 조직은 변화될 수 밖에 없다는 논리인 것이다. 佐平制가 변화됐다는 근거로 後期에 와서 佐平의 수가 많아졌다는 것도 그 하나의 근거가 된다. 한편, 佐平制의 변화와 官制의 정비는 「大雌八族」이 정치적인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되었다. 더 나아가 漢城時代 地方支配方式이 城과 村을 중심으로 한 地方自治的 형태였으나 이때에 와서 중앙과 직결된 「5方5部」로 편제함으로 중앙 집권을 꾀한 것이다. 聖王代에는 이와 같은 제도들이 보다 확실해졌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官制나 地方制度가 새롭게 정비되기 위해서는 古代社會의 氏族觀念에서 탈피해야 했으며, 祭天儀式의 소멸은 바로 夫餘族의 政浩的 思推槪念을 변질시켰다고 볼 수 있다. 즉 佛敎가 貴族과 王室의 보호를 받으면서 支配者 哲學으로 등장한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