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全美璟-
dc.creator全美璟-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2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0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4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015-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이 사물에 대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시각화하기 위한 노력은 현재까지 계속되어져 왔다. 물론 文字의 발명이 인류文明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해 주었는데 그것이 인간이 동물보다 우월하다고 할 수 있는 요소의 하나가 되었다. 古代 폐쇄적인 사회에서는 부족간에 아무런 불편없이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할 수 있었던 것이 거대하고 복잡한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종종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교통수단의 급격한 발달로 나라와 나라사이의 교류가 빈번해 짐에 따라 언어로만은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세계 공통의 관심사가 되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가 비쥬얼 사인 ( visual sign ) 을 적용하는 것이 라 하겠다. 文化가 다른 민족사이에도 원활히 커뮤니케이션 ( communication )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비쥬얼사인의 제작을 위해서는 단순한 감각적인 면과 형태의 조형성에서 그칠것이 아니라 그 곳에 포함되어져 있는 복합적인 요소들을 통합해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전개해 나감으로서 독자적인 기본 메시지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제 Ⅱ장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란 과연 무엇이며 그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이유와 古代로 부터 現代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발전되어 왔나를 살펴보았다. 또 형태를 지각함에 있어서 인간의 지각현상을 커뮤니케이션과 관련지워 간단히 서술하였다. 민속관광지 중 민속촌을 연구도구로 하였는 바 제 Ⅲ장에서는 관광객의 속성은 무엇이며 그들은 왜 관광을 하려 하는가, 즉 동기유발에 관하여 연구해 보았다. 또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민속관광지의 특성을 文字사용, 그림형태 등을 우리文化와 관련지워서 분석했으며, 잘못되었거나 시정되어야 할 현존 사인보드를 사진으로 제시하였다. 위의 이론적인 배경과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민속촌의 지리적·공간적·문화적인 면을 고려하여 조화를 이루며 사인이 지닌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visual communication system)을 설정하여 3가지 시안으로 분류, 단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전개하여 보았다. 비록 final 작품의 완성은 불가능했지만 앞으로 비쥬얼 디자인 워크 (visual design work )가 나아가야 할 과정과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Human beings have tried to give objects meaning and to visualize the meaning of them. Of course, the invention of letters, which has been essential to human civiliz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human being is superior to the animal. Although human beings were free to communicate each other in ancient closed society, those who live in gigantic and compount modern society, often feel the inconvenience in communications. As interchange between nations becomes frequent, communications by means of only language is very difficult. which becomes international common concerns. The war solving this problem is to apply VISUAL SIGN by figures. Especially, Korean Folk Village where not only domestic tourists but also foreign tourists visit frequently require Visual Sign System for smooth communications between races whose cultur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VISUAL SIGN SYSTEM, we establish the basic message of Korean Folk Village originally by deploying scientific and analytic design process by mixing the compound element contained in it. Therefore, in Chapter Ⅱ, the definition of mass communication, cause of mass communication's occurrence and how it has been developed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are described. Human being's perceptive phenomena in perceiving the shapes are described in relation with masscommunications. In Chapter Ⅱ , what the property of tourists is and why they want sightseeing, so to speak, motivation of it was studied. Characters of Korean folk-custom tourist resort were analyzed by relating letter-use and figure-form with Korean culture and existing signboards which are wrong and should be revised are suggested with photographs. Stepped-design process is pursuited by sorting them as three cases and by establishing visual communication system that accomplish fully the function of sign, and are harmonious with it by considering geographical, spacial and cultural points of Korean Folk Village on the basis of above 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sis. Although extraction of final works is impossible, procedures and directions of visual design works are sugges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1 Ⅰ. 서론 = 3 A. 연구의 목적 = 3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비쥬얼사인의 발달과정 = 6 B. 시각형태와 커뮤니케이션 = 10 Ⅲ. 한국민속촌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14 A. 관광의 의미와 관광객의 일반적 속성 = 14 B. 우리나라 민속관광지의 사인이 지녀야 할 조건 = 18 C. 한국민속촌 사인실태 및 개선을 위한 문제제기 = 21 Ⅳ. 한국민속촌의 커뮤니케이션의 플랜 = 33 A. 제작배경 = 33 B. 제작과정 = 39 Ⅴ. 결론 = 60 참고문헌 = 61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11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민속촌-
dc.subject민속관광지-
dc.subject사인보드-
dc.title한국 민속촌의 SIGN SYSTEM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ISUAL SIGN SYSTEM OF KOREAN FOLK VILLAGE : DESIGN PROCESS-
dc.format.page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