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수영-
dc.creator최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4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45-
dc.description.abstractImages are included within specific memories, which are typically generated by thoughts and speculations. In other words, one recalls and thinks of certain images through memories. Those images, which one observes, listens, feels, and thinks, remain somewhat automatically in one's memory by choice. A work of art can have its true meanings when it formalizes those memorized images, and when it is felt and aroused sympathy of its viewers. As such, a work of art, not created by certain pre-determined shapes or forms, but chosen among array of information within the artist's memory to freely express his/her experiences and ideas, becomes a final product that can be understood and sympathized by all. My works of art attempt to connect and express a broad and free forms of abstraction with the elements of formative arts by the process of abstraction that recollects certain memorized images in the past. Amid this process of visualizing what is not visible, it will not only reflect the unconsciousness, but will also produce clear form of images through imagination. I am particularly interested in exploring various possibilities of expression and unlimited boundaries of creation of images through memories. The memory, which plays the key role, is not simply a recreation of an object. It has a greater purpose of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long-term memories to visually express individual emotions and sensibilities. In other words, it is a recreation of the memory, which was originally formed by experiencing daily lives or looking at certain objects, by the artist's emotions. The essence of the formative arts is not just a conveyance of information, but rather, it is first to be seen then to be felt and sympathized. One can expect the emotional content of the expression of memorized images through the forms of abstraction to build new experiences and images by presenting new concepts and imaginations of the outside world.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in order to discuss the visual expression of memorized images by utilizing the forms of abstrac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orms of memory and abstraction is further elaborated. First, the concept and the process of memories from the aspect of cognitive psychology are analyzed. Second, through various visual sensations, emotions, and images, the memories and the images are further studied. Thir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s of abstraction, with its meanings and examples are introduced. Furthermore, by addressing specific examples of completed artwork of visual expressions of memorized images that have been presented in the art histo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of abstraction and the memorized images are organized. In chapter Ⅲ, with above-mentioned theoretical approaches as background, the unfolding of the final work, the intention of such work, the content of emotions through various design elements such as line, shape, texture, overlapping, and color, and the process of turning a certain form or shape into an abstracted image. Everyone has elements of experiences in one's memories, and when it is stimulated, one can have the most direct emotional effect. With that assumed, for the purpose of visual expression of this particular study, personal and subjective experiences were cast as background, and certain time and space were set to create desired images. During this process, one can observe the forms of abstraction, which is an extraction of emotions, senses, and an expression of new image. By explaining what to be made into abstract image from past memories, one can understand the semantic and formative effect that functions in the acts of communication. When turning invisible elements such as emotions and sounds into certain images,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memorized images, it naturally brings out the inner parts of the world that undergoes the stage of abstraction to create a new concept. Therefore, by utilizing these concepts, one can not only effectively visualize various forms of abstraction, but also can fulfill the purpose of conveying different emotions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s of memorized images, creating fascinating new shapes of images, and finally broadening the world of expressions.;사고는 기억을 사용하며, 그 기억속에는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기억을 통해 생각하고 이미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외부환경에서 보고, 듣고, 느끼며 생각한 것은 선택적으로 기억 속 이미지로 남게 된다. 예술작품은 이를 형상화하며, 그것이 감상자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킬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예술작품은 이미 입력되어져 있는 기억속의 정보들이 선택되어, 정해진 틀에 의한 구성이 아닌 작가의 체험과 사고에 의한 자유로운 표현이며, 모두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결정체라 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은 과거의 특정한 기억이미지들을 상기시키는 추상과정을 통해 폭넓고 자유로운 추상형태들을 조형요소와 연결시켜 표현하고자 한다. 이는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적으로 드러내 보이는 과정 속에서 무의식을 반영하기도, 상상력을 통해 투영적 이미지를 생산해 내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기억을 통한 무한한 창조의 영역과 표현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기억은 단순한 대상의 재현이 아닌 개인의 감정과 정서를 더하는 심리적인 장기기억에 비중을 두며, 감성의 시각표현이라는 목적을 가진다. 즉, 사물을 보거나 일상을 통해 형성된 기억은 작가의 감정과 정서에 의해 창조되어지는 것이다. 조형예술은 읽혀지는 정보의 전달이 아닌 일차적으로 보여지는 것이며 느끼는 것이다. 추상형태를 통한 기억이미지의 표현이 주는 감성내용은 작가와 감상자로 하여금 외부세계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상상은 물론 새로운 경험과 이미지를 만들어 낼 것이라 기대한다. 본 논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추상형태를 활용한 기억이미지의 시각표현을 논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기억과 추상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먼저 인지 심리학적 측면에서 기억의 개념과 과정을 살펴보고, 시지각, 감정과 정서, 이미지를 통해 기억과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고, 다음으로 추상형태의 개념과 특성, 의미와 함께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억이미지의 시각표현을 미술사조에 나타난 작품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추상형태와 기억이미지의 관계를 정리해보았다. 위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작품의 전개 및 제작의도를 밝히고, 선(line), 형(shape), 텍스쳐(texture), 중첩(overlapping), 색채(color)등의 디자인 요소 (design elements)를 통한 감성내용과 그 형상성을 추상화하는 등의 제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리 모두는 기억속에 가지고 있는 경험요소가 있고, 그것이 자극될 때 가장 직접적인 감성효과를 누리게 되는데 이에 본 연구의 시각표현을 위해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하며, 특정한 시간과 공간을 설정하여 이미지를 추출, 창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추상형태가 나타나는데 이는 곧, 감정과 정서의 추출이며, 새로운 이미지의 표현이다. 본인의 기억 속에서 무엇을 추상 해 낸 것인가에 대한 개념을 설명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작용하는 의미론적 조형효과를 고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가 기억이미지의 표상을 위해 감정이나 소리와 같은 비가시적인 것을 이미지화 할 때 이는 자연스럽게 내면세계를 불러일으켜 추상 과정을 거치게 되며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들은 추상형태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가시화 할 수 있고. 기억이미지의 시각표현을 통해 감성내용의 전달이라는 목적과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창조에 흥미를 느끼며, 작품의 표현세계를 확대시킬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Ⅱ. 표현의 이론적 배경 = 4 A. 기억과 이미지 = 4 1. 기억의 개념과 과정 = 4 2. 시지각 (시각정보의 기억) = 7 3. 감정과 정서 (심리적 기억) = 8 4. 이미지 = 9 B. 추상(抽象)형태 = 11 1. 개념과 형성배경 = 12 2. 추상형태의 특성 = 14 3. 추상형태의 의미 작용과 효과 = 18 C. 작품사례를 통한 표현 탐구 = 20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22 A. 제작의도 = 22 B. 제작전개 및 과정 = 23 C. 작품분석 = 26 Ⅳ. 결론 = 40 참고문헌 = 48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743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추상형태-
dc.subject기억이미지-
dc.subject시각표현-
dc.subjectVisual expression-
dc.title추상형태를 활용한 기억이미지의 시각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memorized images by utilizing the form of abstraction-
dc.format.pageviii,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