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전략 지도

Title
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전략 지도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of Teaching Communicative Strategie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Authors
윤희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초등학교영어 수업의사소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n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use English with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ir daily lives by developing their basic communicative abilities.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train elementary students with communicative strategies to solve communicative problems that are caused by their own interlocutors' or their own lack of vocabulary or grammar knowledge, to see whether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are helpful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and what problems would occur during the training course. The analysis of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linguistic factors and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by trained communicative strategies were done to find out whether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are helpful in learning a language. This study focused on circumlocution, word coinage and approximation strategy amo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To improve the student's strategy competence, a circumlocution game was used as a main training method. The overall classroom activities are as follows: Before the circumlocution game, preparing activities for it, listening to teacher's explanation and guessing what the word is and twenty questions were done in the classroom. After the circumlocution game, appropriate communicative activities were assigned to give them the experience in solving communicative problems through trained communicative strategies. The circumlocution game is a game in which a student explains Korean words, provided by a teacher, iii English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to make the other students guess what they are. Through the game, the students learned how to explain the words, which they don't know or interlocutors can't understand, more easily. The other communicative activities include storytelling about what they've read, speaking about a given animation and describing a given picture in English. This researcher implemented the study in accordance with action research which enables a researcher to discover, to look back on, to contemplate on and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his or her teaching to improve professional action. before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had tried to let the students communicate for themselves by using various assignments but they had hesitated to speak and had even been frustrated and intimidated by a word or grammar they did not know. In such case, they were trained with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to help solve the problem and after training, the changes were reviewed. To collect inform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wrote a teacher's diary after each class, selected 13 students as a focal research group, recorded, and dictated their speaking; also the students wrote a learning log after each class. Furthermore, they gave feedback through the internet community, and after training,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oroughly. The results in analy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re as follows. First, after teach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in the cognitive perspective, trained students' cognitive flexibility increased so that they would not give up communicative words or grammar that they did not know in conveying their intention. In addition, they realized that communication is a process where they should speak differently in accordance to the interlocutor's language level and cultural background. Though they were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y came to know and understand clearly w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ve strategies is and when they would use the strategies. Second, in terms of affectiveness, inhibition to speaking decreased, but confidence of speaking and risk taking tendency of not giving up trying what they thought was difficult, increased.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and inner motivation increased as well. Third, in the linguistic perspective, after training, when communicative problems occurred during communicative activities, they solved the problems for themselves by us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learned to succeed in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ability to express words indirectly through the circumlocution game and vocabulary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training in class. In addition, the length of sentences they speak became longer and there was one student whose grammatical accuracy was improved. Finally, the problems which occurred during training were as follows. During the circumlocution game, they used the circumlocution strategy with the contents that only Koreans or their classmates could understand; this does not follow the original purpose of practically using circumlocution in conversation with foreigners. Furthermore, a student who heard these words spoken mentioned that foreigners might not understand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he would use. There was also a student who had not been improving speaking fluently in complete sentences because she succeeded in communication simply by listing words and explaining them repeatedly. Because much time was spent on students' speaking, they would mimic their friends incorrect speaking, and a student was found to be frightened with the idea that his expression was wrong in spite of his correct expressions. Further research on the metho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found that in this research it would be desirable to teach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more effectively. In conclusion, train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was beneficial to the students' in learning a language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linguistic aspects even 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in train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It enabled them to solve communicative problems for themselves by using communicative strategies in real communicative conditions. To help teachers who intend to train communicative strategies, the effective method of communicative strategies training is suggested in accordance to the researcher's experiences. This research proposes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for even elementary students of low language proficiency to solve communicative problems for themselves so that they may have experience in succeeding in communication. Continuing studies on the method of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training should be done to contribute to the students' language learning.;제7차 초등영어교육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교육부, 199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학생 자신이나 상대방의 어휘력 또는 문법적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의사소통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4개월 동안 의사소통 전략을 훈련하고 의사소통 전략 훈련이 실제로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가와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하는 과정 속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를 연구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은 우회적 표현 전략, 신조어 전략, 근접한 표현 전략이다. 이러한 의사소통 전략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기 위해 우회적 표현 게임을 주요 훈련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전체적인 수업 활동은 다음과 같다.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하기 전에 이에 대한 준비활동으로 단어 추측하기, 스무고개 등의 활동을 하였고 우회적 표현 게임으로 의사소통 전략들을 훈련한 후에 의사소통 맥락 안에서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을 실제로 사용하여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해 그에 알맞은 의사소통 활동을 과업으로 주었다. 본 연구는 자신의 교수활동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자신의 교수활동을 되돌아보고 숙고하며 고찰하여 자신의 교수활동을 발전시키는 의미를 가지는 현장 개선 연구(action research)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교사인 연구자는 매 수업 후에 교사일지를 작성하였고, 집중 연구 집단 13명을 선택하여 의사소통 전략 관련 수업 때 그들의 발화를 녹음하고 전사하였으며 집중 연구 집단 학생들은 매 수업이 끝난 후에 학습일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인터넷 게시판을 활용하여 학생들로부터 여러 가지 피드백을 받았고 훈련이 끝난 후에 집중 연구 집단 학생 13명과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한 후에 학생들은 인지적 측면에서 인지직 유연성이 증가하여 자신이 모르는 단어나 문법이 있어도 그것에 대한 대안을 생각해 내어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의사소통이 상대방의 언어 수준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말해야 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면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깨닫게 되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학생들은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의 개념을 이해하게 되었고 어떤 상황에서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둘째, 정의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말하기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하였고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자신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발화도 포기하지 않고 시도하는 모험 시도의 경향도 증가하였다. 아울러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였고 영어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가 생겼다. 셋째, 영어 능숙도 측면에서 학생들은 의사소통 전략 훈련 후에 의사소통 활동을 하는 도중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했을 때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을 통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여 의사소통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어휘력이 향상되었고 단어를 더욱 효과적으로 우회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아울러 학생들이 발화하는 문장 길이가 늘어났으며 문법적 정확성을 자연스럽게 습득한 학생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전략 훈련과정 중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하는 도중 학생들은 한국 사람이나 자신의 학급 학생들만 이해할 수 집단 코드를 빈번히 사용하였다. 둘째,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하면서 문장을 만들지 않고 단어만을 나열하고 반복하여 설명하여도 의사소통에 성공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한 후 문장을 만들어 유창하게 발화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지 못한 학생도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주로 발화하는 시간이 많았기 때문에 동료 집단의 바람직하지 않은 발화도 쉽게 모방하여 사용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넷째, 오류 수정 없이 학생들끼리 발화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이 정확하지 않는 발화를 하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불안감을 보인 학생도 있었다. 다섯째, 너무 큰 영어 능숙도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의사소통에 실패함으로써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학생도 있었다. 이렇게 발견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뤄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다.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결론적으로 의사소통 전략 훈련은 학생들 언어 학습의 인지적, 정의적, 영어 능숙도 측면에 여러 가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이 연구를 통해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하려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연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훈련 방법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 능숙도가 높지 않은 초등학생 수준의 학생들에게도 스스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 봄으로써 의사소통에 성공하는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의 언어 학습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도 의사소통 전략 훈련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되어 의사소통 전략 훈련이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