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총체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 방안

Title
총체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field experience for whole language education of korean
Authors
안윤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한국학한국어한국어 교육현장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도 그 이론과 방법면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그 필요성에 비해 실시 결과의 긍정적인 효과는 확신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 이유는 이론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로 꾸준히 이루어졌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취지에서 출발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문화교육의 방법론은 현장학습이다. 현장학습은 학습자가 목표 언어 사회에서 실제로 경험하면서 언어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익한 문화 교육의 방법이다. 특히 국내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한국문화에 친숙해 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의 현장학습은 현황 조사를 통해 볼 때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독립된 문화 수업으로 견학이나 관람 위주의 학습인 경우가 많았다. 현장학습은 학습자에게 목표 언어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고 교사와 학습자, 지역사회가 유대감을 형성해 후의 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실 학습의 내용을 실제 환경에서 사용하고 그 과정에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언어 기능을 연습할 수 있으며 실재 자료를 접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현장학습의 장점은 최근 총체적 언어교육의 원리로 해석될 수 있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현장학습을 수동적인 현장견학의 개념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통합 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으로 총체적 언어교육을 제의한다. 총체적 언어교육은 언어교육에서 통합성을 강조하고 학습자의 의미 있는 언어 사용을 권장하는 등 여러 가지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는 주요 외국어에 비해 보급률이 낮은 한국어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고는 총체적 언어교육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총체적 언어교육의 원리를 네 가지 측면의 통합성으로 정리한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각 통합성은 언어적 측면의 통합, 언어 기능적 측면의 통합, 교수-학습 내용적 측면의 통합, 교육 인적 측면의 통합으로 그 구현 가능성을 현장학습을 통해 찾을 수 있다. 총체적 언어교육의 원리를 고려할 때 기존 한국어 현장학습에서는 교수-학습 내용의 통합 측면에 개선의 여지가 많았으므로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 중점을 두고 기술되었다. 본래 총체적 언어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내용의 통합은 교과간 통합을 의미하나 본고의 대상인 일반적 목적(general purpose)의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특정한 교과목이 없으므로 문화가 교수-학습 내용에 해당될 것이다. 따라서 먼저 교수-학습 내용의 통합을 언어와 문화의 통합으로 논하고 총체적 한국어 현장 학습을 위해 문화 교육의 내용 구성과 그 구체적인 방향을 논의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장학습을 위한 문화 내용은 성취문화 뿐 아니라 언어, 생활양식, 가치관, 제도, 지리, 역사 등 다양한 내용의 범주가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다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해 문화 내용이 선정되고 이에 따라 장소가 선정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문화의 정형화된 모습보다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다양한 문화의 변화와 형태에 학습의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방향을 토대로 본고는 총체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의 교수-학습 내용간 통합을 위해 한국어 수업의 내용이 되는 교재를 통해 그 가능성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대상 교재에 나타난 문화 내용과 연계 가능한 현장학습 장소, 교재에 기초해 통합 가능한 문화와 언어 내용 및 활동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총체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은 네 가지 측면의 통합성이 상호작용하므로 체계적인 과정이 필요하며 본고는 그 방법론으로써 프로젝트를 적용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계획과 준비, 수행, 평가의 체계적인 단계를 두고 각 과정에서 총체적 언어교육의 원리가 실현되는 현장학습의 과정을 살핀다. 마지막으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실제 현장학습 교수-학습안을 구성하고 이를 실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를 제시한다. 현장학습을 위해 3차 적용이 있었으며 각 적용은 학습 구성안과 학습자의 상황에 따라 내용과 활동 면에서 그 성격을 달리한다. 따라서 각 적용의 내용과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현장학습 발전 가능성을 제안해 본다.;Nowadays Culture learning is regarded as a essential part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has been constantly developing in various fields of theories and teaching method, what is more, recent studies and books show a great interest in culture learning. However, the concrete study about culture learning leaves much to be desired. It is difficult for foreigners to learn Korean with English teaching method or materials’s adapting. There are many reasons that Korean is not an universal language to foreigner and has a different system compared with their language. So Korean is worth due consideration about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 approach that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for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s Whole Language that has been generally known as a theory and practice for integration. Whole language is abstract and complicated in giving a definition, nevertheless, there are fundamental principles to put the theory in practice. These principles are integration of 4 language skills, collaboration and actuality with a focus on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discovering these whole language’s possibility in Korean culture education, especially in field experience. This study focused on field experience that is generally performed as a culture learning in the Korean education facilities. However, field experience in Korean has a tendency to field trip that makes language learner be passive in activity. Field experience has various merit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reason that this study has a attention to field experience is merits that has a lot of implication to practice whole language in Korean. First of all, Korean learners have a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from the field experience, so they can be a active learner in many activities. Second, the field is a real world where learners could communicate with native speakers of Korean. Third, leaners have a integration in language and language practice. Finally, learners, teachers and community could be cooperative to do task or project in process of field experience. Before giving a concrete field learning example, there could be set something forth as a premise about the content’s construction for culture education in Korean.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has to integrate language and culture because these cannot be separated into two parts. For this, field experience has a connection with classroom learning that can help learner to act with confidence and usefulness for language learning. This is one of the whole language proposals and necessity for changing the passive field experience learning. Considering these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inside and outside classroom, this study suggests some possibilities by Korean language book that is the base for language learning, moreover, have many contents of language and culture. Finally, based on the points previously stated, this study give syllabuses and learner’s productions. The field experience in Korean had been accomplished 3 times, which habe different situations in learner’s needs and language competence. As the result of application for field experience,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for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