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연지-
dc.creator손연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4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90-
dc.description.abstractHuman beings by nature has the ability to create. The world which surrounds us provides ample imagination and room for creation. However we choose what is most familiar and appealing to us through our different experiences. The modem times have enabled us to long for nature more than we ever have in the past, particularly with all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Nature is our fundament and our base. Therefore our urge to survive and relate to life is greater than ever. In plants, we see this urge but with all the hustle and bustle of these modern times, it has become completely ignored in our lives. When we look at fruit bearing plants, their will to survive is strongly felt and they carry on spreading the fruit. The shapes of the fruits are interesting on their on, however their energy is also very dynamic.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is energy and the clay works have incorporated this as part of the whole form. Clay is a very diverse medium and many different expressions can be translated easily with it. Its character changes depending on the subject chosen to be expressed. Fruit shapes of the Poplar Tree, Pine Tree, Primrose, in addition to others, have been examined to create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forms in clay. The forms have been created with oblique lines and asymmetrical transformations to add a sense of movement. The slip-casting, press-moulding and the pinching methods have been used to make the forms. The white clay body was used to give a clean and simple feel to the work. The work was first fired in a 0.5㎥ gas kiln for 8 hours to a temperature of 850℃. Coloured galzes were used to cover the exterior of the forms and the interiors were glazed with a transparent glaze. The glaze was brushed on. The second glaze firing was done in the same kiln to a temperature of 1260℃, oxidized. Some of them were fired to 1280℃ for 12 hours in a reduction fling. Clay, as a medium, enabled the creation of still and rhythmic forms. Also, it allowed a subjective expression to be shown effectively due to its diversity. This study has encouraged many different possibilities in terms of expressions. It will provide the basis for future develops in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nature.;인간은 창작 의지를 지니고 있으며, 주위의 다양한 소재들은 예술가가 접하여온 경험에 의해 여러 가지 형상으로 표현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은 자연을 근원으로 하고 있으며 자연과 더불어 살고싶은 욕구와 함께 산업화된 현대 문명의 혼란상황 속에서도 기계화 되어가는 주위환경이 예술가들로 하여금 자연을 소재로 하여 형상화하고 표현하게 한다. 인간은 생명에 관한 욕망과 동경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곁에 늘 함께 있지만 바쁘게 움직이는 일상생활 속에서 무심히 바라보고 지나침으로써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식물의 신비롭고 다양한 모습에서 강한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결실로만 여겨지던 열매는 생태 보존을 위해 또 다른 결실을 맺게하는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열매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히 형태변화에서 보여지는 시각적인 생명력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흐르고 있는 에너지에 의한 움직임을 주관적인 연구자의 심성을 통해 도자의 기능적 특성을 살려 아름답게 표현하여 생활의 활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형 활동에 있어서 같은 소재라 하더라도 재료의 선택에 따라 창작물의 특성과 효과는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 열매의 생명력을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점토를 이용한 작업은 형태를 풍부하게 한다. 대량 생산으로 인한 획일적이고 기능성 위주의 디자인에 싫증을 느끼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소규모로 제작되는 수공예품은 생활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고 있다. 산업화된 현대문명의 생활 속에서 우리의 마음을 부드럽게 순화시켜 주는 공예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열매가 지니는 구조와 종류에 대해 고찰하였고 열매가 지니는 생명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작품 표현에 관한 근거제시로 열매를 소재로 다룬 다른 작가들의 조형사례를 수집하여 표현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작품의 제작에 있어서는 무심히 지나쳐버리기 쉬운 미류나무, 소나무, 달맞이꽃 등의 열매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사선과 비대칭을 사용하여 운동감을 강조하였다. 형태의 정밀성과 반복제작이 용이한 석고틀을 이용하여 이장 주입성형을 하였고 자연스러움을 더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핀칭을 병행하였다. 태토는 성형과 백색도가 우수하여 용기로 사용시 청결함을 느낄 수 있고 형태 유지에 적합한 특성을 지니는 실크 화이트 소지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대부분 색유를 사용하였고 기의 내부는 투명유로 시유하며 열매라는 소재의 자연미를 살려주기 위해 붓을 사용하여 시유하였다.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850℃까지 8시간동안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1260℃까지 9시간동안의 산화소성과 1280℃까지 12시간동안의 환원소성을 하였다. 흙을 매체로 열매의 생명력은 동적인 움직임이나 정적인 움직임을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고 하나의 소재로도 연구자의 감성과 심성에 따라 작품이 갖는 의미는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연물에 더욱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게 된다면 다양하고 창조적인 표현을 위한 작업에 발전 가능성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본론 = 3 2.1 열매의 생명력과 종류 = 3 2.1.1 열매의 생명력 = 3 2.1.2 열매의 종류 = 7 2.2 생활속의 공예 = 10 2.3 열매의 형태를 응용한 예술작품 사례 = 12 3. 작품 제작 및 해설 = 22 3.1 디자인 과정 = 22 3.2 제작과정 = 35 3.3 작품해설 = 39 4. 결론 = 59 참고문헌 = 61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75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열매-
dc.subject생명력-
dc.subject도자디자인-
dc.title열매의 생명력을 응용한 도자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ruit Bearing Plants as a Form of Expression in Ceramic Art-
dc.format.pagex, 6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