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7 Download: 0

영어와 모국어 사용 정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불안과 학업 성취도 연구

Title
영어와 모국어 사용 정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불안과 학업 성취도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Students' Anxiety and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Teacher's Use of English and Korean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
Authors
박은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영어모국어학업 성취도학습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eaching in English on the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xiety and achievement in understanding.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using English in class: the control group, mainly in Korean; experimental group I, mainly in English but in Korean by students' request; an experimental group Ⅱ, only in English. The experiments, which were held for the three groups for 30 English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which was designed by Horwitz, Horwitz, and Cope (19861,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foreign language anxiety that each group of students underwent in their class. In this experiment, the level of anxiety of experimental group Ⅱ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s of the control/experimental-I groups. In addition, the level of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Ⅱ was increased while the levels of other groups decreased. It shows that teaching mainly in English cause student high anxiety in class. Second, teachers' observation note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mpare foreign language anxiety in each group.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students in both experimental groups(I/Ⅱ) showed a high level of anxiety in understanding teacher's direction in a class especially when the teacher's direction includes numbers in English. Also, they got more nervous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 teacher asked some comprehension questions and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anxiety as the teacher spoke faster or longer sentences. In their English classes,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I and Ⅱ kept a higher level of anxiet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In the grammar sectio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understood the basic form and concept well but weren't sure how they worked in a sentence while the ones in experimental group Ⅱ did the reverse. This may be shown because the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require more careful explanation from teachers and a deeper understanding of students than other sections of class. In these sections, the use of mother tongue is definitely needed. Students have to learn the basic form and concept of grammar with the help of a mother tongue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However, students have to be exposed to the example sentences in English which show a grammar form works in a senten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listening achievement but not in reading achievement. In listening, the achievements of both experimental groups (I/Ⅱ)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shows that teaching in Englis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listening skills of students. The relatively high achievement of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 in reading suggests that teaching in Korean could be helpful for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To find the anxious situations the students of each group underwen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LCAS item and the listening/reading scores was considered. As a result,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peech anxiety and test anxiety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of the control group anxiety. Speech anxiety and test anxiety were considered to be the main factors of experimental group I There was no specific factor to explain the anxiety of experimental group Ⅱ but it appeared that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Ⅱ got higher achievement in reading when they got more tension about understanding the teacher's directions and error corrections.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the students instructed in Korean show less anxiety but have various anxiety factors because of the lack of experience in many anxious situations. Consequently, the English use of a teacher in an English class appears to be helpful for the students' achievement in listening. However, instructions only in English can cause a high level of anxiety of the students.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use English with a mother tongue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and lower the level of students' anxiety especially when he or she starts to use English in a class and teaches reading, writing and grammar. Also, considering the students' anxiety factors such as speech anxiety and test anxiety, the teacher should try to think about the less anxious speaking activity such as group or pair work and be careful when he or she corrects students' errors in a class.;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를 사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불안심리에 미치는 영향과 이해영역인 듣기와 읽기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학생들은 우리말로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 영어를 기본적인 교수언어로 사용하되 학생들의 요구에 의해 우리말을 병행하여 사용한 실험집단 Ⅰ, 영어만으로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 Ⅱ로 나뉘어졌다. 총 30차시의 실험을 진행한 결과 첫째, 실험집단 Ⅱ의 불안심리는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Horwitz, Horwitz와 Cope, 1986)로 측정하였을 때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Ⅰ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Ⅰ의 불안심리는 사전에 측정한 것보다 낮았으나 실험집단 Ⅱ는 사전보다 높은 불안심리를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영어로만 수업을 진행한 것이 영어수업에 대한 높은 불안심리로 이어졌음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둘째, 교사의 관찰일지와 면담, 설문지 분석을 통한 각 집단 학생들의 영어수업에 대한 불안심리 비교에서 실험집단 Ⅰ, Ⅱ는 실험 초기에 교사의 영어로 된 지시어 사용, 특히 숫자와 관련된 발화에 대하여 높은 불안을 느꼈다. 또한 실험집단 Ⅰ, Ⅱ의 학습자들은 교사의 발화속도가 빨라지거나 발화문장이 길어지는 데 대하여 불안을 느끼고 긴장하였다. 언어영역별 수업에 있어서도 실험집단 Ⅰ, Ⅱ의 학습자들은 읽기영역과 쓰기영역에서 통제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불안심리를 더 느꼈다. 문법영역 수업의 경우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은 문법표현의 기본 형태와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쓰임에 대해서는 확신을 갖지 못한 반면, 실험집단 Ⅱ의 학습자들은 문법표현의 기본형태와 개념에 대해서는 잘 인식하지 못하였으나 그것의 구체적인 쓰임에 대해서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설명이 많이 필요하고 학습자들의 깊은 이해가 요구되는 읽기, 쓰기 영역에서는 교사의 우리말 사용이 불가피함을 보여준다. 또한 문법영역의 수업에서 학생들이 문법 표현의 구체적인 쓰임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실제 영어로 사용된 문법 문장들에 노출되는 것이 필요하며, 기본 개념과 형태 인식을 위해서는 우리말을 사용하는 젓이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각 집단간 이해영역인 듣기, 읽기에서의 학업 성취도 비교에서 듣기에서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읽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듣기 학업성취도에서 실험집단 Ⅰ, Ⅱ 학습자들의 성취도는 통제집단의 성취도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수업시간 내 영어입력이 많았던 실험집단 Ⅰ, Ⅱ의 학습자들이 통제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듣기에서 더욱 많은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다. 읽기 학업성취도에서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한국어를 더 많이 사용한 집단일수록 사후 읽기 점수가 높게 나와 학생들의 이해 능력 향상에 우리말 설명이 도움이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각 집단이 불안을 느끼는 상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후 FLCAS의 각 문항과 듣기, 읽기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 말하기에 대한 불안,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통제집단의 불안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말하기 불안과 평가 불안이 실험집단 Ⅰ의 불안요인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Ⅱ를 설명하는 특정 요인은 없었으나 학습자들이 교사의 지시와 오류 정정을 이해하기 위해 긴장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국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집단일수록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Ⅰ에 제시된 불안요인 이외에 더 다양한 요인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교사의 영어 사용과 같은 특정 불안상황에 대한 경험이 없었던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영어 사용은 듣기영역의 학습 면에서 학생들에게 유용한 입력 자료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영어만을 사용할 경우 학생들의 외국어학습 불안이 높아지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불안을 낮추기 위해 우리말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영어를 사용하여 진행하는 수업의 초기와 읽기, 쓰기, 문법영역의 수업에 있어서는 교사가 우리말을 병행하는 것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더욱 효과적이며 학생들의 불안 또한 낮출 수 있다. 교사는 또한 학생들이 외국어 수업에서 느끼는 말하기 불안, 평가불안과 같은 상황적 불안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말하기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집단 활동이나 짝 활동을 고안하고, 학생들이 수행 시 저지르는 오류에 대해 정정할 때에도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