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데 스틸의 조형원리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Title
데 스틸의 조형원리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Harmonization between De Stijl's Formative Factors and Postmodernism's Structural Factors in Textile Design
Authors
최정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데 스틸조형원리포스트모더니즘텍스타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launch of Postmodernism in the 1960s watered the thirst of popular culture and shattered the disapproving views. Diverse formalities flourished and coexisted in this period. This illustrates the borderless movement between art and design. After World War Ⅱ, many artist groups influenced by 20^(th) century Postmodernism searched for values in their day-to-day life. De Stijl, Consrtuctivism, Orphism, and Pop Art are examples. Pluralistic postmodernism influenced the waves of design. Fine art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esign formalities. As a result, creative design concepts required thorough knowledge of the art trend. This study focus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deology of De Stijl and Postmodernism.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xpressions is elaborated. Expressions included are horizontal and vertical, black and white, and the three primary colors. The research was centered on the idea of harmony. Harmony is the objective of De Stijl. Horizontal and vertical motive was chosen to express the naturalism of formative arts. Second, research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postmodernism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movement. Postmodernism's influence not only has strengthened the value of design and popular culture but also has proved the tie between art and design bears ample value. Third, based on the previously discussed cultural backgrounds, harmonization between De Stijl's vertical and horizontal expressions and postmodernism's structure is shown in the works. The researcher's work is largely segmented into three groups. First, De Stijl's formative arts, vertical and horizontal, expressed the artistic values of four-sided figures. Second, Harmonious expressions of De Stijl's were chosen as the objective. Systematic combin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created four-sided figures thereby expressing 'machine aesthetic'. To reflect today's environmental issues, like natural leaves have been chosen as the motive to convey the message, 'return to nature'. This experimentation was implemented within the doors of postmodernism structure. The last group chose to use leaves as a motive to express the structure of 'grid' and naturalism. The last group largely focused on the researcher's liberated ideas.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sourcing designs within the boundaries of art trends. It is concluded that cultural concept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by adding value and creativity. The research largely concentrated on the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concepts and textile design. The researcher's future research subjects include developing specific applications for various types of textile design.;6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더니즘의 출현으로 예술은 대중적이길 원하게 되고 대중적인 디자인은 더 이상 저급 문화라고 간주할 수 없게 되었다. 양식의 자유로운 공존과 더불어 모든 창작 행위의 영역간의 수렴현상 역시 이 시대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예술과 디자인 영역의 구분이 적어졌다는 것을 의미 한다 제 2차 세계대전 후에 데 스틸(De Still), 러시아 구성주의(Construtivism), 오르피즘(Orphism), 팝 아트(Pop Art)등의 조형 작가들 또는 그 영향을 입은 현대 디자이너들은 일상생활에서 예술의 가치를 형성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20 세기 말 사회전반에 걸쳐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 사상에 기초하여 진행 되었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다원화 현상으로 현대 디자인은 예술의 흐름과 깊은 관련을 맺게 된다. 즉, 순수예술이 추구하는 철학은 디자인 양식의 발전에 많은 영감을 주게 된 것이다. 컨셉(Concept)있는 독창적인 디자인에 대한 기대는 디자이너에게 학문적인 지식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디자인을 한 단계 성숙시킨 데 스틸 운돌과 포스트모더니슴을 기초로 데 스틸(De stijl) 운동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연구하고 이 양식의 조형언어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21세기 세계 보편성에 바탕을 둔 텍스타일 디자인을 계획한다.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첫째, 미술사조에서 데 스틸의 역사적 배경의 흐름을 찾았고, 데 스틸의 표현 수단인 수평 수직선, 검정과 흰색, 회색을 포함한 삼원색의 조형요소의 미학을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데 스틸 운동의 목표인 '조화(Harmony)'를 기본 내용으로 하고 수직, 수평의 직선을 모티브로 선택하여 직전의 조형적 순수함을 증명했다. 이러한 시도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조 하에서 되었다. 둘째로,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역사적 배경을 조사하고, 전반적인 디자인 분야에 불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조사 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디자인을 비롯한 대중문차의 가치는 높아졌고 예술과 디자인사이의 유연적인 교류는 텍스타일 디자인에서도 충분히 예술적 가치를 기대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화적인 배경을 기초로 데 스틸의 조형요소와 포스 트모더니즘 구조를 접목한 작품을 제작한다. 연구자의 작품은 크게 세그룹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첫번재 그룹에서는 데 스틸의 조형요소인 수직 수평선과 이들로 만들어지는 장방형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두번째 그룹 그룹에서는 데 스틸 운동의 절대 양식인 '조화(Harmony)'의 표현을 목표로 작업했다. 규칙적 인 수직 수평선은 정사각형을 만들고 이들 정사각형의 규칙적인 배열로 기계미학(Machine aesthetic)을 표현했다. 현 시대의 이슈인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재 인식하자는 취지에서 사실적인 형태인 나뭇잎을 모티브로 선택하고 '자연으로의 회귀' 라는 메시지를 담아 보았다. 이러한 시도 역시 포스트 모더니즘 구조에서 실행 되었다. 마지막 그룹에서는 데 스틸 운동 작품의 구성 토대로 기억되는 그리드(Grid) 형식과 순수한 자연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 나뭇잎을 모티브로 디자인 했다. 여기서는 작가의 자유로운 의지로 화면 구성했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들겠다. 본 연구자는 미술사조안에서 디자인 소스를 얻는 식의 디자인 개발 전략이 성공 가능한가에 그 촛점을 맞추어 연구했고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문화적 개념의 도입을 보다 창의적이고 고부가가치를 갖춘 디자인을 기대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 성공 가능성을 타진 하는데 목적이 있었고, 후기연구에서는 텍스타일 디자인의 용도에 따른 디자인 개발이 따라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