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라연신-
dc.creator라연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8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827-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인은 음향오행적 우주관에 바탕을 둔 오정색(적, 청, 황, 백, 흑)과 오간색(홍, 벽, 녹, 유황, 자)의 10가지 색을 기본색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색을 사용함에 있어 실제적인 체험보다는 관념적인 의미 부여, 즉 음양오행적 우주관의 이치에 따라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색체를 생활화 하였다. 주로 화려한 유채색 계열은 화려, 장엄, 사치, 권위의 상징으로서 권력층의 전유물이었으며 계급표현의 수단으로서 색채가 쓰였다. 계급이 낮은 사람에게는 백색옷을 입게했으며 물들인 옷은 금했으니 우리의 백의숭상의 이면에는 적극적인 채색한다는 행동의식이 없는 있는 그대로의 무색개념(無色槪念)의 백색의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자연에 순응하고 두드려지지 않는 동색대비의 평면적 구성으로 자연과 강하게 대비되지 않고 공간이 깊게 지각되지 않는 정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한국의 이미지는 자연에 대치하는 개념이 아닌 동화(同化)한다는 개념이 더 짙다. 한국인이 색채를 생활속에서 사용함에 있어 무엇보다도 색채의 의미를 크게 부각시킨 것은 굳이 과거를 돌이키지 않더라도 우리의 주변에서 흔히 겪는 일이다. 무엇과도 섞이지 않은 정색개념의 적, 청, 황, 백, 흑색은 그 색 하나하나가 살아 움직이는 듯한 역동적인 이미지를 갖는다. 물리적인 색채체계의 의미가 아닌 많은 의미를 내포하여 색을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색채는 색채 나름대로의 힘을 가지게 된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비하여 일본은 연강수량이 우리나라에 비해 상당히 많은 편으로 국토 전체가 습윤기후여서 일년 중 엷은 회색톤의 안개낀 날이나 비오는 날이 많다. 기후적, 풍토적 특성 때문에 이러한 성향과 어울리는 그늘지고 회색톤의 고상한 이미지의 색조를 선호하는 경향을 알 수 있다. 또 이해 비해 중국은 진한배색의 색채성향이 있는데, 중국인에게 있어 황색은 황제를 의미하듯 권위와 그에 상응하는 화려한 이미지를 상징하고 있다. 중국 고궁의 많은 기와지붕들이 황색으로 되어 있으며, 중국인들은 황색과 더불어 주적색과 녹색 등을 적절히 조화시켜 다채로운 색상 배색을 즐기는 편이다.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호화로운 색상배색의 이미지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거대함과 위압감을 더해준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중국인들처럼 위압감이 드는 색체를 별로 선호하지 않는다. 오히려 은은하고 수수한 풍류를 즐기는 성향이 있으며 그렇다고 일본의 그늘진 회색조의 색채와도 구별되는 맑고 담백함이 느껴지는 색채이다. 광활하고 진한 땅위에 화려한 금칠을 한 건물이 우뚝 솟아 있는 중국과 채도 낮은 색채를 사용하는 일본, 그리고 백색이나 빨간 벽돌의 건물들을 녹색의 자연풍경으로부터 두드러짐의 효과를 추구하는 유럽인들과는 확연히 다르게 진회색조의 기와지붕이나 볏짚을 덮은 초가지붕, 산간지방의 나무껍질을 이용한 너와지붕을 보더라도 우리선조들의 자연과 동화하려는 성향을 알 수 있다. 그러면서도 우리나라의 정자나, 사찰, 고궁에 있는 단청을 보면 자연과 하나되어 있는 건물 속에서 너무 튀지 않으며 분위기를 밝고 경쾌하게 하는 매력을 지니고 있다. 자연과 하나되는 정적인 이미지 가운데 맑은 정색이 사용됨으로써 중성적인 이미지를 자아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색의 이미지는 우리만이 갖고 있는 좋은 환경과 독특한 민족성으로 인해 사계절에 변화를 즐기고 순응하며, 나름대로의 자연과 동화하려는 순수한 색문화를 형성해 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이미지를 크게 자연친화적인 여유로운 이미지와 역동적인 이미지로 분석해 보았다. 자연친화적 여유의 이미지는 담백, 최소, 대범, 함축, 견실의 미로 나누어 그 특징을 살펴 보았다. 담백의 미학은 조형 미술가가 자신의 표현에 욕심을 내지 않는 것으로 그 깊이는 조용하고 맑은 정숙함과 엄숙함에 있다. 한국인은 가급적 기교를 삼가하고 색, 선, 면, 재료의 요소를 최소화하여 단순하고 간결하고 소박한 미를 추구하였다. 세부보다는 전체를 고려해 평안하고 여유롭고 안정적인 원만한 표현미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의 이미지는 외양보다는 속에 함축된 뜻과 맛으로 모든 이야기를 단숨에 간파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느낄 수 없는, 그 자체에서 우러나오는 은은하고 깊이있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외부의 대범이나 단순함은 사용에 충실하기 위하여 견실성을 전제로 하며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세심한 신경을 써서 실용적이고 견실한 건강미를 표출한다. 역동적인 이미지는 비(飛)의 미, 의미와 상징, 해학성으로 나누어 보았다. 한국의 건축물에서, 한복에서, 항아리에서 느낄 수 있듯이 모두 시각적인 무게를 제거한 탈중력의 비(飛)의 미를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세속의 욕심을 벗고 살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또, 물건 하나하나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과감한 생략과 추상 및 상징화를 통해 생명감을 부여하고 있다. 사물표현에서 대담한 생략, 왜곡, 과장을 자연스럽게 다루고 좌우대칭에 대한 무신경, 그리고 이지러진 둥긋 맛이 주는 공간미등은 두드러지는 한국 해학의 세계이다. 이러한 한국의 이미지들을 화면에서 표현함에 있어 본연구자는 색을 중심으로 공간의 깊이, 형태의 단순성, 서로 부딪치지 않는 완충지대의 형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색동에서 느낄 수 있는 밝은 색채의 배합에서 생기는 전통색채미, 중성색을 사용해 원색이 지나치게 강조 되어 보이지 않는 안정감, 중첩에 의해 화면을 전체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 조형공간을 만들어감으로써 한국의 이미지를 표현고자 시도하였다.;The Korean image is the image which is not in vivid contrast against the nature but in harmony with it, and which has subduded sense of space The emphasis on the meaning of color can be found in everyday life. The right color : red, blue, yellow, white and black has the dynamic image. Because the each color is given the conceptual meaning aside from its own physical meaning, it has its own unique power. Japan is more humid all year around than Korea. This climate affected their color preference. They use more grey and calmer tone of color. Contrarily, the Chinese has tendency toward the vivid color contrast. To the Chineses ,yellow means the emperor and has the meaning of power and luxurious image. Many Chineses palaces have the yellow tiled roof. The Chinese use red ,and green as well as yellow. These sumptuous color combination has the sense of massiveness and powerfulness Contrary, the Korean tend to enjoy subtleness and moder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ir sense of color is different from the Japanese shadowy tone. The Korean color has the sense clarity and elegance. The environment and the unique nationality had played a vital role in creating the unique Korean color culture, which enjoys the change of season and complies to the nature. In this study, Korean image will be analyzed in the view of both the nature-harmonious calm image and the dynamic im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are minimization, implication and soundness. Koreans avoided embellishment and minimized the factors of line, surface and material. They pursued the beauty of simplicity and tried to express the calm and graceful beauty through the whole rather than the details Korean image also is the image of subtleness which cannot be noticed at once but which is feeled through the implied meaning rather than the outer appearance The external simplicity expresses soundness. The dynamic image will be discussed in the terms of both the beauty of "bi" and symbolic humor. Korean architecture, dress and jar pose the beauty of "bi" by escaping the visual weight .The object comes to life through daring abbreviation, abstraction and the symbolization The Korean humour is expressed by using daring abbreviation, distortion and exaggeration. Deliberate avoidance in symmetry and the sense of space from the distorted circle also contribute to the humour.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ole of color in creating simplicity of depth-form of space and the buffer zone where the colors do not crash against each other. And also, it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the unified formative space using from the traditional color combination of the Korean multicolored stripe without emphasizing the primary colors. The basic colors of Korean can be de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the five right colors which are red, blue, yellow, white and black, and the five colors which are. This concept of color is based on the Five Elements. The colors have the conceptual meaning rather than the actual experience and are used accordingly. The bright colors were the symbol of splendor, grandeur and luxury and exclusive to the ruling class. The lower class was only allowed to wear white and prohibited from col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1 2. 한국의 색채 = 3 2.1 음양오행(陰陽五行)적 색채관 = 3 2.1.1 단청 = 5 2.1.2 색동 = 6 2.1.3 보자기 = 7 2.2 백색(소색) 선호사상적 색채관 = 8 3. 한국의 이미지 = 10 3.1 자연친화적 이미지 (여유) = 10 3.1.1 담백의 미 = 10 3.1.2 최소 (단순, 간결, 단아, 조촐, 소박, 솔직) = 11 3.1.3 대범 (평범, 편안, 여유, 안정, 전체) = 11 3.1.4 함축 (겸허, 은은, 깊이, 다양) = 12 3.1.5 견실 (건강, 실질) = 12 3.2 역동의 이미지 = 13 3.2.1 비(飛)의 미 = 13 3.2.2 의미와 상징 = 13 3.2.3 해학성 (밝음) = 13 4. 작품전개 = 20 4.1 작품의 전개 = 20 4.2 작품결과 및 분석 = 20 5. 결론 = 31 참고문헌 = 33 ABSTRACT = 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64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색채-
dc.subject한국 이미지-
dc.subject광고디자인-
dc.subject디자인-
dc.title색채를 통한 한국 이미지의 표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3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