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방과 후 시간 증가의 사회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Title
방과 후 시간 증가의 사회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fter-school ac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박지혜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Keywords
방과 후 시간시간활용청소년 여가여가활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 Purpos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atification and after-school activit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fter-school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problematic behaviors in high school students was followed to present the useful information needed for education preventing stratification reproduction. Social stratification was measured by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al prestige, students' perceived social stratification and the after-school activity expenses. After-school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8 cases. B. Results It is claimed that the more after-school time students have, the more social stratification reproduction take place. Since it is evident that social stratifi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subject-concerned activities, subject-concerned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problematic behaviors. In this study the basic assumption i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students are related with the after-school activity. Specific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following problems: 1. Parents' educational level influenced the subject-concerned activities. 2. Parents' occupational prestige influenced the subject-concerned activities. 3. Students' perceived social stratification influenced the subject-concerned activities. 4. After-school activity expenses influenced the subject-concerned activities. 5. Students with subject concerned activities and non subject-concerned activities have shown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6. Students with subject concerned activities and non subject-concerned activities have difference in problematic behaviors.;학생들이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들이 주어진 시간을 효과적으로 보내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의 교육 제도는 학생들에게 학교 밖의 시간을 많이 허용하여 이를 다양한 특기·적성을 살릴 수 있는 기회로 삼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현재의 학교 밖 사회 제도는 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적성을 수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고, 학교 교육조차도 학생들이 방과 후 시간을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방과 후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내거나 학교 수업을 보충하는 시간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사회 계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계층을 구분하는 준거로는 첫째 부모의 교육 수준, 둘째 가구주의 직업 및 종사상의 지위를 기준으로 계급 분류를 시도한 홍두승의 분류 체계, 셋째 주관적인 계층 의식, 넷째 방과 후 활동에 쓰는 비용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방과 후 시간 활용 유형은 김광득의 분류와 안귀덕의 분류를 고등학생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생의 현재 위치는 학업 성적과 비행 정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비행 정도나 학업 성취는 학생의 방과 후 시간 활용 양상에 따라 변화하며, 학생의 방과 후 시간 활용은 학생의 계층에 따라 달라짐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인천 시내에 거주하는 남녀 고등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처리하였다. 방과 후 시간 활용이 8개 유형별로 각각 계층별로 유의미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교과 관련 활동은 계층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계층별로 다르게 소유하고 있는 자원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교과 관련 활동을 하는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학업 성적이 높고 비행 정도도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계층이 고등학생의 여가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황인범의 연구, 비행과 여가의 상관 관계를 밝힌 김병천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방과 후 시간 활용의 문제는 사회 정책적인 문제로 귀결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그들의 사회 경제적 배경에 관계없이 건전하게 방과 후 시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교육적 배려가 요구된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특기·적성교육을 활성화하는 것 둘째, 사회과에서 시간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것 마지막으로 사회적 시설 보완 등을 들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