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가야금 교본 분석

Title
가야금 교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Kaya-gum Textbooks : focused on 12 string Sanjo Kaya-gum textbooks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가야금12현산조가야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 민속음악의 전통적인 음악 교육은 대부분 구전심수에 의한 도제식 교육이었으나 1960년대 이후 많은 교본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고급 과정에 비해 초보자를 위한 교본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야금 교본 학습 내용 구성을 알아보고 각 교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초급 과정과 중급 과정의 비중과 내용을 알아보고자 현재 출판되고 있는 가야금 교본 분석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본 분석에 앞서 교본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문헌 연구와 가야금 교본 내용의 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공통점을 찾아내고자 지금까지 출판된 38권의 가야금 교본 중 긴 산조 교본 21권과 2권의 증보 발행된 교본을 제외하고, 15권의 분석된 내용의 구성에 근거하여 총 7부분의 설문을 제작하여 가야금 전문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오른손·왼손 수법 연습곡은 초급 과정에서, 민요 및 간단한 현대곡의 편곡은 중급 과정에서, 산조는 고급 과정에서 학습해야 할 과정으로 나타났다. 교본 개발에 대한 응답으로는 각 과정별 교본이 필요하다(79.39%)는 결과가 나왔고, 양손을 현침쪽에서 사용하는 학습 시기에 대한 응답에서는 초급 과정(32.73%)에서 실시가 조금 우세하였으나, 중급 과정(24.85%)과 고급 과정(23.03%) 실시도 비슷하게 나왔다. 장단 학습에 대해서는 초급 과정(40.61%)에서 실시하여 중급 과정(47.27%)에서 강조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외 연습곡의 선정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81.21%)는 의견이 나왔으며, 각 단계의 학습과정에서 필요한 학습 요건 및 오른손·왼손 수법의 효과적인 학습 순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출판중인 6권의 교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1) 초급 과정(오른손·왼손 수법 연습곡)의 비율을 살펴보면 평균 비율은 9.8%로 전체 비율의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초급 과정을 가장 많이 다룬 교본은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14%)』이었으며, 김해숙의 『청흥둥당(13%)』,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10%)』, 황병주의 『가야금 교본(9%)』, 박재희의 『가야금 교본(8%)』, 성심온의 『가야금 주법의 이해(5%)』 순으로 나타났다. 초급 과정의 비율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2) 중급 과정(민요 및 간단한 현대곡 편곡)의 평균 비율을 살펴보면 35.7%로 나타났다. 중급 과정을 가장 많이 다룬 교본은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56%)』로 나타났고,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51%)』, 황병주의 『가야금 교본(35%)』, 김해숙의 『청흥둥당(35%)』, 박재희의 『가야금 교본(33%)』, 성심온의 『가야금 주법의 이해(4%)』 순으로 나타났다. (3) 고급 과정(산조 과정)의 평균 비율을 살펴보면 30.8%로 나타났다. 고급 과정을 가장 많이 다룬 교본은 박재희의 『가야금 교본(51%)』이었으며 황병주의 『가야금 교본(44%)』, 성심온의 『가야금 주법의 이해(42%)』, 김해숙의 『청흥둥당(25%)』,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17%)』,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6%)』 순으로 나타났으나, 고급 과정 교본으로는 위에서 분석된 교본 외에도 각 유파의 긴 산조 교본이 많이 출판되어 있다. (4) 양손을 모두 현침쪽에서 사용하는 주법(두손모음주법)에 대한 연습곡이 포함된 교본은 중급 과정인 현대곡에서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과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에서 다루고 있다. (5) 장단 학습을 연습곡으로 초급 과정에서 다룬 교본은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 중급 과정에서는 김해숙의 『청흥둥당 가야금 연습곡집』이었고, 나머지 교본은 민요와 산조에 장단을 제시형으로 다루고 있다. 위의 결과에서 고급 과정에 비해 초급 과정과 중급 과정을 위한 교본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특히 설문 조사에서 초급 과정의 연습이 매우 중요하며 많이 다루어야 된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현행 교본에서는 매우 적은 비율(10%미만)로 초급 과정을 다루고 있다. 앞으로 연구를 통하여 더욱 많은 초급 과정과 중급 과정을 위한 연습곡들의 선택·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며, 두손모음주법과 관련하여서는 어느 학습과정에서 어떻게 학습을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Most of Korean folk musician have adopt an education of apprentices by an oral method of teaching without any manual as conventional musical education on Korean folk music. However, though, many manual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60, there are relatively fewer manuals for beginner's class course than ones for high grade cours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composition of Kayagum learning contents and finds out relative importance and contents of the primary grade and intermediate grade courses after examining features of each manual through analysis of Kayagum manuals which have been being published until now. In the study, analyses of Kayagum manuals have been performed in a basis of a questionnaire in order to find out common points through analyzing the compositional features of the contents of Kayagum manuals and other literature studi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7 part questions based on analyses of compositional contents of 15 manuals except for 21 San-Jo manuals and 2 revisions among total 38 Kayagum textbook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commends that primary grade course deal with right- and left-hand mechanism(technical skills) etudes, intermediate grade course deal with Min-Yo (Korean Folk Song) and arrangements of simple modem music, and high grade course deal with San-Jo in learning. It is also recommended that manuals are composed step by step according to each course (79.39 %). It is shown that 32.73 % answers agree to primary grade course, 24.85 % answers agree to intermediate grade course, and 23.03% answers agree to high grade course as a proper learning time when execution using two hand joining near string's pillow among the styles of rendition (by both hands) of Kaya-gum is taught to a learner. The results for Jang-Dan learning show that 40.61 % answers agree to dealing at primary grade course and then 47.27 % answers agree to emphasizing at intermediate grade course. In addition, it is recommend that selection or developments of etudes should be made (81.21 %). Leaning requirements of each course and efficient learning procedure for right- and left-hand mechanism(technical skills) are included. Through this questionnaire, 6 manuals which are being published at present are analyzed as follows. (1) There are 9.8 % contents dealing with primary grade (right- and left-hand mechanism(technical skills) etudes) and this occupies less than 10 % of overall contents. The manual dealing with contents of primary grade at the largest rate is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14 %) and Hae-Suk Kim's "Chung-Heung-Dung-Dang" (13%) and as other manuals, there are Jung-Ye Ki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10%), Byung-Ju Hwang's "Kayagum manual" (9%), Jae-Hee Park's "Kayagum manual" (8%)' and Sim-On Sung's "Understanding of Kayagum skill" (5%). Manuals dealing with primary grade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2) There are 35.7 % contents dealing with intermediate grade (Min-Yo (Korean Folk Song) and arrangements of simple modern music). The manual dealing with contents of intermediate grade at the largest rate is Jung-Ye Ki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56%) and as other manuals, there are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51 %), Byung-Ju Hwang's "Kayagum manual" (35%)' Hae-Suk Kim's "Chung-Heung-Dung-Dang" (35%), Jae-Hee Park's "Kayagum manual" (33%)' Sim-On Sung's "Understanding of Kayagum skill" (4%). (3) There are 30.8 % contents dealing with high grade (San-Jo course). The manual dealing with contents of high grade at the largest rate is Jae-Hee Parks "Kayagum manual" (51%), and as other manuals, there are Byung-Ju Hwang's "Kayagum manual'' (44%)' Sim-On Sung's "Understanding of Kayagum skill" (42%), Hae-Suk Kim's "Chung-Heung-Dung-Dang" (25 %), Jung-Ye K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l7%), and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6%). In addition, there are many San-Jo manuals of each school as manuals of high grade course. (4) As manuals including etudes of DuSon-Moum(using two hand joining near string's pillow) execution among the styles of rendition (by both hands) of Kaya-gum, there are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51%) and Jung-Ye Ki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56%) (5)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is primary grade manual dealing with Jang-Dan learning etudes and Hae-Suk Kim's "Collection of Chung-Heung-Dung-Dang Kayagum etudes" is intermediate grade manual dealing with Jang-Dan learning etudes. The other manuals introduce only Jang-dan(the rhythm) in Min-Yo and San-Jo. In conclusion, there are relatively fewer primary and intermediate grade manuals in comparison to high grade manual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erform the exercises of primary grade course and many exerci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course. Existing manuals include very fewer contents of primary grade course (less than 10 %). Forward, through studies,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s of etudes for primary and intermediate grade should be made. It is needed to study when to educate and how to educate DuSon-Moum(using two hand joining near string's pillow) execu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