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한국의 지평에 관한 사진적 고찰

Title
한국의 지평에 관한 사진적 고찰
Other Titles
(A) photographical study on Korean horizon
Authors
명수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사진전공
Keywords
한국지평사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자연은 삶의 근원이다. 그리하여 동양인들은 오래 전부터 자연과 더불어 생(生)을 영위하고, 자연을 사랑하며, 그 속에 담긴 자연의 섭리를 관조하면서 이에 순응하고 따르고자 하였다. 나는 자연계의 우주적 질서 속에 놓여있다. 그곳에는 하늘과 땅이 있고, 바다와 산이 있다. 그 가운데 서서 나는 무엇을 보고 있으며, 무엇을 보고자 하는가. 이러한 자문에 의한 나의 연구는 하늘과 땅이 만나고, 대기와 물이 만나는 우리의 지평을 찾아 나서는 작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천지 자연이 기지재를 켜는 새벽녘, 지평선 위로 우직의 산하(山河)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낸다. 희미한 연무속에 펼쳐지는 세상은 본인의 대자연을 향한 경의심의 발로가 되었고, 하나의 이상향으로 다가오곤 하였다. 그런데 어느날 부터인가 드넓은 대지 위에 인공의 구조물들이 솟아오르고, 산등성이를 너머 도로가 가로지르고, 소도시와 마을들이 물위로 뻗어 나오고 있다. 인간들에 의해 만들어져 신기루처럼 떠오르는 이러한 인공의 이미지들은 순수한 자연환경을 해치는, 결코 「미」가 될 수 없는 것들이지만, 여명의 순간에는 대자연의 기운에 묻혀 풍경사진을 아름답게 만드는 사소한 장식물에 지나지 않는 듯 보여진다. 풍경에 대한 개념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며, 현대에 와서는 신이 만들어낸 원초적 자연풍경만으로서가 아닌, 인간이 만들어낸 인위적 풍경의 의미가 커지고 있다. 풍경이 이렇듯 변하고 있다면, 풍경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풍경사진 또한 그 변천을 반영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하여 본인은 인공적인 잔재를 금기시하는 풍경사진이 아닌, 지평위로 펼쳐지는 자연경관과 더불어 때로는 그 속에서 함께 드러나는 문명의 흔적들조차도 하나의 풍경으로서 바라보고 또한 받아들이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은 변화된 자연을 객관적이고도 절제된 시선으로 묘사하며 새로운 미를 창출해낸 New Topographics라 불리우는 미국의 지형학적 사진가들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풍경과 우리의 풍경이 다르고, 동·서양의 자연관이 근본적으로 다름을 인식하여, 동양적 자연관과 그와 관련된 우리의 자연관을 토대로 이 땅의 풍경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동양의 미의식을 가장 잘 드러내고, 인간과 자연 양자의 근본적인 정서를 그려낸 산수화 이론을 본인의 작업에 있어 풍경을 바라보는 방식의 모범으로 삼고자 했다. 그리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한국적 풍경 사진이란 소재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미적 태도를 취했을 때 다가오는 관조적 대상으로서의 풍경을 어떻게 바라보고 느낄 것인가 하는데서 비롯됨을 깨닫게 되었다. 본인은 이번 연구를 통하여, 동양과 서양의 각기 다른 자연과 풍경의 개념과 변천사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예술적으로 표현되어 왔는지를 동양의 산수화와 서양의 풍경화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또한 사진사에 있어서 풍경사진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본인의 작업에 영향을 준 사진가와 방법론을 살펴보고, 그 동안의 사진작업을 분석하여 그 개념을 분명히 함으로써 앞으로의 풍경사진 작업의 보다 명확한 방향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Mother nature is the source of life. The Orientals have lived their lives with Mother nature, loved it and meditate, obey and follow its providence. I belong to universal order of nature. There are sky, earth, sea and mountains. In the middle of them, what am I seeing? Or what am I going to see? On those questions, my study began from the search for our horizon where sky meets earth and air meets water. From the dawn when Mother nature stretches, our mountains and water appears above horizon. The world inside of vague fog is the outburst of my respect to nature and is one of my ideals. However, since one day, on the wide earth, artificial structures have been built, roads gone across and small towns and villages come of into water. Those artificial images like a mirage spoil pure natural environment, never become beauty but merely is insignificant decorations that make scenery photos beautiful inside of mighty nature. The concept of scenes changes according to age and location and in modern times artificial scenes is more meaningful than natural scenes. If scenes alter, scenery photos that analyze and express scenes cannot but reflect their change. Therefore, I am going to see and receive vestiges of civilization as a scene with not scenery photos that restrict artificial remnants but natural environment on horizon. This view goes along with American geological photographers who are called as New Topographics, which created new beauty and described the changed nature with objective and moderate eye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ir scenes is different from our ones and eastern natural philosophy is different from western natural philosophy, I expressed our scenes on the basis of eastern natural philosophy as well as the related our natural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landscape painting theory was the standard of my works as the method of the view to scenes. The landscape pictures express the eastern sense of beauty and the basic emotion of both human and nature. Therefore, during my working, I recognized that Korean scenery photos arose from not the selection of material but the prospect that scenes are shown as contemplated objects about the sense of beauty. On the study, I examined the each different concept, changing history and artistic expression of eastern and western nature and landscape with eastern and western landscape pictures. On the photographical history, I observ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andscape photos and photographers and their methodology that had an influence on my works. In addition, I presented the more evident orientation of landscape photo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existing photo works to clarify the 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