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희연-
dc.creator장희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85-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에서 도시에 관한 논의는 일반적으로 이 곳에 집중된 기업들의 생산활동이나 시민들의 정치활동 또는 사회문화적 생활과 관련되거나 이러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개발 등에 관심을 가졌다. 따라서 그 동안 기존의 도시론들은 도시의 생산활동 또는 하부시설의 건설활동에 소요되거나 시민의 일상생활에서 소비되는 자원과 에너지가 어떻게 공급되는지, 또는 이러한 생산 및 생활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또한 도시인들의 불안정한 정서가 생태적 도시 환경의 파괴와 무감각한 인공환경의 확대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해 이해 하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원과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다면, 폐기물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도시환경의 황폐화가 지속된다면 결국 도시는 더 이상 유지 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도시를 하나의 생태계로 파악하고 모든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을 조절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생태계의 구성요소간의 연관관계를 정확히 알고 생태계의 안정성에 관심을 갖는 생태적인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현대도시의 세부적인 요소의 디자인을 추구했던 기계주의적인 데카르트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도시를 전체로 인식하고 시스템적 관점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것으로 보는 전체론적인 생태주의적 세계관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에 부응하여 발생된 생태도시는 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대두된 새로운 개념의 도시이며 도시의 안정성, 순환성, 다양성, 자립성을 추구한다. 즉, 도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 하고 도시에서 소비하는 물질이나 물을 순화시키며 생태계의 종을 다양화하고 도시생태계가 가능한 외부의 지원없이 자립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생태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분야 중 하나인 녹지 분야 중에서 중앙 공원을 중심으로 생태도시의 시스템적인 유기적 체계를 표방하는 지속발전 가능한 생태학적 디자인을 위하여 생태학적 디자인 구성 원리와 구성 요소를 통한 도시 공원 조성에 적합한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이것이 에너지와 물질의 유입을 요구하는 도시생태계에 녹지 개발에 의한 생태계 복원 전략들이 되어 최종적으로는 환경의 질과 미적 가치에 부합하는 생태적인 도시 근린 공원의 환경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 가 있으며, 크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1. 현대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에 의해 다가온 생태위기와 함께 일어난 도시 정비의 움직임을 알아보기 위해 현대 도시계획의 유형을 살펴보고 현대 도시 계획에서 필요한 사항을 정리함으로써 생태도시계획의 대안적 의미와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2. 생태도시계획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생태도시의 개념과 목표, 생태도시 계획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관점들 그리고 생태도시계획의 여러 분야 중에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녹지의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 보고 아울러 도시녹화 수법 도 제시해보았다. 3. 도시 공원의 종류와 그 중 근린 공원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도시 근린 공원 조성을 위한 생태학적인 디자인 구성 원리와 요소를 각각 분류하여 살펴보고 생태적인 도시 근린 공원 조성을 위한 생태학적 디자인 적용 방안을 사례와 함께 알아보았다. 4. 이상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생태적인 도시 근린 공원을 디자인 하는데 있어 디자인 전제와 디자인을 위한 연구, 분석 단계, 디자인 단계로 나누어 생태적인 환경 디자인 모형 사례를 제시하였다. 5. 시각화된 디자인 사례의 결과에 대한 종합 및 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을 밝히고 미비점을 보완하였다.;Ecopolis plan is characterized as a transition from Descartes-Newton's mechanistic world view to holistic ecological world view. That is, the former had been narrowed down the partial space design for the modem city. After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it was replaced by the latter, which perceives the city as a whole and moreover as continuously changing from the aspects of systems(the systematic perspective). Ecopolis is a kind of city as new paradigm which is made to reconstruct ecosystems and pursue equilibrium, circulation, diversity, a d independence of city for the purpose of it. Therefore, ecopolis plan will be designed to maintain the equilibrium of ecopolis system, to circulate the materials and water used within the city, to diversify a species of ecosystem, and to be independent without the help of the outside. Furthermore, this plan can be regarded as of great worth in that it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whole city but also to the substructure of the city such as an apartment area or park. With these motivations mentioned above, this study will suggest a sustainable ecological design representing the organic-system of ecopolis, focused on urban neighborhood park among open-space field, which is a constituent of ecopolis. In doing so, ecological environmental design will be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and the elements of composition. Consequently, its significance can be summarized into suggesting a model of environmental design for urban neighborhood park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environment and aesthetic value. And it will be developed from a restoration strategy for ecosystem that is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Green-network in ecopolis system, which requires input of energy and materials. The procedures for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ecopolis plan, we'll classify several types of modern city plan and discuss directions towards it. 2.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study a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e'll consider the organic interrelationships among human, city, and nature through the definitions and principal concepts of ecopolis plan. And also we'll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polis plan in the view of ecology, sociology, and environmental psychology. 3. Based on findings above, we'll obtain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and the component of composition in ecopolis design for ecological park and find out the way in which it can be applicable. 4. Based on components and principles induced from 3, we'll identify objective ground and suggest a new model of neighborhood park in ecopolis. 5. Based on examination and evaluation on finding throughout the study and on a suggested model of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we'll re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study and emphasize its significance.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패러다임의 전환과 도시 계획의 방향 = 3 2.1 생태위기와 현대 도시계획의 방향 = 3 2.2 현대도시 계획의 유형 = 5 2.3 현대 도시계획의 과제 = 8 3. 생태도시 계획의 이론적 고찰 = 10 3.1. 생태도시 계획의 이론적 배경 = 10 3.2 생태도시 계획의 정의와 개념 이해 = 16 3.3 생태도시에서 공원의 의미와 역할 = 20 4. 생태적 근린 공원 조성을 위한 디자인 방법 = 27 4.1 생태적 환경 디자인 구성 원리 = 27 4.2 생태학적 환경 디자인 구성요소 = 32 4.3 생태학적 환경 디자인 적용 방안 = 41 4.4 도시내 생태적 공원 사례 분석 및 종합 = 63 5. 도시 근린 공원 디자인 전개 과정 = 71 5.1 디자인 전제 = 71 5.2 디자인을 위한 대상지 분석 = 77 5.3 공간 설정 및 계획 과정 = 87 5.4 평면 도출 및 디자인 적용 단계 = 105 5.5 최종 디자인 = 120 5.6 종합 및 평가 = 135 6. 결론 = 139 참고문헌 = 141 ABSTRACT =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073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근린공원환경-
dc.subject도시-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생태도시-
dc.title도시 근린공원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태도시 계획의 예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l of environmental design in urban neighborhood park for improving the quality : focused on examples of ecopolis plan-
dc.format.pagex, 14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