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을 통한 도자 소품 연구

Title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을 통한 도자 소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mall Ceramic Objects using Geometric Forms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Keywords
기하학결합도자소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모든 형태의 기본이 되는 기하학적 형식의 조화와 균제는 조형의 본질적인 영역으로 추구되고 있으며 예술과 문화의 모든 영역에 연결되어 기능주의적 공간을 제시해주며 시각적 효과에 있어서도 규칙적인 배열과 균형미로서 명쾌하고 지적인 인상으로 예술세계에도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때문에 합리적이며 명쾌하고 간결한 기하학적 형태는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 어디에서나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를 구성하는 기하학적 요소를 바탕으로 3차원 공간에서 나타나는 입체 형태들의 결합을 통하여 본 연구 작품이 놓여지는 생활공간에 따라 축소되거나 확장시킬 수 있는 단위집합체로 장식성과 실용성을 충족시키는 도자소품 제작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대 생활공간에 놓여지는 공예품과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에 대한 문헌과 자료조사를 통하여 인간의 생활과 밀접해서오는 공예미의 근본 의미를 살펴보고 기하학적 형태의 개념과 통일, 균형, 비례, 강조, 조화 등의 형태구성원리와 반복과 결합의 조형성을 살펴보면서 보다 창의적인 형태변화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기하학적 결합형태의 현대작품 사례를 제시하고 연구하여 본 연구작품 제작에 참고하였다. 이미지 전개 과정에서는 모든 형태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점·선·면을 기초로 원, 삼각형, 사각형의 평면도형의 회전과 이동을 통하여 입체형태로 전개하여 그 입체형태들을 여러 각도로 절단하여 다면체를 창출하고 반복적 결합구성으로 계획하여 전체성이 인식되어지는 단위 집합체로서 전개하였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는 자와 컴퍼스로 그려질 수 있는 수학적 계산이 가능한 창조적인 형태로서 형과 형을 합하여 새로운 형을 만들 수 있는 미학적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공예품으로서 반복적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 외에도 수학적 법칙에 따른 기하학적 형태와 결합을 통한 반복구성에 적합한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방법을 사용하였고, 석고 형틀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석고형 자체를 재결합하여 석고형의 조립 시에 그 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태토로는 깊이 있는 백색 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백색도가 높은 자기질 점토를 사용 하였으며 놓여지는 위치와 각도에 따라 미묘한 빛의 변화를 의도하여 전체적으로 무유 처리를 하고 부분적으로 투명유로 시유하였다. 1차 소성은 0.5㎥ 전기가마에서 최고 온도 800℃로 8시간 동안 소성 하였고, 2차 소성은 0.5㎥ 전기가마에서 최고 온도 1260℃·로 9시간 동안 산화염으로 소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적 결합구성은 부분과 전체로서 상호 연관 되어서 그 수에 비례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시도 할 수 있었다. 또한 장식적인 요소로 기하학적 형태의 매끄러운 표면질감과 대조를 이루는 유기적인 표면 질감을 표현하여 기계적인 규칙의 지루한 나열이 아닌 창의적인 변화의 요소로 신선함을 줄 수 있었다. 과거 다산성은 공예를 순수예술과 구분짓는 큰 요소로 여겨져왔다. 도예 작품에 있어서도 형틀에 의해 복제 되어지는 작품은 다른 도예 작품보다 경시하는 경향이 있어왔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은 의식있는 작가들의 개성있는 작품들로 한 단계 승화되어 조형예술의 세계로 펼쳐지게 되었다. 앞으로 무한한 변형의 가능성이 있는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구성을 통한 여러 작가들의 역량과 연구의 노력으로 창의적인 도자소품의 발전을 기대한다.;The harmony and symmetry of geometric interpretations are the fundaments to formative composition and it provides a functional space to all subjects relating to culture and art. Furthermore, visually, the disciplined structure in disposition and balance continues to appear in the art world. As a result, rational, lucid and neat geometric forms can be found everywhere in our living environment. This study concentrates on assembling repetitive compositions of different geometric forms. Also the objective is to examine the emotional aspects of people to understand how they display and interpret space by placing different ornaments on different spaces.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crafts began with peoples everyday habits and it developed through it. The basis to its understanding derives from function. Yet it needs to provoke the desire to touch, appreciate and use. Function and comfort alone cannot be the sole factors in determining crafts. Today, such handmade objects add beauty and opulence to our lives and at the same time they raise our living standards. Structured geometric forms are commonly found in our environment even in such complex times as the one we live today. Lines, angles and surfaces create circles, squares, rectangles and triangles. They give a sense of dimension calculated mathematically and it is possible to draw the geometric forms using a ruler and a compass. Forms can be repeated and combined differently to portray an aesthetical interpretation. The experimentation with proportion creates effective expressions in geometry. The slip casting method in ceramics was incorporated for repeated production of work. The porcelain clay body was used and the work was spatially glazed with a transparent glaze. This was because the study experiments with light. The work was fired in a 0.5㎥ electric kiln. The first firing progressed in 8 hours and the second firing was completed in 9 hours reaching a temperature of 1260%. This was an oxidation firing. Infinite combinations were possible by making a whole array of different geometric forms. Furthermore, exaggeration and subtraction of form provided endless possibilities in creating shapes. Clay proved to be apt for textural and surface expressions. It moves away from mechanical and technical sensibility with its own distinct traits. The productiveness of crafts was what defines it from fine art. The wheel-throwing technique in addition to other hand making methods also portrayed the sense of repeated production. Yet today, the contemporary preferences and tendencies have changed this. People want distinct one-off objects that relate to their own personality or their own environment. Therefore, artists too concentrate on express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Geometric forms will continue to be used as a subject of expression in art and the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other researches on this subj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