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윤정-
dc.creator강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14-
dc.description.abstractInformation Revolution that has been accelerated through the Internet and Web makes the changes in information flows, industrial structures, and educational methods over the world. Through this changes, e-Learning based on the web technology is prevalent in higher education. Especially in Korea, e-Learning has been drastically developed by opening cyber universities in 2001. Nowadays, this quantitative growth of e-Learning tends to be focused on the qualitative development. In order to facilitate qualitative development, so-called 'Quality Management in e-Learning', it is essential that all parts of e-Learning are understood and then developed as a systematic system including curricular, educational facilities, infrastructur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supporting systems, and so on. Most of all, a supporting system referred to as 'student support service' is a very important to assist learners to accomplish successful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of student support service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analyze how exactly student support service is performed in Korean e-Learning institution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student support service and the gap between them.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analyzing the available theories and researches in quality management, student support service, and web-based education, (2)constructing student support service's factors driven from the theoretical framework, (3)making a questionnaire for the research, (4)measuring and analyzing the research'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actors of student support service consist of seven items: prospective student's support, instructional support, technical support, acad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community's support, financial support, and career support. 2. Of the seven support services, four support services(prospective student's support, instructional support, acad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community's support) were perceived more satisfied in comparison with the total mean(M=3.33). Three support services(technical support, financial support, career support) were perceived less satisfied in comparison with the total mean. All of them, the highest satisfied support service was acad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M=3.71) and the lowest satisfied support service was career support(M=3.00). 3. Of the seven support services, three support services(instructional support, acad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career support) were perceived more important in comparison with the total mm(M=3.78) and four support services(prospective student's support, community's support, technical support, financial support) were perceived less important in comparison with the total mean. All of them, the most important support service was instructional support(M=3.95) and the least important support service was community's support(M=3.62). 4. Of the seven support services, career support showed the highest gap between levels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n the contrary, an acad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illustrated the lowest gap between levels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my suggestion was as follows. First,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e-Learning, institutions need to extend and upgrade the range of student support services. Student support services need to include financial support, technical support, and career support as well as an instructional support and an acad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learners. Second, in the area of career support, there was the highest gap betwee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Therefore, e-Learning institutions have to pay much attention to provide career support. Third,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e-learning e-learning institutions need to pay constant attention to what students want. To meet student's needs, institutions have to collect a lot of information about learning style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nviction, and so forth. On the basis of researches, I'd like to propose as follows : First, the research of cross analysis will be needed to acknowledge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student support service according to student's variabl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student support services can be depended on student's variables, such as sex, age, vocation, proficiency of computer, etc. Second, the research of cross analysis between students and managers will be required; Although student support services are made for students, virtually managers in e- Learning institutions have influences on deciding and executing the institute's policy of student support services. Third, the comparative research on the student support service between e-learning and conventional learning will be needed. This research can be good materials to provide a lot of informatio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tudent support services and designing more practical services.;인터넷과 웹의 등장으로 가속화된 정보 혁명은 세계의 정보 흐름과 산업 구조 및 교육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육 방식은 전세계를 인터넷과 웹 공학을 기반으로 한 e-Learning이 고등 교육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퍼져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학사 학위 과정을 인정받는 사이버 대학의 2001년 개교를 기점으로 e-Learning이 급격히 성장하였다. e-Learning은 전통적인 교육과는 달리, 인터넷과 웹 등의 새로운 매체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다.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은 교사 도움, 학습 안내, 도서관, 학습 자료, 학교 행정, 상담 등이 모두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는 곧, 학생 지원 서비스가 학습자의 성공적인 e-Learning 수행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습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학생 지원 서비스의 구성 요소, 만족도, 중요도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e-Learning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생 지원 서비스의 방향과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루어질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습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학생 지원 서비스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2. e-Learning수행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학생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3. e-Learning수행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학생 지원 서비스의 중요도는 어떠한가? 4. 학생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와 중요도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1을 규명하기 위해 e-Learning환경에서의 질 관리 및 학생 지원 서비스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학생 지원 서비스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2, 3, 4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연구 문제 1에서 도출된 학생 지원 서비스의 구성 요소를 토대로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6개 사이버 대학교의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와 중요도의 분석은 영역별,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의 분석은 앞에서 산출된 영역별, 문항별 만족도와 중요도의 평균의 차이를 산출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Learning환경에서의 학생 지원 서비스의 구성 요소는 최종적으로 7개 영역으로 정리되었으며, 여기에는 예비학습자 지원, 학습 지원, 기술 지원, 학사·행정 지원, 공동체 지원, 재정 지원, 취업 지원 영역 등이 포함된다. 2. 학생 지원 서비스의 7개 영역 만족도는 전체 평균 3.33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영역별 만족도 평균을 높은 순으로 정리하면, 학사행정 지원(M=3.71, SD=.89), 학습 지원(M=3.44, SD=.78), 공동체 지원(M=3.40 SD=.86), 예비학습자 지원(M=3.39, SB=.69), 기술 지원(M=3.21, SD=.86), 재정 지원(M=3.13, SD=.98), 취업 지원(M=3.00, SB=.84) 순이다. 전체 평균(M=3.33)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영역은 학사행정 지원, 학습 지원, 공동체 지원, 예비학습자 지원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영역은 취업 지원, 재정 지원, 기술 지원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7개 영역 중, 학사·행정 지원 영역이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취업 지원 영역은 만족도가 가장 낮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항목별 만족도 조사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학사행정 지원 영역의 '수강 신청 서비스(M=4.02)'였으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취업 지원 영역의 '취업정보 서비스(M=2.89)'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영역별, 항목별 만족도 결과를 분석해 볼 때, e-Learning 환경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학생 지원 서비스는 학습자들이 학습 수행에 있어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영역이라 여겨지는 학사·행정 지원과 학습 지원 영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학생 지원 서비스 7개 영역의 중요도는 전체 평균 3.78로 비교적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영역별 중요도 평균을 높은 순으로 정리하면, 학습 지원(M=3.95, SD=.85), 학사·행정 지원(M=3.92, SD=.95), 취업 지원(M=3.79, SD=.99), 기술 지원(M=3.75, SD=.92), 예비학습자 지원(M=3.75, SD=.77), 재정 지원(M=3,73, SD=1.00), 공동체 지원(M=3.62, SD=.93) 순이다. 전체 평균(M=3.78)에 비해 중요도가 높게 조사된 영역은 학습 지원, 학사· 행정 지원, 취업 지원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중요도가 낮게 나타난 영역은 공동체 지원, 재정 지원, 예비학습자 지원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항목별 중요도 조사에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학습 지원 영역의 '학습 관리 서비스(M=4.26)' 였으며, 중요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예비 학습자 지원 영역의 '동아리 안내(M=2.89)'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영역별, 항목별 중요도 결과를 분석해 볼 때, e-Learning 환경에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학생 지원 서비스는 학습자들이 학습 수행에 있어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영역이라 여겨지는 학습 지원, 학사·행정 지원 영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학습 지원 및 학사· 행정 지원 영역 다음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영역은 취업 지원 영역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학습자 대부분이 직장인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진학 정보 및 상담 서비스'가 학생들에게는 중요한 관심 영역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e-Learning을 통해 이직이나 진학 등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4.학생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와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7개의 영역 중 취업 지원 영역이 평균 .79로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학사· 행정 지원 영역이 평균 .20로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가 가장 적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원 서비스의 영역별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를 높은 순으로 정리하면, 취업 지원(M=.79, SD=1.40), 재정 지원(M=.60, SD=1.19), 기술 지원(M=.54, SD=1.09), 학습 지원(M=.51, SD=.86), 예비학습자 지원(M=.36, SD=.66), 공동체 지원(M=.22, SD=.84), 학사·행정 지원(M=.20, SD=.70) 순이다. 7개 영역의 학생 지원 서비스 중 평균을 기준으로 만족도와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취업 지원, 예비학습자 지원, 공동체 지원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지원 영역은 중요도가 높게 인식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만족도 결과에 있어서는 7개 학생 지원 서비스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e-Learning 기관의 인식이 학생들의 요구와는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학습자 대부분이 직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 및 진학 정보 및 상담 서비스'에 중요한 관심을 나타낸 것은 e-Learning을 통해 이직이나 진학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반면 취업 지원 서비스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알지 못하고, e-Learning기관은 학습자들이 직장인이라는 이유로 타영역에 비해 정책 수준 및 실행이 미흡하게 수행되어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Gap)가 가장 큰 영역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취업 지원 영역이 e- Learning 기관에서 체계적으로 개선해야 할 학생 지원 서비스의 주요 영역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둘째, 예비학습자 지원 영역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중요도는 낮지만 만족도는 높게 나타난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e-Learning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예비학습자 지원 서비스가 비교적 충실히 수행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학습자 지원 영역이 신입생 유치와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신입생 유치는 곧 e-Learning 기관의 재정과 존속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e-Learning 기관에서는 예비학습자 지원 영역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공동체 지원 영역도 학생들이 인식하는 중요도는 낮지만 만족도는 높게 나타난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e-Learning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동체 지원 서비스가 비교적 충실히 수행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대부분이 학업과 사회 생활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 행사 및 커뮤니티 등에 활발하게 참여할 시간적, 심리적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에 중요도는 낮지만, 대부분의 e-Learning 기판들은 기본적으로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e-Learning의 질 관리 측면에서 e-Learning기관은 학생 지원 서비스의 범위를 확장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e-Learning 기관은 학생 지원 서비스 영역 중, 만족도와 중요도에 있어서 중요한 차이를 나타낸 취업 지원 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개선책 마련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e-Learning의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질 관리를 위해 e-Learning기관은 학습자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수렴·반영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e-Learning을 수행하는 학습자들의 성별, 연령, 직업, 컴퓨터 관련 숙련도 등 학습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생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 중요도를 알아보는 교차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e-Learning에서 학생 지원 서비스에 대한 학습자와 운영진간의 교차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전통적 교실 수업 환경과 e-Learning 환경간의 학생 지원 서비스의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e-Learning 및 전통 교육기관에게 학생 지원 서비스에 대한 심도 있는 인식과 운영 계획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하에서의 학생 지원 서비스의 틀을 제공하는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e-Learning 환경에서의 질 관리 = 6 1. 질 관리의 개념 = 6 2. 질 관리의 필요성 = 12 3. 질 관리의 구성 요소 = 14 B. e-Learning 환경에서의 학생 지원 서비스 = 25 1. 학생 지원 서비스의 개념 = 25 2. 학생 지원 서비스의 필요성 = 27 3. 학생 지원 서비스의 구성 요소 = 30 C. 선행 연구 = 4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45 A. 연구 대상 = 46 B. 연구 도구 = 50 C. 연구 절차 = 54 D. 자료 분석 = 55 Ⅳ. 연구 결과 = 56 A. 학생 지원 서비스의 구성 요소 = 56 B. 학생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 = 58 C. 학생 지원 서비스의 중요도 = 66 D. 학생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중요도 차이 (Gap) = 74 Ⅴ. 결론 및 제언 = 80 A. 결론 = 80 B. 제언 = 86 참고문헌 = 88 부록 = 93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64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c.subjecte-Learning-
dc.subject학생지원-
dc.subject서비스-
dc.subject멀티미디어학-
dc.titlee-Learning 환경에서의 학생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udent Support Service in e-Learning Environment-
dc.format.pagex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학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멀티미디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