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주동선 영역의 위치에 의한 아파트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Title
주동선 영역의 위치에 의한 아파트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Spaces of Korean Apartment
Authors
李炅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Keywords
주동선 영역아파트공간 구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60년대 마포아파트를 필두로 도입된 공동주택의 전체 주거형에 대한 비율이 2000년에 들어서 55.17%를 기록하였다. 국민의 절반이상이 생활하는 대표적인 주거 환경인 아파트공간은 과거 성장위주 경계개발주의의 부정적인 결과물로서의 획일적인 주거환경이라 평가와 성장위주의 시대를 지나서도 계속해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타 거주형태에 비해 현대사회에 적합한 주거환경을 제공했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90년대 들어서 상업적인 차별화를 위해서 기존의 획일적인 아파트 공간형을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가변형 평면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건설 환경상의 여건들에 의해, 가변성은 제한적 선택사항들로 거주자에게 제공할 뿐이다. 제공된 공간 범위 내에서 가능한 여러 선택적 조합들은 기존의 아파트 평면의 조합과 크게 다른 바가 없어 보인다. 이는 동일한 건조 환경 내에서는 동일한 생활패턴들이 추구되기에 이를 수용한 기존의 조합형들을 선택범위로 대상화시켰다는 사실을 말한다. 그러하기에 가변형 주거를 포함한 앞으로의 주거형은 현재의 생활동선을 반영한 기존의 조합형을 참고로 하여 개발될 것이다. 유형학적 건축설계에서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내용으로서 인간의 형태창조를 위한 자아 발견적 문항해결과정은 과거의 경험적 조합에서 이루어진다는 견지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과거의 경험적 조합은 기존의 아파트 단위평면 조합방식을 유형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미 많은 연구에서 필요에 의해 자체로 설정한 기준에 따라 단위 평면의 유형화를 해왔다. 그러나 기존의 기준에 의한 유형화는 평면의 구성을 특징 짓는데 한계가 있어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준의 설정을 통해 기존의 평면들을 유형화시켜 과거의 경험적 조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화 대상은 최근에 수도권 내에 지어진 10~60평대까지의 152개의 벽식 아파트 평면으로 하였다. 새로운 기준은 기존의 유형화 기준-공간구성, 공용공간의 형태, 전면칸수, 그래프 이론-와 타 설계방법론-Sar 방법론, 공간구문론-의 고찰을 통해 설정하였다. 평면을 분류하고 도식화한 유형으로 정리하기 위한 기준은 세 가지인데, 첫 번째는 주거기능별 실의 구분 기준으로 단위평면 내 공간 구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여러 실들을 그 성격에 따라 독립실, 비독립실, 부속실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두 번째는 평면의 분류를 위한 그리드 기준으로 첫 번째 기준으로 구분된 실들의 관계가 전체 평면상에서 어떤 구성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세 번째는 평면 조합형태별 전형의 기준으로 두 번째 기준에 의해 파악된 조합형태를 전형의 기준인 주동선 영역의 위치를 통해 구분하고자 한 것이다. 3가지 기준을 따라 실재 유형화 작업은 3단계를 거치는데, 1단계에서는 조건 1, 2에 맞추어 152개의 실재 평들을 32개의 대표형으로 분류한다. 2단계에서는 조건 2, 3에 맞추어 이론상의 도식화한 유형을 생성한다. 3단계에서는 이론상의 유형에 32개 대표형을 대응시켜, 실재하는 유형을 도출한다. 여기에 각각의 도출된 유형에 포함되는 대표형들의 분석 그리드가 전개되는 범위를 파악함으로써, 주동선 영역의 유형별로 실재 평면의 실 조합 실태를 제시할 수 있고자 했다. 여기에 덧붙여서 한정된 요건 안에서 만들어지는 우리나라 아파트 공간에 대한 나름대로의 재평가를 내려보도록 하겠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형화의 기준과 아파트 평면유형은 과거의 아파트 평면형 연구와 보다 합리적인 과거의 경험적 조합으로써, 앞으로의 아파트 평면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Recently the apartment planers attempt to overcome the monotonous building type. But in the typological architectural design, the process of creating a form is based on the past experiential composition. Therefore in the comtemporary construction environment, new unit-plane reflects the past space composition. The existing arts used the general terms to understand the past apartment planes. But the general terms didn't summarize the entire information of unit-plane and this terms didn't offer the design method to make new composition. This study proposes new terms overcome those defects. The study sampled 152 designs that have recently been buil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rocess of this study has three steps. First step, the kan*kei grid, is one of new terms, divides 153 planes into the 32 representative planes but this term don't offer the design method to make new composition. The existing planner classified various behaviors by functions and an each room was fixed the territory of a function. By the setting up of necessary areas, the plan interrupted the natural flow of dwelling behavior. So with regard to the relation of spaces, the plan is suitable. So second term is to comprehend the dwelling environment in the flow of the rooms and this is the main passage field. In the existing apartments which have the limit of depth, the shapes and directions of entrances and passages permutes several kinds of formula per total dwelling area. Second step, using the kan*kei grid and the main passage field, the figured forms of formula are made. Third step, the figured forms group 32 representative planes into 11 type. The comparison between two types of the main passage field estimates the outcome, is unnecessary spaces, of the mechanical arrangement. This terms offer the design method to make new composition and the method easily create new dwelling type-apartment as adding new behavior to the relation of spa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