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아-
dc.creator김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53-
dc.description.abstract세계적으로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노인성 치매의 수 또한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문제는 환자 자신뿐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치매환자를 위한 뚜렷한 대안이 없는 상태에서 외국에서는 대안치료의 하나로 음악치료에 대한 활발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치매환자를 위한 음악치료의 연구가 부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듬활동을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집중력에 미치는 반응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목표달성을 위한 음악 치료적 접근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연구를 위하여 10명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7주에 걸쳐 10회의 그룹 음악 활동이 이루어졌다. 음악활동은 Rhythme Based Music Therapy의 실제 임상 메뉴얼인 Best Practice in Music Therapy의 기법을 응용하고 치료적 논거로 음악 치료의 전략 중 Music as a Cue와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 (Davis, 1992)중 감감유지를 위한 활동과 리듬의 치료적 요소를 적용하였으며 활동의 순서는 4R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집중력은 치료사의 모델링을 보는지, 지시사항을 정확하게 이행하는지의 여부와 집중행동을 얼마나 지속성을 가지고 행하는지의 3가지 영역에 대해 그룹 전제의 경향성을 세션 초기와 후기의 반응 빈도 평균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 치매의 정도에 따라 경증과 중증으로 나누었을 때와 치매의 종류에 따라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로 나누었을 때의 집중력에 대한 반응 빈도의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악활동을 통한 치매노인의 집중력 향상에 대한 결과는 초기와 후기 반응 빈도수의 차이가 치료사의 모델링을 보는 것과 지시사항을 정확하게 이행하는 것 2가지 영역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치매의 정도에 따른 그룹간의 비교와 치매의 종류에 따른 그룹간의 비교에 있어서도 치료사의 지시사항을 준수하는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노인의 퇴화하는 여러 기능들을 보존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비가역적이며 퇴화하는 치매의 특성상 단시간의 중재로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렇게 리듬활동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된 음악적 자극이 치매노인의 집중력에 있어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은 음악적요소가 치매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치료에서 다양한 음악요소를 이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활용을 제안해 볼 수 있겠다.;Globally, dementia is increasing very fast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of oldster. Furthermore, the problem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dementia becomes severe public problem. In foregn country, music therapy is considered as good curative means to cure dementia, and many research relating music therapy (study) is conducting and very brisk. However, in the interior, the music therapy for dementia makes poor progres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how effective music therapy approach for curing the dementia by analyzing and comparing how rhythm based music therapy affect the convergence of dementia. For this study, 10 old people suffering dementia participate for 7 weeks and total 10 group music sessions are completed. Best Practice in Music therapy is practiced and music as cue is used as basis and operation for sense of therapy for dementia is applied (Davis, 1992). In addition, based on 4R, program is constructed. The convergence ability is analyzed by using group tendency of reaction frequency average of the early and latter stage. For this, group tendency of 3 fields is studied, could dementia see the modeling of therapist? Could they understand the instruction? How long could they continue convergence activity? In addition, the reaction frequency and average for convergence ability is analyzed when dementia is divided by serious and slight case based on degree of dementia, and divided by dementia of alzheimer's type and vascular dementia based on kind of dementia.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statistical difference for improvement of convergence ability due to music therapy in the difference of reaction frequency of the early and the latter stage in two field; seeing modeling and understanding the instruction. Also, in comparing between group based on the kind and degree of dementia, there is statistical difference in field of understanding the instruction. Even though there are so many efforts to preserve and improve the degraded ability of dementia, it is difficult to improve degraded ability of dementia in a shot time due to the character of dementia. As it is, structured music stimulus founded on rhythm based music therapy resulted in change of convergence ability of dementia. This means ! that music therapy is very helpful to cure dementia.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 suggest that various music therapy program using music function for dementia should be used continuous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2 C. 연구문제 = 3 D. 용어의 정의 = 3 1. 집중력 = 3 2. 집중행동 = 4 3. Rhythm-Based Music Therapy Program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치매 = 5 1. 치매의 특성 = 5 2. 치매환자의 임상진단 = 6 1) 평가도구 = 6 2) 임상진단에 따른 치매정도의 분류 = 7 3.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의 치료적 기능 = 8 4. 치매노인에게 리듬활동을 적용한 음악치료의 선행연구 = 10 B. Rhythm-Based Music Therapy = 14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도구 = 18 C. 연구방법 및 절차 = 18 1. 연구기간 = 18 2. 방법 및 절차 = 18 3.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목표 및 단계 = 19 4. 음악치료 프로그램 구성의 치료적 논거 = 22 5.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 25 Ⅳ. 연구결과 = 31 A. Rhythm-Based Music Therapy Program이 치매노인의 집중행동 유무에 미친 영향 = 31 1. 음악치료 활동에서 치료사의 모델링을 보는 빈도의 변화 = 31 2. 치료사의 지시사항을 정확하게 준수하는 빈도의 변화 = 33 B. Rhythm-Based Music Therapy Program이 치매노인의 집중시간의 지속성에 미친 영향 = 34 C. Rhythm-Based Music Therapy Program 적용 시 치매정도가 치매노인이 집중행동에 미친 영향 = 36 1. 치매의 정도에 따라 치료사의 모델링을 보는 빈도의 변화차이 = 36 2. 치매의 정도와 치료사의 지시사항을 정확하게 준수하는 빈도의 변화차이 = 38 3. 치매정도에 따른 집중행동 지속시간의 변화 = 39 D.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구분에 따른 집중행동과 지속시간의 변화 = 41 1. 치매의 구분에 따라 모델링을 보는 빈도의 변화차이 = 41 2. 치매의 구분에 따라 치료사의 지시사항을 정확하게 준수하는 빈도의 변화 = 43 3. 치매의 구분에 따른 집중시간의 지속성 변화 = 44 Ⅴ. 결론 및 논의 = 47 A. 결론 = 48 1. 치매노인의 집중행동의 유무에 대한 결과의 해석 = 48 2. 치매노인의 집중시간의 지속성에 대한 결과의 해석 = 48 3. 치매정도에 따른 치매노인의 집중행동과 지속성에 대한 결과의 해석 = 49 4. 치매의 종류에 따른 집중행동과 집중 시간 지속성에 대한 결과의 해석 = 50 B. 연구의 제한점 = 51 C. 논의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3 부록 = 58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6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치매노인-
dc.subject집중력-
dc.subjectRhythm-based-
dc.subjectMusic Therapy-
dc.title치매노인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Rhythm-based Music Therapy-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hythm-based Music Therapy for improvement of convergence ability of dementia older people-
dc.format.pagex,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