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수현-
dc.creator나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6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ituation on spe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survey the teachers' and students' need for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i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special school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were 316 teachers and 270 students in 50 special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The one way ANOVA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s according to students' disability typ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1 In the majority of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special schools, support programs for the college entrance of students were insufficient 2 Teachers showed high needs about for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3 Students showed universally low satisfaction and high support needs Also, according to students' disability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 students' satisfaction and support need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support programs for the college entrance of students are insufficient i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special schools Also,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w high need for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최근 장애를 가진 학생이 변화하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절히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기회 확대를 정책의 한 방향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대한 욕구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해를 거듭할수록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고등교육으로의 진입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 중 하나로 특수학교에서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지원의 부족을 들 수 있다. 최근 우리 나라에서는 대학에 진학한 장애 학생의 실태 및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장애학생의 고등교육으로의 진입(대학입학) 이전의 교육환경 및 제도, 교육의 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 진학에 대한 욕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실태 및 진학지원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교사들의 지원요구 및 학생들의 만족도와 지원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50개교의 고등부 교사 316명 및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대학에 진학한 특수학교 졸업생과 현장 교사와의 면담 및 교육과정에 관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지원요구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실태를 알아본 결과,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 교육부(1998b)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에 못 미치고 있었고, 수업 운영에 있어 학년이 높아질수록 직업교과의 수업 시수가 증가하고 있어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는 맡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대부분 학교에서 일반학교 교과서를 교재로 사용하고 있었고,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이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진학지원에 있어 고등부 과정에서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계열을 분리(예, 인문반, 실업반)하여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33 개교 중 8개교(24.2%)였고,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진학지원 프로그램에 있어 진학반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66.7%, 보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57.6%였다. 한편, 연구대상 학교 중 97%가 학생들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비정기적으로 진학상담을 실시하고 있었다. 3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는데, 특히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 찬성', '특수 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의 개선필요'에 대해 높은 요구를 보였고, 수업 운영에 있어서는 '보통교과의 교수 방법 개선', '학생들의 성취도 평가 방법의 개선' 문항, 진학지원에 있어서는 '진학 상담', '진학반과 같은 진학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직업 교육을 원하는 학생과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의 계열(예, 인문반, 실업반) 분리', '내신성적 산출방법이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4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진학을 위한 보통 교과의 주당 수업 시수'와 '대학 입시에 대한 정보 제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 분석결과 .05 수준에서 시각장애 학생들과 지체부자유 학생들간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의 지원요구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적 낮은 지원요구를 보인 항목들은 수업 운영에 대한 부분이었다.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지원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 분석 결과 001 수준에서 시각장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 간의 지원요구와 지체부자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간의 지원요구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은 대학진학을 위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안고 있었다. 우선적으로는 고등부 교육과정의 계열을 인문계와 실업계로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이 어렵다면, 다양한 형태의 진학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등부 2∼3학년 과정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본 연구 결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특수학교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 특수학교에서의 대학진학을 위한 교육은 많은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서는 대학에 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학생들을 가능한 한 인근의 일반학교로 통합교육을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장애 학생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일반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장애 학생들이 일반학교에서 일반학생들과 함께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물리적 환경개선 및 제반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배경 = 9 A. 장애 학생의 고등교육의 필요성 = 9 B. 장애학생의 대학진학 현황 = 11 C. 고등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운영 = 13 1. 학교 수준 교육과정 = 13 2.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선 필요성 = 15 Ⅲ.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도구 = 20 C.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 26 D. 자료 처리 방법 = 28 Ⅳ. 연구결과 = 29 A.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부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실태 = 29 B.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진학지원 현황 = 33 C.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개선요구 = 39 D.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지원 요구 = 40 Ⅴ. 논의 및 제언 = 47 A. 논의 = 48 B. 제한점 = 53 C. 제언 = 54 참고문헌 = 55 부록 = 60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703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각-
dc.subject청각-
dc.subject지체부자유-
dc.subject특수학교-
dc.subject대학진학-
dc.subject고등부 교육과정-
dc.title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들의 지원요구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