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의미관계 확장에 미치는 효과

Title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의미관계 확장에 미치는 효과
Authors
김혜원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이야기책읽기 중재언어발달지체아동의미관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의 언어발달에 기초를 확립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많은 연구들에서는 이야기책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야기책 읽기 중재는 읽기 장애 아동을 위한 읽기와 쓰기뿐 아니라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중재로서 연구되어 왔다(Bellon & Ogletree, 2000, Hoggan, & Strong, 1994, Owens & Robinson, 1997) 연구자들은 자연적 중재 맥락으로서의 이야기책 읽기의 사용을 점차적으로 옹호하고 있지만, 연구와 실재 모두에서 목표로 하는 언어의 형태와 기능을 습득하는데 제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자연적 중재 접근으로서 이야기책 읽기를 사용 할 때, 상호작용적 주고-받기를 유지하면서 아동이 더 복잡하고 다양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스캐폴딩(scaffolding)전략이나 확장(expansion), 확대(extention)와 같은 자연스러운 촉진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Bradshow, Hoffman, & Norris, 1998), 이것이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라 할 수 있다. 언어발달지체아동은 의미론적 측면에서 또래아동들에 비하여 느리게 발달되거나 제한되어있다.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는 이야기 안에서 의미 관계에 대한 아동의 이해를 증가시키고, 더 복잡한 구문-의미 관계에 사용되는 규칙들을 쉽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발달치체아동의 언어능력에 대하여 잠재성과 효과성이 뛰어난 방법으로 보고되는 이야기 책읽기 중재에 연구와 실제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적 요소들을 첨가한 기능적 읽기 중재를 실시하여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제한된 의미론적 언어능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의미관계확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이 만 3세에서 6세 사이인 언어발달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4명의 대상아동에 대한 대상자간 중재 및 일반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주 3회에 걸쳐서 중재를 실시하고, 일반화는 기초선과 중재의 시기에 간헐적으로(probe)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를 실시하여 아동들의 의미론적 언어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기능적 읽기 중재가 의미관계 확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발화에서 나타나는 다단어 의미관계 유형과 그 빈도를 관찰하여 아동이 사용하는 다단어 의미관계의 유형 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는 네 명의 언어발달지체아동의 다단어 의미관계 유형수를 증가시켰다. 둘째,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앍기 중재를 통해 증가된 대상아동의 다단어 의미관계 유형수는 놀이 상황에서 실시한 상황일반화에서 대상아동 모두에게서 중재의 효과가 일반화되었다. 또한 네 명의 대상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이야기책 읽기에서 실시한 대상일반화에서도 대상아동 모두에게서 중재의 효과가 일반화되었다. 셋째, 중재가 종료된 3주 후에 실시한 유지검사에서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를 통해 증가된 대상아동의 다단어 의미관계 유형수에 있어서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 발달지체아동의 의미관계 확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의미론적 언어능력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척도로 의미관계 확장을 능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의미관계를 사용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은 이후의 확장적이고 의미 있는 문장발달에 매우 효과적인 지표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김영태, 1998), 의미관계를 사용함에 있어서 특히 제한된 형태의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발달지체아동에게 있어서 다양한 의미관계로의 확장은 큰 시사점을 준다. 따라서 아동의 의미관계의 확장에 대한 척도인 다양한 다단어 의미관계 유형의 사용에서 대상아동 모두가 증가된 수행을 보인 결과는,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 발달지체아동의 의미론적 언어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책 읽기 중재를 연구자와 아동의 일대일 교수 상황에 국한하여 실시하였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야기책을 이용하여 학급이나 그룹상황으로 읽기 중재를 사용한다면 좀 더 다양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cent Intervention studios have demonstrated that story book leading as a mean of providing language Intervention to young children can result I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reading Intervention using storybook o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ed In expansion of semantic relations In this study, 4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ed, 3 to 6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order to ascertain effects of Inter-subject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was used The realization of the functional leading activities using storybook was observed In this category, semantic relations of the utterance The treatment was composed of 13-14 sessions and 5 generalizations across situation and among other adults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3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comple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 1 The functional leading Intervention using storybook Increased the types of semantic relations of all four children with language delayed 2 Increased level of the types of semantic relations through the functional leading Intervention using storybook was generalized to free play situation 3 Increased level of the types of semantic relations through the functional leading intervention using storybook was generalized to mothers 4 Increased level of the types of semantic relations through the functional leading Intervention using storybook was maintained even three weeks after the treatment The maintenance of the target children showed that the level was little higher than the intervention level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use of the functional leading Intervention using storybook In language Interventions Is an effective naturalistic approach for semantic relations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