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현대 미술에 적용된 시공간 표현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현대 미술에 적용된 시공간 표현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nvironmental design process based on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art expression : centering around designing a commercial space for D clothes
Authors
윤민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Keywords
현대 미술환경디자인시공간상업공간 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우리 나라 유통은 고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유통구조의 개선과 상품의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또한 대량생산의 진전으로 상품의 질이 균질화 되고 동일 가격화 됨에 따라 상품의 차별이 점차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패턴은 기업의 이미지와 구매시점의 호소력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비성향의 증가와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 변화와 함께 기업은 고객에게 보다 많은 정보와 생활의 아이디어 제공 해야한다. 그리고, 기능적ㆍ미학적인 유통 디자인을 통해 상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보다 나은 판매 환경이 무엇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은 유통환경의 현황을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빠르게 변화되는 유통 시대에 우리나라 패션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새로운 유통문화 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새로운 디자인 접근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유통환경의 문제점을 실증적 이론의 근거로 진단하여 소비자 행태의 변화에 대응한다. 또한 환경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으로 현 시대의 사조와 경향에 대해 규범적이론의 근거를 제시하여 상관성을 고찰한다. 시ㆍ공간 개념이 예술적인 인식대상으로서 등장한 것은 19세기 후반 이후로서 근대의 과학적, 철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미술에서 뿐만 아니라 건축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현대예술의 패러다임의 변화하면서 등장한 테크놀러지의 예술과 함께 시ㆍ공간적인 한계와 모든 기술적 장애물을 넘어서 디지털과 예술의 통합체로서 하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인한 정보의 확산으로 구축공간의 양상이 급속히 변형되고 있으며, 불확실성이 다양하고 과도기적인 양태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예술에서 물리적 공간을 뛰어넘을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예술을 폭넓게 대중화 시켰던 것 이상으로 예술을 대중화 시키며, 대중매체 및 테크놀러지 예술은 현대인의 사상과 철학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문화적 가능성을 우리에게 열어주고 있다. 이러한 의미는 현대건축에서 시ㆍ공간 개념의 맥을 이어가는 것이며 소비자본주의 시대에 환경디자인의 창조적 가능성과 예술적 감수성을 확장시키고 영역의 관습적 구분을 벗어나 보다 폭 넓은 디자인 경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예술전반의 모든 상호관련성에 대해 올바른 인식과 정확한 판단을 해야한다. 이와 같은 현대예술의 환경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연구배경 및 목적과 방법을 체계화하였다. 2. 다학문적인 관점에서 시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른 정보미디어의 사용, 참여와 소통의 과정, 타영역간의 상호연계성을 예술영역과 건축영역에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규범적 이론(normative theory)으로 설명하였다. 3. 새로운 디자인의 표현특성인 설치적 경향과 비물질적인 시ㆍ공간적 조형개념 환경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해체주의와 미디어건축에서 나타난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디자인 과정의 방향 제시를 위해서 구체적인 방법들을 고찰하고 사례분석을 하였다. 4. 우리나라 유통환경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소비자 행태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디자인 문제 접근 방법으로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유통환경과 마케팅 시장으로서의 환경디자인, 후기산업사회 시대의 소비행동을 인간중심적인 방법으로 체계화 하였다. 5. 구체적인 의류상업공간의 계획을 위해 소비자 라이프 분석, 이미지 포지셔닝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예측하고, 대상지를 설정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6. 유통환경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환경디자인에 체계적인 창조과정으로 미적 가치를 부여하고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현대예술 영역과 건축영역에 나타나는 시ㆍ공간 개념의 표현특성을 실내디자인에 적용하여 이미지와 기호를 소비하는 소비자본주의 시대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환경디자인으로 접근을 시도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표현방식은 환경디자인 영역성을 확장하고 풍부한 표현가능성을 확보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patiotemporal concepts of formation i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to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art expression. The spatiotemporal concept began to be regarded as an object of artistic perception in the late 19C, and as paradigms of modem arts change, now it is implying a new possibility of overcoming some spatiotemporal limits and technical obstacles and uniting digital with art, and most recently it is repidly transforming and dominating the aspects of constructional space in a uncertain, diversified and transitional way due to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by the digital technology. Digital media jumping over the physical time and space have made art more popular than post-modernism did, and today mass media and technology arts are bring us new cultural possibilities of representing modern man's ideas and philosophy most clearly. This means tat the line of the spatiotemporal concept is still maintained in the modem architecture, the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tivity of environmental design can be expanded in this consuming capitalistic age, and more comprehensive design tendencies casting off all the conventional classifications of genre can come out. There, designers shoul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nd make an exact judgment on every correlation between new paradigms and art fields. This study as a study of designing has been progressed as follows: 1. Spatiotemporal concepts in the new paradigm were accessed in a multi-scientific way, and the use of information media, processe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areas were investiga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field and constructional space. 2. The installational tendency and the formative concepts of nonmaterial time and space in the modem art were looked at, concrete methods to demonstrate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 processes and directions in the deconstructionalism and media construction were analyzed. 3. The circulating environments and the aspects of environmental design as a marketing tool with marks and symbols in a consuming captialistic age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proper directions for designing a commercial space for clothing. 4. For concrete designing a commercial space for clothing, fashion trends and consumer's life style were analyzed, then a subject area was selected through image positioning, and problems were analyzed. 5. Alternatives were provided to grant environmental design as a marketing communicatory some aesthetic values. Through this process, the author of this study could apply the spatiotemporal concepts and expressional features in the modern arts and architecture to interior design and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as a marketing communicator in this consuming capltalistic age. This expressional method can expand the sphere of environmental design, enrich its expressional potentiality and provide new alternat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