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3 Download: 0

기능적 활동에서 시간지연법을 이용한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기-시작 발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Title
기능적 활동에서 시간지연법을 이용한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기-시작 발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Other Titles
Effects of time delay strategy in functional activities on appropriate self-initiated speech in autistic children
Authors
권은영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시간지연법중재자폐아동발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대부분의 자폐아동들은 상황에 적절한 발화를 산출하는 것은 물론 구어적 촉진없이 비구어적 상황 단서에 대해 스스로 대화를 시작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정상적인 일상의 의사소통 대부분이 구어적으로 촉진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폐아동에게 스스로 언어를 시작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상황에 적절한 자기-시작 발화의 산출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아동에게 자기-시작 발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환경언어 중재전략의 하나로서 시간지연법이 자폐아동의 적절한 자기-시작 발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여러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일과 내의 독립된 장면에서 요구되는 시작 발화를 목표로 하였으며, 이러한 자기-시작 발화 산출시 경과시간의 감소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따라서 연속적인 시작발화를 요하는 일상의 기능적 활동내에서 시간지연법이 적절한 자기-시작 발화의 빈도 및 경과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제 상황에서도 일반화가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시간지연법의 사용 범위 확대와 그 활용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시작 발화를 거의 보이지 않는 4명의 학령기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시간지연법이 기능적 활동에서 적절한 자기-시작 발화의 빈도 및 경과 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또한 문헌에 언급된 시간지연법의 두 유형(고정 시간지연법과 점진적 시간지연법)이 모두 자폐아동의 자기-시작 발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아동에게 자기-시작 발화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두 가지의 기능적 활동을 선정하였다. 유사한 기능적 구조를 지닌 두 활동(수퍼마켓에서 물건 사오기와 햄버거 가게에서 주문하기)을 선택한 이유는 특정활동이 중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일반화 자료는 전체 실험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수집되었으며, 지역사회내 장소(실제 수퍼마켓과 햄버거 가게)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중재 종결 3주 후에는 유지 자료를 수집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활동에서 시간지연법을 사용했을 때 4명의 자폐아동 모두가 적절한 자기-시작 발화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기능적 활동에서 시간지연법을 사용했을 때 4명의 자폐아동 모두 비구어적 자극 제시로부터 자기-시작 발화를 산출하기까지의 경과시간(latency)에 있어 감소를 보였다. 셋째, 지역사회내 수퍼마켓과 햄버거 가게에서 중재기간 중 간헐적으로 실시된 상황 일반화 검사 결과 세 명의 대상아동들은 중재 결과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나머지 대상아동 한 명(S1)은 중재 수준에는 조금 미치지 못하였으나 기초선 보다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넷째, 유지검사에서 대상아동 세 명의 자기-시작 발화의 빈도 및 경과시간은 중재 후반부에 비하여 다소 낮아졌으나 기초선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나머지 한 명(S4)은 중재 후반 수준에는 많이 미치지 못하였으나 기초선보다는 더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간지연법이 일상생활의 기능적인 활동 속에서 자폐아동의 적절한 자기-시작 발화를 산출하는데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비구조화된 다양한 실제 장소에서도 일반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동이 자발적으로 발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체계적인 지연절차를 통해 지금까지 언어중재의 초점이 되어왔던 교사의 시작에 대한 아동의 적절한 반응은 물론 적절한 자기-시작 발화의 증가와 함께 보다 균형있는 언어발달을 꾀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me delay strategy on appropriate self-initiated speech in autistic children. Time delay is one of the milieu language straregies. Four autistic children who showed few self-initiated speech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the multiple probe design, the frequency and the latency of self-initiated speech were measured. Two functional activities(purchasing in supermarket and ordering in fastfood store) countervalanced across subject. During the training sessions, subjects were trained through two time delay techniques : constant time delay and progressive time delay. To see the maintenance effect, three follow-up data was collected in 3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treatment. To see the generalization effect, several probe data were collected in real situation (community supermarket and fastfood sto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ime delay in functional activiti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frequency of appropriate self-initiated speech in 4 autistic children. 2. Time delay in functional activities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atency from presentation of nonverbal cued stimulus to production of self-initiated speech in 4 autistic children. 3. 3 of the 4 subjects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with the training session in the result of the generalization probe which was performed in the supermarket and fastfood store within community. The other subject(S1) fell a little short of the level of the training session but showed the higher level than that of base line. 4.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3 out of the 4 subjects showed slightly lower level than the later part in the respect of the frequency and latency of the appropriate self-initiated speech, But they maintained the even higher level than that of base line. The other subject(S4)'s maintenance data dropped below the levels obtained in the final stages of the treatment phase but became higher than that of base line. These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the time delay in functional activities is effective in appropriate self-initiated speech of autistic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