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연-
dc.creator김정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on communicative interaction pattern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n free play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heir mothers. Subjects were three nonspeaki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ged from 6 years 4months to 7 years 2 months and their mothers as a communicative partners. AAC communicative partner program was composed of the training interaction facilitative strategies and the video feedback intervention to mothe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During intervention session,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has been carried out to subjects for 30 minutes and the interval recording has been used before each training for 15 minutes to collect data.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3-4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after 3 week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fter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session, the target children's communicative interactive behaviors was increased. Second, the range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the children were varied by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Third, after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the mothers became to acquire communication facilitative strategies and to use them efficiently in order to interact with children. Fourth,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during the three weeks follow-up sessions. The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ed that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to mother could influence positively on the mother-child with severe disabilities communicative interaction.;의사소통 행동은 인간이 상호작용을 하는데 중요한 기술이다. 그러나 중도장애아동의 경우 신체, 언어, 인지 등의 여러 제한점으로 인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는 기술을 습득하고 일반화하기가 어렵다. 또한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였다 하더라도 수동적인 대답하기 중심의 기능을 하게 되며 대화 상대자의 주도하에 한정된 의사소통만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AAC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장애아동과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모든 자연적인 상황 속에서 아동과 대화를 하게 될 대화상대자에 대한 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아동의 미래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AAC 대화상대자 훈련을 실시하여 이러한 대화상대자 훈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의 사용을 증가시키는지 살펴보고, 또한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시도하기, 반응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도시에 있는 국립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3명의 중도장애 초등학생이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AAC 대화상대자 훈련을 실시한 후, 어머니의 중재기술 사용 빈도의 변화와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훈련은 3회기 동안 실시되었고 각 회기마다 첫 15분간은 자료수집을 위해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놀이활동을 관찰하였고, 다음 30분간은 장애아동 어머니에게 아동의 메시지 확인하기, 의사소통판 사용의 모델링하기, 잠깐 멈추고 기다리기의 세 가지 중재기술 사용에 대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3회기의 훈련단계가 끝난 뒤 비디오 피드백 단계의 중재기간에는 아동-어머니의 놀이활동을 15분간 비디오로 촬영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촬영이 끝난 뒤 비디오를 보며 30분간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어머니와 아동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아동과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대상일반화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상황일반화를 관찰하였다. 유지 검사는 중재가 종료된 지 3주 후에 각 어머니와 아동별로 3-5회기씩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이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시도하기와 반응하기 발생률을 증가시켰다. 둘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이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을 다양화시켰다. 셋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이 중도장애아동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의 발생을 증가시켰다. 넷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으로 변화된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과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은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AC 대화상대자 훈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의 사용을 증가시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었으며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제한적이긴 하지만, 세 명의 중도장애 아동의 어머니에게 AAC 대화상대자 훈련을 중재하는 것이 중도장애 아동의 AAC를 사용한 의사소통 상호작용에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9 A.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 9 B. 중도장애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특성 = 11 C.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 = 14 1.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4 2. 의사소통판을 사용한 AAC 중재 = 15 B. AAC 대화상대자 훈련 = 17 1. AAC 대화상대자 훈련의 필요성 = 17 2.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 19 3. AAC 대화상대자 훈련의 교수 전략 = 21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실험 기간 = 28 C. 실험 장소 = 29 D. 중재 활동 선정 = 30 E. 실험 도구 = 31 F. 실험설계 및 조건 = 33 G. 관찰 및 측정 = 38 H. 신뢰도 = 42 Ⅳ. 연구결과 = 44 A. AAC 대화상대자 훈련이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 44 B. AAC 대화상대자 훈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의 사용에 미치는 효과 = 53 C. AAC 대화상대자 훈련에 의한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과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의 일반화와 유지효과 = 59 Ⅴ. 논의 및 제언 = 62 A. 논의 = 62 1.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의 변화 = 62 2.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의 변화 = 68 3.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과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의 일반화와 유지 = 71 B. 제한점 및 제언 = 74 참고문헌 = 76 부록 = 85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165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AAC 대화상대자 훈련-
dc.subject중도장애아동-
dc.subject의사소통 기술 습득-
dc.subject중재기술 사용-
dc.titleAAC 대화상대자 훈련이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기술 사용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on Interaction with Mother-Child with Severe Disabilities-
dc.format.pageix,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