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중·고교생의 민주적 성향에 대한 연구

Title
중·고교생의 민주적 성향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MOCRATIC PROPENSITY BY TH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uthors
金聖姬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Keywords
중·고교생민주적 성향경북지역학생일반사회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is intended to discern a possibility for democratic development that may be taken place in Korea in the future by examining democratic propensity of th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o will be in charge of a future society. This particular study has been at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470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Kyungbook district as corroborative investigation samplings. As for variables, student's sex, academic year, profession and educational career by each father, atmosphere both at home and school and contact degree of mass media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s variables, while the democratic pro-pensity considered as its subordinate variables were consisted of the three elements, namely, the inclination of criteria, the inclination of values and the inclination of participation. If we look at the study results, each respective element has shown a vari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of the student, district and academic year. It was noteworthy tha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propensity than male students, quite apart from a generally accepted idea up to the present, As for the academic year, it was revealed that the democratic propensity would develope aecording to the promotions of the academic year. The profession and educational career of father, as the variables connected with living standard, were revealed as higher propensity of participation as compared to lower inclination of criteria and values in the children who belong to those engaged in agriculture and possessed with lower educational career. This may be assumed that it was mainly because of the stronger inclination of desire to promote one's status that the students under such a circumstance would attempt to get rid of their status and conditions,. As the result that observed the influence affected on the democratic propensity by the atmosphere both at home and school, the more openly, intimate and free the constituents would get involved, the higher democratic propensity the students would show. It is, therefore, required that a series of efforts should place on improving the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environments both at home and abroad for democratic way and openness. Also,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owards the students have shown with a considerebly large degree. This implies that a prudence should be taken into the consideration for forming the programs of such a mass media. As for the correlation of the three elements including democratic criteria, values and participation considered as dependent (subordinate) variables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iteria and the paricipation was shown with higher degree, As it may be appeared as if the cognition toward the value of democracy by the students were in the status of imperfection as yet, it is desired to be imperative that more priority should place on the value of education in an aspect of education for the years to come;現 시점의 한국은 정치발전 특히 민주정치발전의 중요한 분기점에 와있다고 할 수 있다,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국민들의 열망은 대통령 직선제의 개헌을 성취하였고 내 손으로 뽑을 수 있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 직선제가 곧 민주주의인 것은 아니다. 우리가 설사 민주주의 제도를 완전하게 갖추게 된다 하더라도 그 제도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태도가 비민주적일 때 민주주의는 그 기능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민주주의 제도를 원활하게 운영하여 민주정치발전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국민들 사이에 민주적인 특징 곧 민주적인 태고와 성향이 광범위하게 공유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미래의 사회를 담당할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민주적 성향의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장차 한국의 민주발전에 대한 가능성 가늠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조사방법을 채택하였는데, 조사의 대상은 대구직할시 내의 4개 학교와 경북 성주군에 위치한 4개 학교로서 총 8개 학교의 470명이며, 도구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질문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전자계산연구소에서 분석·처리되었다. 자료처리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의 배경적인 변수로서 性·지역·학년·父의 직업과 학력을 선택하여 민주적 성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은 민주적 성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참여성향에서는 의의있는 차이를 보여 지금까지의 통념을 깨뜨렸다. 지역별 조사에서는 도시학생이 농촌학생 보다 규범 및 가치성향은 높았으나 참여성향은 낮은 결과를 보여 도시민의 정치소외의식 또는 엘리트의식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학년에 따른 민주적 성향의 차이에서는 고등학생이 전반적으로 중학생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정치적 성향 및 민주적 성향이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버지의 직업과 학력은 생활수준과 연결되는 상관있는 변수로 농업종사자와 저학력자의 자녀일수록 규범과 가치성향은 낮은 반면, 참여성향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 지위에 대한 지위상승욕구가 다른 가정의 자녀들보다 강하며 그로 인해 참여성향도 높게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민주적 성향 형성의 환경적 요인으로서 가정·학교·대중매체를 선택하여 이들에 대한 민주적 성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가정과 학교의 환경에 따른 민주적 성향의 차이에서는 의의있는 수준의 것은 아니지만 그 분위기가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상호 친근한 관계를 지닐수록 학생들의 민주적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교육에 대한 재인식과 학교교육의 개선을 통해 민주주의적인 정치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할 것이다. 학생들의 민주적 성향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은 상당히 큰 것으로 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전통적인 환경인 가정이나 학교에 비해 보다 근대적인 가치를 보급해줌으로써 학생들에게 참여적이며 민주적인 정치성향을 부여해 준다고 하겠다. 끝으로 민주적 성향의 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서는 규범성향과 참여성향이 보다 밀접한 관계로 나타났다. 이것은 아직까지 학생들에게 있어 민주주의의 가치에 대한 내면화는 부족함을 보여주므로 앞으로의 교육에 있어서 가치교육에 좀 더 주력할 것을 시사해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대한 언급으로서의 서론과 연구의 방법 및 절차에 관한 연구방법론, 연구주제에 관련된 이론적 문헌연구, 조사내용 및 결과의 분석, 그리고 논문의 전체적인 요약 및 결론으로 이루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