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지연-
dc.creator백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9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93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비연속 과제(discrete task)에서 결과지식후 지연간격(post-KR delay interval)의 길이가 운동수행과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의 길이는 운동수행과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의 대상은 남녀 중학생 40명(평균연령 14.4세)으로 구성하고,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이 각각 다른 4개의 집단(0초, 2초, 5초, 20초)에 10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 과제는 배씬 예측 타이머(Bassin anticipation timer)로 주로(runway)의 끝에 있는 표적 전구(target lamp)에 빛이 도달하는 순간과 그에 반응하는 시간과의 오차를 msec 단위로 측정하는 예측 시간(anticipation time) 측정 도구였다. 본 실험의 실험 설계는 습득단계에서는 4(결과지식 후 지연간격; 0초, 2초, 5초, 20초) × 10(분단) 반복측정 설계(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를, 파지 단계에서는 결과지식후 지연간격(0초, 2초, 5초, 20초)에 따라 5회 측정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표적 전구에 빛이 도달하는 시간과 반응하는 시간과의 절대오차(absolute error)(AE)를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의 분석을 위해 습득단계에서는 결과지식후 지연간격(4) × 분단(10) 에 따른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2-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second factor)을, 파지단계에서는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4)에 따른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습득단계에서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F=12.323, p<.001), 시행 분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10.529, p<.001). 반면, 결과지식후 지연간격과 분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4개 집단의 수행오차 평균을 비교한 결과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이 5초인 집단(42.72), 2초인 집단(44.50), 0초인 집단(47.83), 20초인 집단(53.61) 순으로 수행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집단에 따른 수행오차를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5초 집단과 20초 집단, 2초 집단과 20초 집단, 0초 집단과 20초 집단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분단에 따른 수행오차를 비교한 결과 1분단의 수행오차가 61.36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10분단이 36.46으로 수행오차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분단에 따른 사후검증 결과 1분단과 10분단, 1분단과 8분단, 1분단과 9분단, 2분단과 10분단, 1분단과 7분단, 1분단과 5분단, 1분단과 6분단, 4분단과 10분단, 2분단과 8분단, 3분단과 10분단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지단계의 통계분석 결과, 실험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9.031, p<.001). 4개 집단의 수행오차 평균을 비교해보았을 때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이 5초인 집단(34.38), 2초인 집단(36.34), 20초인 집단(54.60), 0초인 집단(50.96) 순으로 수행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분단에 따른 수행오차를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0초 집단과 5초 집단, 5초 집단과 20초 집단, 0초 집단과 2초 집단, 2초 집단과 20초 집단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의 길이가 운동수행과 학습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습득단계와 파지단계 모두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이 5초로 제공된 집단에서 운동수행과 학습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습득단계에서는 20초의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을 제공받은 집단이, 파지단계에서는 0초의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을 제공받은 집단의 수행이 가장 저조하게 나타났다.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의 운동학습효과를 수업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현장 과제를 대상으로 종목별 특성에 적합한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에 대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is experiment the effects of post-KR-delay interval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with discrete motor task. For this purpose, forty middle school students(average age is 14.4) with no information and experience about this experimental task were randomly assigned into 4 different groups. Each group consists of 10 students and divided according to post-KR-delay intervals(interval of delay for students is 0secs, 2secs, 5secs, 20secs, respectively). For this test, Bassin Anticipation Timer developed by Stanley Bassin was connected with a button. The subjects were told to touch the button when the last stimulation red light among the 32 which were designed to be on consecutive order was on. The time error of the subjects' performance was recorded as the subjects touch the button. The measurement errors were as calculated as absolute errors. For statistical analysis, in the phase of practice we employed two-way ANOVA of 4×10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block, while implementing one-way ANOVA in the retention phas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in the following. The analysis of the acquisition phase data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post-KR delay interva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block. Subjects given 5 secs post-KR delay interval showed better performance with smaller performance error than other groups. In retention phase, the main effect of KR-delay interval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ubjects given 5secs post-KR delay interval showed better performance with smaller performance error than other groups as like acquisition phas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post-KR delay intervals may have effects on discrete motor tas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운동학습과 결과지식 = 5 1. 운동학습의 개념 = 5 2. 연습과 피드백 = 7 3. 결과지식의 정의 및 기능 = 12 4. 결과지식의 제공 시기 = 14 B.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post-KR delay interval)과 운동학습효과 = 16 1. 결과지식후 지연간격 = 16 2. 결과지식후 지연간격과 운동학습효과 = 17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실험과제 및 기자재 = 20 C. 실험설계 및 절차 = 22 D. 자료처리 및 분석 = 24 Ⅳ. 연구 결과 = 25 A. 습득 단계 = 25 B. 파지 단계 = 32 Ⅴ. 논의 = 35 Ⅵ. 결론 및 제언 = 37 참고 문헌 = 39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83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96-
dc.title결과지식후 지연간격에 따른 비연속과제의 운동학습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ost-KR delay intervals on Learning Discrete Motor Task-
dc.creator.othernameBaik, Ji-Yeon-
dc.format.pageⅵ,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