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영-
dc.creator이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6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664-
dc.description.abstractHigh school students grow in the complex society of 21C which is called as globalizational age, information-based age, and pluralized age and have to accept the value sense and cultural need the society requires. For those who are experiencing process of socialization in this environment as the adolescent age, a teaching is necessary that can plant self-confidence by affording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in order to open their complex and various inner world which are as much complex as this society, and can help them to reveal themselves actively by affording the chance to get self-contemplation in order to reflect themselves, and also there needs a class which reflects their interest and attenti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are in the place where the anxiety about future is increasing as well as the affection and interest about themselves are also enlarged. For those high school students, art education gives opportunity to dialogue with their inner world through art work, having the trait of active self-expression, and thus has significance as the means of self-expression that can shape right awareness about themselves and positive ego. The cartoon this study used reflects the elements that can draw interest and attention from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and so I expect that it would be a positive vehicle for the students who feel hard about art class to participate in it.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search the effect of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self-expression on self-concept and self -esteem of first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who are in the adolescent age. According to this purpose, we can consider the following subjects. First, will the test group, which was applied to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six sub-area of self-concept like as physical condition, morality, personality, society, and ability? Second, will the test group, which was applied to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self-esteem? Third, will the test group, which was applied to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visualizing their thinking with active and efficient attitude?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o consult the learners' status for the teaching plan on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I implemen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it with the subjects of 162 H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angil-dong, Gangdong-gu, in Seoul. Second, I designed the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base of 'cartoon guidance instruction model' used in the study by Lee sugyeong (2005). This program was progressed total five times for each fifty minutes. Third, as the assessment instrument, I modified the self-concept scale (sub-area: physical condition, morality, personality, household, society, and ability) that was developed by Lee hunjin and Won huntaek (1995) and applied by Kim jeongwon in her thesis,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n adolescent's self-concept and self-esteem' (2007) and used the self-esteem scale that was developed by Rosenberg (1965) and adapted by Jeon byeongje (1974). And also I used integral evaluation by viewer's evaluation according to the items of understanding, function, and attitude and self-report. Fourth, for the pre-test of test group and controlled group, pre-post test of test group, and pre-post test of controlled group, I implemented independence sample t-test by using SPSS ver 13.0 to process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 could see that the test group which was applied to the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six sub-areas of self-concept like as physical condition, morality, personality, household, society, and ability. Especially among them, the progress in the areas of physical condition, morality, personality, and ability was outstanding. Second, I could see that the test group which was applied to the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progress in self-esteem. Third, I could see that the test group which was applied to the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ed much higher score in function aspect when assessing in the aspects of attitude, function, and understanding so it means that this program ha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 efficient expression ability.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elf-concept, self-esteem, and expression ability. However this study was made with the subjects of a specific school and small students, so it seems somewhat difficult to generalize this result onto all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those ages. The self-portrait, having herself/himself as the vehicle for expression, has much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makes students reflect their past and present, modify their lives by the process to visualize them directly, in addition to afford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better future and prepare it. This self-portrait drawing instruction has to start with respecting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to be the foundation stone for them to discover their real self by investigating inner world and to live healthy life. Self-expression is the necessary element for art education, and 'self-expression by art education' has significance as 'the education for self-realization'. So the cartoon based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in art education, developed by applying the expression element of cartoon which is familiar to high school students, would be a helpful device for those who are living in the adolescent age and not familiar to make self-expression.;국제화 시대, 정보화 시대, 다원화 시대로 명명 되어지는 복잡한 21세기 사회에서 성장하며, 그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의식, 문화적 욕구들을 수용 해야만 하고, 그러한 환경 속에서 사회화 과정을 거치고 있는 고등학생들에게는 사회 구조 만큼이나 복잡하고 다양한 청소년기에 놓여진 그들의 내면을 열 수 있도록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감을 심어주고, 자기성찰의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자신을 스스로 돌아보며 능동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수업이 필요하고 또한 그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수업이 필요하다. 청소년기의 고등학생들은 자신에 대하여 커다란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미래에 대한 불안감 또한 높아지는 시점에 놓여 있다. 이러한 고등학생들에게 미술교육은 자기표출에 능동적인 미술과의 특성상 미술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자신의 내면과 대화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로인해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긍정적 자아를 형성할 수 있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써 그 의미가 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만화는 청소년기 고등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서 미술수업을 힘들어하는 학생들에게 수업을 참여하게 하는 긍정적인 매개체가 될 것이라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표현을 위한 만화그리기 활동 중심의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이 청소년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만화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을 일정기간 동안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개념 6개 하위영역인 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 향상에 효과를 보일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둘째, 만화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을 일정기간 동안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를 보일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셋째, 만화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을 일정기간 동안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생각을 시각화하는데 있어서 표현에 보다 능동적이고 능률적인 태도를 보일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강동구 상일동에 위치한 H 고등학교 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자화상 그리기 수업계획을 위한 학습자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만화 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생의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은 이수경(2005)의 연구에서 활용한 ‘만화지도 수업모형’을 기초로 하여 설계하였다. 이는 50분 씩 총 4차시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평가도구는 이훈진과 원훈택(1995)이 개발한 자기개념척도(하위영역 : 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를 김정원(2007)이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적용한 것과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해면, 기능면, 태도면에 따른 평가관점과 자기보고서를 통한 종합평가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3.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을 일정기간 동안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개념 6개 하위영역인 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 향상에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위 영역 중 신체, 도덕, 성격, 능력 영역은 향상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만화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을 일정기간 동안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만화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을 일정기간동안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태도면, 기능면, 이해면의 관점에서 평가 해 보았을 때 기능면에서 훨씬 더 높은 점수를 기록 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능률적인 표현력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만화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이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 그리고 학생들의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 학교와 소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음으로 그 시기의 고등학생을 모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자기 자신을 표현의 매개체로 하는 자화상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과거, 현재를 돌아보고, 직접 시각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활을 수정하고 보다 나은 미래를 생각 해 볼 기회를 제공하고 준비하게 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자화상 그리기 수업은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해 주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하고, 그들의 내면 탐구를 통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보다 건강한 삶을 살아 갈 수 있게 하는 초석이 되어야 한다. 자기표현은 미술교육의 필수 요소이고, ‘미술교육을 통한 자기표현’은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으로서 의미가 있다. 이에 고등학생들에게 친근한 만화라는 표현요소를 적용하여 개발한 만화그리기를 중심의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은 미술교육에서 자기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청소년시기 고등학생의 능동적인 자기표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 방편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4 C. 용어정의 = 5 D.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청소년의 자기인식 및 자기표현 = 8 1. 청소년의 자기인식 = 8 1)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 8 2) 청소년의 자기인식 = 11 2. 청소년의 자기표현 = 12 1) 청소년의 자기표현의 개념 = 12 2) 미술교육과 자기표현 = 13 (1)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의 필요성 = 13 (2) 자화상의 미술사적 고찰 = 16 (3) 자기표현과 자화상 그리기 = 19 B. 만화와 자기표현 = 21 1. 만화 = 21 1) 만화의 개념 및 유형 = 21 2) 만화의 특징 및 매체적 특성 = 25 2. 만화를 활용한 자화상 그리기 = 43 1) 만화를 활용한 자화상 그리기의 교육적 의의 = 43 2) 만화를 활용한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 설계모형 = 47 Ⅲ. 연구방법 = 60 A. 연구 대상 및 절차 = 60 B. 연구도구 = 61 1. 교수-학습 = 61 2. 측정도구 = 75 1) 자기개념척도와 자아존중감척도 = 75 2) 평가도구 = 76 3. 자료처리 = 81 Ⅳ. 결과 및 논의 = 83 A. 결과 = 83 B. 논의 = 100 Ⅴ. 결론 = 103 참고문헌 = 107 부록 = 110 ABSTRACT = 1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017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7-
dc.title‘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1학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elf-Portrait Drawing' Program on Self-concept and Self-esteem of First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Lee, Soo Young-
dc.format.pagexi, 1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