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학습활동에 따른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관계대명사 습득에 관한 연구

Title
학습활동에 따른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관계대명사 습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riability of Learner Language according to Language Task Types
Authors
신명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ain idea of this study is that the formation of language learning theory must be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learner language.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learner language in order to teach English effectively. Analyzing student's error is not enough for uncovering the learner language produced at different stages of learner's development. In other words, It has some limits in clarifying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learner languag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look in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learner language; systimaticity which means creative formation process, and variability which means style-shifting desponding on linguistic, social, psycholinguistic contexts. According to studies on learner language variation, as the language task changes, the forms of leaner languages dif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ility and systematicity of learner's language shown in different activities and tries to research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grammatical items for relative pronou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79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signed to do three tasks: a grammaticality judgement, a cloze test, and a sentence combining task. SPSS Win 10.0 program is used. The study makes us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conducts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 hoc. They are asked to do the guided writing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his paper analyses the guided writing data using implicational scal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ree different kinds of learner language reveal that the accuracy order of relative pronoun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task's attributes such as focusing on grammar or content are found to be related to differences in accuracy of relative pronouns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are able to identify the accuracy and acquisition order are different desponding on language task types. The same learners use various language forms depending on the language tasks. Therefore we can find variability from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Secondly, the learner language variability changes in relation to the term of the student's proficiency. Though the similar accuracy rates are found among high-level learners, the various accuracy rates are shown among low-level learn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of the degree of learner language variability between high-level learners and low-level learners. Thirdly, the guided wring using implicational scaling,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relative pronouns items produced by Korean English learner.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re is systematicity in Korean English learner language.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are useful for developing English learning theories because they illuminate various phenomena found in the learner language of Korean students who are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학습자들의 언어는 언어의 다양한 속성과 특징 및 언어적·사회적 맥락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관계대명사 학습활동 유형에 따라 언어수행 결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언어활동 유형에 따라 관계대명사 유형 사이에 체계적인 발달 패턴을 가지고 습득이 일어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이 관계대명사 학습활동 유형(빈칸채우기, 문법성 판단하기, 문장결합하기)에 따라 관계대명사를 이해하는 데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작문활동을 통하여 관계대명사 유형(SS, SO, OS, OO)들 사이의 체계적 발달 패턴을 관찰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S시에 소재한 Y중학교 3학년 79명을 대상으로 4 가지 관계대명사 유형별 각 6개 문항, 총 24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문항에 각 1점을 부여하여 점수화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과 분산분석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대명사 학습활동 유형(빈칸채우기, 문법성 판단하기, 문장결합하기)에 따라 학습자들의 관계대명사의 유형별 이해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관계대명사 유형별 평가 결과가 각 학습활동 유형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빈칸채우기 활동에서는 관계대명사 유형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법성 판단하기, 문장결합 활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SS와 SO유형은 빈칸채우기> 문법성판단> 문장결합하기 활동 순서로 응답결과가 높았고, OS와 OO유형에서는 빈칸 채우기> 문장결합하기> 문법성판단하기 순으로 응답 결과가 높게 나왔다. 한편 상위 학생의 경우 모든 학습활동 영역에서 거의 편차를 나타내지 않고 관계대명사 유형별 평가 결과가 서로 비슷하였다. 반대로 하위 학습자들은 각 학습활동 유형에 따라 관계대명사 유형별 평가 결과에 편차가 나타났는데, 문법성 판단 활동에서는 학습자들 사이에 큰 편차를 보이지 않은 반면 빈칸채우기나 문장결합하기 등의 출력 활동에서는 큰 편차를 보였다. 따라서 하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출력 중심의 활동을 많이 연습시켜 자연스럽게 적절한 관계대명사 문장을 생성하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작문 활동을 통하여 관계대명사 유형(SS, SO, OS, OO)들 사이의 학습 발달 패턴을 분석한 결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관계대명사를 OS, OO, SS, SO의 순서로 습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관계대명사 유형들이 여러 발달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습득된다는 학습자 언어의 동적인 틀을 가지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언어 수행 시 학습자 언어는 학습활동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큰 관계대명사 습득 발달 체계 안에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언어에서 이해 정도 차이로 인해 학습활동에 따라 언어 형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교실 수업으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자 언어 현상을 관계대명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한국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조명함과 동시에 앞으로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학습활동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