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주안-
dc.creator정주안-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7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716-
dc.description.abstractStudents can not use grammar and practical expressions fluently unless they do not know lots of vocabularies, although they know grammar and practical expressions exactly. Students may suffer from difficulties to understand various printed media without vocabulary knowledge. Despite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there is not much time allotted to study English vocabularies in classrooms. So almost students study English vocabulary by themselves using rote memorization strategy. In EFL situation such as Korea and Japan, it is hard for students to remember as many vocabularies as possible because students can not be exposed to the target language(English) more than students in ESL sit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for students to use when they study vocabularies by themselves. Based on this purpose, the keyword method which is one of memorization strategies will be treated.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the keyword method with Italian, Russian and Spanish.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keyword method was proved. In spite of this results the reason wh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keyword method is that there are some arguing points about the keyword method and few researches with Koreans. In this study there are three groups: the rote memorization(control group), the keyword-generated and keyword-provided groups. Futhermore the vocabularies are divided into concrete and abstract and also divided into front-abstracted and back-abstracted according to the abstracted parts of keywords in unfamiliar vocabularies. And this paper surveys what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the keyword method is and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application. Subjects are high school students and one teacher working at the high school teaches 112 subjects for 8 week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 method group yielded better score than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eyword-generated and keyword-provided groups. It means the keyword method is more useful for studying vocabularies and the application of keyword method does not make significant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Second, the keyword-provided and keyword-generated groups got higher score on concrete words than abstract words. The control group, however,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crete and abstract words. It means the keyword method is much more useful to learn concrete words. Third, the result of learning front-abstracted words was better than back-abstracted word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uthermore the improvement in front-abstracted words was higher than the improvement in back-abstracted words. It means the words whose keywords were abstracted from the front parts of new words are more effective to learn vocabularies using the keyword method.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ttitude forward the keyword method the most in keyword-provided group think that the keyword method is good for short-term memory but not good for long-term memory and the many students in keyword-generated group think that this method is good for long-term memory. More students in keyword-generated group want to use this method in classrooms than students in keyword-provided group and students in keyword-provided group showed almost same ratio of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his result implicates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chance of generating keyword by themselves. From tho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keyword method works best if the learning words are concrete, because the concrete words are easy to make a mental image combining the meaning of the unknown word and the meaning of the keyword. The keyword method also works best when students themselves generate keyword, especially for long-term memory but it is possible that students are reluctant to generate keywords and prefer to use rote memorization method because generating keywords takes them much time and effort. Therefore teachers need to encourage students to study vocabularies by using keyword-generated method by emphasizing the efficacy of the keyword method in learning vocabularies.;외국어를 배움에 있어 그 목표어의 문법과 실용적 표현을 아무리 정확하게 알고 있다 하더라도 다양한 어휘를 익히지 못하면 개인의 의사를 그 문법과 표현에 맞는 방식으로 자유롭고 풍부하게 표현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어휘를 알지 못하면 외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모든 인쇄매체 뿐만 아닌 다른 매체들의 독해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어휘의 중요성만큼 현재의 교실 상황에서는 어휘 지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래서 정확한 독해의 중요 요소로 작용하는 어휘 학습은 거의 학생들의 몫으로만 남겨져 있다. 아무리 학생들이 열심히 어휘를 암기한다 하더라도 기억력의 한계로 인하여 암기한 어휘를 자주 접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EFL상황에서는 많은 어휘를 기억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학습자 스스로 효과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많은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전략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 아래에 암기전략의 하나인 핵심어 기법에 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핵심어 기법에 관한 연구는 이탈리아, 러시아, 스페인 등 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권을 상대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져왔으며 그 효율성이 입증된바있다. 핵심어 기법이 어휘 학습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음이 이미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이유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드물며 핵심어 기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들 중에서도 논쟁이 되고 있는 사항들이 존재하여 그 의문점을 풀어보고자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어휘 암기 전략의 하나인 핵심어 기법을 교사가 직접 핵심어를 제시한 핵심어 제시 집단과 학습자 스스로 핵심어를 생성한 핵심어 생성 집단으로 세분화 하여 핵심어 기법의 활용 방법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어휘-정의를 단순히 암기하는 방법과 핵심어 기법을 활용한 어휘 학습 방법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또한 어휘를 구체어와 추상어로 분류하여 어휘의 종류에 따라 어휘 학습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핵심어를 새로 학습할 어휘의 어느 부분에 기인하여 선택하였는지에 따른 어휘 학습 차이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한다. 즉 새로 학습할 어휘의 1음절을 포함한 부분에서 추출한 앞부분 추출어, 1음절을 제외한 부분에서 추출한 뒷부분 추출어로 구분하여 어휘 학습 차이를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심화 인터뷰 설문지를 사용하여 핵심어 기법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향후 교육 현장 적용 가능성 및 개인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과 관련된 수업은 현직 고등학교 교사 1명이 도맡아 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어 기법을 활용한 실험 집단이 단순 암기 방법을 활용한 통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교사가 핵심어를 제시한 핵심어 제시 집단과 학생 스스로 핵심어를 생성한 핵심어 생성 집단의 어휘 학습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핵심어 기법의 활용이 단순 암기 방식보다 어휘 학습에 더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핵심어 기법의 활용 방식( 핵심어 제시 방법과 핵심어 생성 방법)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준다. 둘째, 핵심어 제시 집단과 핵심어 생성 집단 모두 추상어 보다 구체어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나 통제 집단은 어휘 종류에 따른 어휘 학습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핵심어 기법이 구체어 학습에 더 효율적임을 말해준다. 셋째, 핵심어를 새로 익혀야 할 어휘의 1음절을 포함한 앞부분 추출어의 학습 결과가 뒷부분 추출어휘의 학습 결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사전 어휘 검사와 비교하여 어휘 학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에서도 앞부분 추출 어휘의 향상도가 뒷부분 추출 어휘의 향상도보다 높게 나타나 앞부분 추출 어휘가 뒷부분 추출 어휘보다 어휘 학습에 더 용이하며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핵심어 기법에 대한 반응은 핵심어 제시 집단의 경우 단기간 암기에는 좋았으나 장기간 암기에는 좋지 않았다는 의견이 많았고 핵심어 생성 집단의 경우 자신들이 직접 만들어서 암기했기 때문에 오래 기억에 남는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향후 핵심어 기법의 활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핵심어 제시 집단은 긍정적, 부정적 반응이 비슷하게 나왔으나 핵심어 생성 집단의 경우는 개인적인 활용 측면에서만 비슷한 의견을 보인 반면 교실 상황에서의 활용에는 긍정적 측면이 훨씬 많았다. 이는 교실 상황에서 핵심어 기법을 활용할 경우 학습자가 직접 핵심어를 제시할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어 기법을 활용한 어휘 학습 지도가 교실 상황에서 이루어 질 경우 학습자들이 어휘의 정의와 관련된 형상을 보다 쉽고 빠르게 머릿속으로 떠올릴 수 있는 구체어를 사용할 경우 핵심어 기법의 효율성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구체어를 활용한 핵심어 기법의 적용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학습자가 직접 핵심어를 생성할 수 있는 핵심어 생성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보이나 핵심어 생성이라는 중간 단계가 필요하게 되어 단순한 암기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학습자들이 단순 암기 방식을 채택하려는 태도를 보이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어휘 기억 측면에서 핵심어 기법의 활용은 단순 암기 방식에 비해 더 높은 효율성을 보이므로 학습자들에게 핵심어 기법의 이와 같은 효율성을 잘 인식시켜 개인별 어휘 학습에 적극 활용 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위와 같은 시사점들을 통해 핵심어 기법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교실 상황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핵심어 기법에 관한 연구들은 대상의 규모 및 연령에 따라서, 실험 어휘에 따라서, 핵심어 기법의 응용 방법에 따라서 각기 다른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핵심어 기법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어휘 학습 전략 = 4 1. 어휘 학습 전략의 개념 = 4 2. 어휘 학습 전략의 분류 = 5 B. 핵심어 기법 (keyword method) = 6 C. 선행 연구 = 8 1. 핵심어 기법의 효율성 = 9 2. 핵심어 기법의 응용 = 13 3. 어휘 종류와 핵심어 기법 = 15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 질문 = 18 B. 연구 대상 = 19 C. 연구 자료 = 21 1. 실험 어휘 선정 자료 = 21 2. 어휘 학습 자료 = 22 3. 어휘 평가지 = 23 4. 심화 인터뷰 설문지 = 24 D. 실험 절차 = 24 1. 실험 이전 절차 = 24 2. 6차에 걸친 실험의 절차 = 24 3. 실험 이후 절차 = 29 E. 통계 처리 = 29 1. 일원 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 = 29 2. 대응 표본 T-검정 = 30 3. 이원 배치 분산 분석(two-way ANOVA) = 30 F. 연구의 제한점 = 3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2 A. 어휘 학습 활동 유형에 따른 어휘 학습 결과 = 32 1. 집단 간 어휘 학습 결과 = 32 2. 집단 내 어휘 학습 결과 = 34 B. 어휘 종류에 따른 어휘 학습 결과 = 36 1. 집단 내 어휘 학습 결과 = 36 2. 집단 간 어휘 학습 결과 = 38 3. 각 차시별 어휘 학습 결과 = 40 C. 핵심어 제시 집단의 핵심어 추출 부분에 따른 어휘 학습 결과 = 42 1. 사후 검사 평균 비교 = 42 2. 사전·사후 검사 평균 비교 = 43 D. 핵심어 기법 활용 방법에 따른 학습자들의 반응 = 44 1. 핵심어 제시 집단의 반응 = 46 2. 핵심어 생성 집단의 반응 = 48 Ⅴ. 결론 및 제언 = 51 참고문헌 = 56 부록 1 사전 평가지 = 60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43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20-
dc.title핵심어 기법(keyword method)의 활용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ivenessofthe Keyword Method on the Study of EnglishVocabularies : Focused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Jung, Ju An-
dc.format.pagexi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