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도에 관한 연구

Title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chool Life Adaptability of Secondary School Athletes and Non-athletes
Authors
최수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운동선수들과 일반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확인하고,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운동부 학생들을 위한 도움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충청남도의 중·고등학교 운동선수 400명과 일반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모두 80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지만, 응답이 무성의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743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와의 관계, 교우와의 관계, 학습활동 관계, 학교규칙 준수, 학교행사 참여 등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 사항으로 학생유형, 성별, 학교 급별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 적응의 전체점수와 각 하위요인 점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을 실시하였으며, 학생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석(MANOVA)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다변량분석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난 요인에 대해서는 단순효과검정(simple effect 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단순-단순 효과 검정(simple-simple effect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생활 적응의 전체점수에 대해 운동선수가 일반학생에 비해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적응의 모든 하위요인(교사와의 관계, 교우와의 관계, 학습활동 관계, 학교규칙 준수, 학교행사 참여)에서도 운동선수가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학생유형, 성별, 그리고 학교 급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다변량분석에 따른 결과에서는, 학생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생유형과 성별, 학생유형과 학교 급별, 학생유형과 성별 그리고 학교 급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 통계 변인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요인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유형에 따라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생유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다섯 가지 하위요인에서 모두 나타났다. 학생유형과 학교 급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교우와의 관계, 학습활동 관계, 학교규칙 준수, 학교행사 참여에서 나타났다. 학생유형과 성별, 그리고 학교 급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교사와의 관계, 학교규칙 준수, 그리고 학교행사 참여에서 나타나, 이에 대한 단순효과검정(simple effect test)을 실시한 결과, 첫째,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운동선수 집단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집단에 대해서 단순-단순 효과검정(simple-simple effect test)을 실시한 결과, 운동선수 내에서도 여자에 비해 남자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학교생활 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규칙 준수에서도 운동선수 집단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집단에 대해서 단순-단순 효과검정(simple-simple effect test)을 실시한 결과, 운동선수 내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집단 모두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분석해보면, 운동선수가 일반학생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운동선수는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규칙 준수에서 학교 급별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현장에서는 운동선수들의 학교생활 적응의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제도적인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school life adaptation athletes and non-athletes in middle and high school to help athletes who have difficulties in school life. A survey was given to 800 athletes and non-athletes in Seoul, Gyunggi-do and Chung Cheong Nam Do. Out of the 800 surveys submitted only 743 surveys were used due to dropouts and discrepancies (n=388 Athletes, n=355 non-athlet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iv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that included relationships with teacher, relationships with peers, relationships with learning activity, school rule observance, and school event participation. The questionnaire also had a section for demographic information that included student type, gender and grade. Data Analysis was done in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to compare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otal score of school life adaptation and the score of sub factors. The second part a MANOVA was used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ve sub-factors. The authors also did a Simple Effect Test with the factors of occurring interaction effect in MANOVA, in case tha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Results showed that athlete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e non-athletes in school life adaption. Also, athletes showed lower scores in the sub 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that included relationships with teacher, peers, learning activity, school rule observance. M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tudent type(athlete, non-athlet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 type and gender, student type and school levels, student type and gender, and school levels. MANOVA results also found the differenc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according to basic statistics variab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factors according to students type. Results also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in five sub factors according to student type and gender.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student type and school level was shown in relationships with peers, learning activity, school rule observance, school event participation.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student type, gender, and school levels were found in relationships with teacher, school rule observance, school event participation. After having done the Simple Effect Test, there was interaction relationship effect with the teacher and athletes. The authors did a Simple-Simple Effect Test with the same results and found that male high school athletes had low adaptability scores compared to female athletes. Secon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in school rule observance among the athlete group. The authors did another Simple-Simple Effect Test with this result and found that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ale athletes had lower adaptability scores than female athletes. Overall, the authors concluded that athletes have more difficulty than non-athletes in school life adaptation. Athletes also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school rule observa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must be a continuous effort for an elevation of school life adaptation to athletes in school so student-athletes can adapt more like their peers who do not participate in sp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