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서울 시내 초등학교 체육통합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Title
서울 시내 초등학교 체육통합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urvey on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uthors
박주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체육교과목에 있어서의 통합교육을 체육통합교육이라고 하는데, 이는 체육 분야에 있어서도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초등학교 시기의 체육통합교육은 교육시기 면에서 보았을 때 교육 초기 단계부터 통합이 이루어져야 자연스러운 통합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데 있어 의미가 있고, 중학교의 체육교과를 준비하는 단계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일부 장애아동의 경우 수업에 참여조차 못하거나 체육활동에 대한 능력과 흥미가 간과된 채 방관되기도 하지만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체육통합교육에 대한 현황이나 실태에 대해서는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체육통합교육의 바람직한 시행을 위해서 현재 우리의 체육통합 수업 상황과 환경, 문제점 등을 알아보고 이를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체육통합교육에 관하여 체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 현황과 환경, 교수방법 등과 함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체육통합교육 성취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소재하는 초등학교 중에서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초등학교의 체육교과 지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2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제외 대상을 선별한 후 컴퓨터에 개별 코딩 시켜 SPSS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체육통합교육 관련 요인들에 따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로 단순빈도분포와 백분율을 계산하여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체육교과 지도교사 변인에 따른 체육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체육통합교육을 하고 있는 통합학급의 전체 학생 수는 30명이상 35명 미만이 가장 많았고, 한 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은 대부분 1명이었다. 장애아동의 장애유형은 정신지체, 정서장애, 학습장애·지체장애 순서로 나타났으며, 장애정도는 중등도, 경도, 중도 · 복합의 순서로 나타났다. 체육교과 지도교사의 유형을 보면 장애아동의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가 담임 경험이 없는 교사의 두 배 정도 높은 비율을 보이는데, 이에 비해 특수교육 연수 이수 유무에 있어서는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았을 때 교사들은 통합교육이나 특수교육에 대한 충분한 준비 없이 학생들을 통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체육교과 지도교사들은 체육통합교육에 대해서는 보통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체육통합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하다’와 ‘도전해볼만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부정적인 응답보다 높았다. 체육통합교육 관련 학교 행정가의 관심도와 지원 정도에 있어서 관심도는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 지원 정도에 있어서는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을 함에 있어서 장애학생을 보조해줄 수 있는 인력인 통합교육 보조원에 대한 인식과 실제 활용 여부에 있어서는, 교사들이 통합교육 보조원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것에 비해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체육통합교육 교수 여건에 있어서 교사들은 매우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는데, 시설이나 장소, 교육 자료와 기구들이 부족한 편임을 보여 주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통합체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지침서나 교재 등도 거의 준비되어 있지 않고, 실제 수업을 하는 근거가 되는 교육과정에도 장애학생의 체육수업에 관련한 내용은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 체육통합교육 지도 실태에 있어서는 교육 계획 시 장애학생의 현재 수행능력을 파악하여 반영하려고 하지만, 목표나 내용의 수립· 선정에 있어서는 거의 고려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장애학생이나 보조원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되도록 많이 고려하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체육통합교육의 실시에 있어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체육통합교육과 관련된 기구와 자료의 부족 · 장애학생이 할 수 있는 체육수업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이 가장 큰 문제로 여겨졌으며, 체육통합교육의 시설 및 장소의 부족, 장애학생의 장애정도, 체육통합교육 관련 교사의 지식과 능력 부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 수업 보조 인력의 부족, 장애학생의 특성 및 기술파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대해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방법 제공과 체육통합교육 시 수업 보조 인력의 제공, 체육지도프로그램 지침서 제공, 장애학생에 대한 충분한 정보의 제공, 체육통합교육 관련 기구 및 자료의 제공 · 학교관련 행정가의 인식 개선 및 지원, 체계적인 평가 방법의 제공, 비장애학생들의 인식 개선 등이 개선방안 중 중요한 요인들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과 지도교사들의 변인들에 따라 체육통합교육 관심도에서는 연령(p<.05), 교직경력(p<.05), 특수교육 수강 경험(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체육통합교육 인식에 대한 체육교과 지도교사 변인들 중에서는 연령(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체육통합교육 지식과 능력 보유정도에 대한 체육교과 지도교사 변인들 중에서는 성별(p<.05), 연령(p<.05), 특수체육 수강경험(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앞으로는 특수교사와 학급담임교사 또는 체육전담교사가 서로 협력 관계를 이루고 장애학생의 특성에 대해 정보를 공유해야 하고, 체육통합교육의 교수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재교육과 학부에서의 강의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체육통합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중도장애학생들에게는 보조원을 배치하고, 교사는 체육통합교육을 위한 다양한 크기 · 수준 · 방법 등의 교구를 준비하여 장애학생들이 일반학급에서 최대한 그들의 능력을 발휘하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ality on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o find the present condition of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hat will be used for effective and successful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On this survey, 128 physical educators in elementary school where has special education classe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elected in Seoul. In order to get accurate results, the survey is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SPSS for Windows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First of all, many students who are emotional disabilities or mental disabilities and received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are belonging to a class by each one person. In addition, these students' level of disabilities is not severe but moderate and its condition is appropriate for conducting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of all,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ors are not full responsibility charge for only physical education but teachers in charge of a class. Furthermore, those educators rarely experienced lecture of special education 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On this research, most educators in this survey are not having knowledge of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so sufficient education for educators is necessary for preparing the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Third, the attitude of most physical educators is positive that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is challengeable. On the contrary, there are no backings from the school administrators. So it is important to keep getting change perception of inclusion physical educa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getting helps them. Its assistance has an influence on not only the whole atmosphere of school but also attitude of teachers. Fourth, physical educators hardly put the right assistance for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right plac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use assistants said that an assistant not only supports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lso is helpful. Following this result, the more training and the more supply of assistant are needed for effective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Fifth, on conducting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orrect teaching method and content. Unfortunately, in reality, physical educators are not recognizing this actual and they let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 As a result, correcting the teaching method and content in accordance with students'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is very important. Sixth, the reasons for not success of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are that there are only few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o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not appropriate for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moreover physical educators are not having knowledge of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lacking the abilities for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 it is important to keep those facts such as providing the sufficient information that shows odd behaviors and capac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rving more assistants for each teacher, and making an offer tools and materials for conducting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to reach successful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Seventh, the more physical educators are older or teaching careers or experience of lecture of special education, the more they are interested in doing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p<.05). What is more, in accordance with age, gender, and experience of taking special physical educational lecture(p<.05),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by each teacher on perspective of having knowledge and ability of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ion, although physical educators are having positive attitude, teachers are not good enough by themselves conducting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current inclusion of physical education is insufficient in that there are reasons. It is important to develop more effective way in different students, and more researches on finding what kind of method that finds the way to let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in class without an estran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