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제7차 교육 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2의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단원에 대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Title
제7차 교육 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2의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단원에 대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 'History of the Earth and Lithosphere Change' in Middle School Science 2
Authors
윤현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Keywords
지구역사지각 변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to mak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It deals with the area of 'History of the earth and lithosphere change' in 'Middle School Science 2'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first pl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he six kinds of science textbooks of middle school 2nd grade were carefully analyzed. Then the 20-requisite-learning elements in the units of 'History of the earth and lithosphere change' were extracted from them. 2. The 37 「achievement Standards」 that the students should fulfil were developed. The fore-mentioned 「achievement standard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knowledge, process skill and attitude. These can be used as the actual guidelin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 classroom. 3. The 34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decide the level of student's achievement. Each standard has three levels; satisfactory, average and poor. 4.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mad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 Various types of instruments such as descriptive type, concept map type, puzzle type and portfolio were used. The so-developed instruments are 2 descriptive types, 1 concept map, 1 puzzle and 1 portfoli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the so-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science teachers can easily make various 「criterion-referance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S」 that contribute to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activities.;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집단 내의 상대적 서열을 중시하는 규준 지향 평가의 대안으로 절대적 준거인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를 중시하는 준거 지향 평가를 점진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학생의 목표 도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 도구를 사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학습 목표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 지향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학교 수준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설정되어 있을 때, 그 기준을 토대로 하면 타당하고 신뢰로운 수행 평가 도구를 수월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2의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단원을 연구 영역으로 선정하여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개발한 후에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만들어 보았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의 개발에 앞서 선정된 단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는데,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단원에서 뽑아낸 필수 학습 요소는 총 21개였다. 이 필수 학습 요소와 함께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학교 수준의 구체화된 성취 기준을 크게 지식 영역, 탐구 영역,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이 개발된 성취 기준은 총 37개었으며, 지식(K) 영역, 탐구(P) 영역, 태도(A) 영역에 각각 23개, 13개, 1개였다. 그 다음에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실질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학교 수준의 상세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 개발된 평가 기준은 총 34개였으며, 지식(EK) 영역, 탐구(EP) 영역, 태도(EA) 영역에 각각 23개, 10개, 1개였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학생 개개인의 실질적인 성취 정도를 알아낼 수 있는 다양한 준거 지향 수행 평가 도구(서술형 2개, 개념도형 1개, 퍼즐형 1개, 포트폴리오 1개)를 만들어 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단원에 대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하면 현장 교사들도 실질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준거 지향 수행 평가 도구를 개발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