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한국어 불평 화행의 중간언어적 연구

Title
한국어 불평 화행의 중간언어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liant mode of Japanese Korean spekers in respect of interlanuguage
Authors
미즈시마 히로코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Keywords
한국어불평화행중간언어적 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어 불평 화행 중간언어적 연구이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표현 양상이 한국어 원어민, 일본어 원어민과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표현 양상이 왜 그런 양상을 띠는지,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Ⅰ장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불평 화행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화용 교육시 활용성이 높은 연구가 중간언어 화행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 기반을 둔 중간언어 화행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고 불평 화행 중간연어 연구는 전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그 연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화행 이론과 중간언어 화행, 불평 화행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본 불평 화행 연구의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불평 화행 전략과 불평 화행에 미치는 변수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재구성하였다. Ⅲ장에서는 실제 불평 화행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기 위하여 실험에 앞서 실험 도구인 담화완성테스트(DCT)에 나타나는 사회적 변수의 코딩과 담화완성테스트(DCT)의 형식을 점검하고 실험 결과 분석방법을 확정하였다. 실험은 예비 실험과 본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예비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검토하여 본 실험에 적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세 집단의 불평표현 양상을 비교한 결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양상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표현 양상은, 상황을 두 원어민 집단보다 불만스럽게 판단하는 확률이 높으며 상황에 대한 불만도가 대체로 두 원어민 집단보다 높다. 불만도가 높기 때문에 반응 방식도 직접적이다. 그리고 그 불평표현을 하는 데 느끼는 부담은 사회적 변수에 따른 상황에서는 한국어 원어민과 비슷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상황마다 부담의 크기의 양상이 달랐다. 점원의 실수에 관한 상황에서는 한국어 원어민과 비슷한 부담의 크기였으나 뉴스를 듣고 있는데 친구가 옆에서 떠드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일본어 원어민과 비슷한 부담의 크기였다. 그러나 공중도덕에 관한 상황에서는 두 원어민 집단보다 부담의 크기가 작았다. 그러나 부담의 크기는 사용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용 전략은 두 원어민 집단보다 대체로 자신의 요구나 의견을 들어내는 전략을 사용하지 못하며, 완곡적인 전략 사용을 보였다. 또한 원어민 집단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내용이 더 간접적이었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연령에 따른 불평표현, 권력에 따른 불평표현, 심리적 거리에 따른 불평표현의 경우 연상인 상대방, 소원한 상대방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대하는 반면, 동갑인 상대방, 친한 상대방에 대해서는 솔직하게 감정표출을 한다. 즉 동갑인 상대방, 친한 상대방에게 한국어 원어민보다 직접적인 반응 방식을 보였으며, 불만을 말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용 전략은 두 원어민 집단만큼 직접적이지 못하며 간접적인 전략을 사용한다. 특정 상황에 따른 불평표현은 일본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상황을 평가하고 있으며 반응 방식은 점원의 실수에 관한 장면에 있어서는 일본 방식의 전이를 보였고 뉴스를 듣고 있는데 친구가 옆에서 떠드는 상황과 극장에서 떠드는 사람에 관한 상황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방식의 혼합형인 반응 방식을 보였다. 지하철에서 발을 밟았는데 사과를 하지 않는 사람에 관한 상황에서는 두 원어민 집단보다 직접적인 반응 방식을 보였다. 사용 전략은 장면5, 장면6과 같은 점원의 실수와 배려가 결여된 행동을 하는 상대방에 관한 상황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대체로 두 원어민 집단보다 사용 전략을 조심스럽게 선택하고 있다. 장면5에서는 점원의 실수를 받아들이는 내용의 전략 사용에 많고 장면6에서는 친한 친구에게도 상황에 대한 설명을 한 후에 조용히 해달라는 요구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공중도덕을 안 지키는 사람에 관한 상황인 장면7, 장면8에서는 원어민과 비슷한 전략 사용을 보였다. 지하철에서 발을 밟은 사람에 관한 상황에서는 한국어 원어민과 비슷한 전략을 사용하였고 극장에서 떠드는 사람에 관한 상황에서는 일본어 원어민과 비슷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원어민 집단보다 불만을 많이 느끼는 것에 비해 사용 전략을 적절히 선택하지 못하며 완곡적인 표현을 선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대방에게도 그들의 불평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화용 교육은 한국어 원어민에게 무례하게 느껴지는 불평표현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과 동시에, 일본인 학습자들의 강한 불만을 적절하게 표현하며 풀 수 있는 방식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원어민에게 무례하게 비추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한국어 원어민은 불만을 말로 표현하는 경우가 아니면 아무 표현을 하지 않은 방식을 선호하며 일본어 원어민이 선호하는 태도로 표현하는 경우가 드문 것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불평표현 전략은 한국어 원어민이 선호하는 내용이 어떤 것인지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인 학습자들의 불만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원어민이 대체로 상대방과 자신보다 연상이거나 자신과 소원하거나 권력이 강한 경우에도 자신의 의견을 확실하게 표현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교육하기 위해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 자료가 되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This is a study on the complaint mode of Japanese Korean speakers in respect of interlanguage.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 of the complaint mode of Japanese Korean speaker from both native Korean speaker and native Japanese speaker and also the reason of errors if there are any in the complaint mode of Japanese Korean speaker. For these purposes Discourse Completion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hree groups and the following results have come out. The complaint mode of Japanese Korean speakers showed that they show higher probablity of judging the situation negatively than other two native speaker groups and thus show higher dissatisfaction. Their response method is direct due to their high dissatisfaction but in their strategy of showing dissatisfaction it was more indirect than the two native groups . Also even when using the same strategy a s the native speaker groups the content was more indirect. The imposition of the Japanese Korean speakers were as great as the native Korean Speakers. In case of expressing complaints according to age, power, and mental distance, Japanese Korean speaker showed caution in expressing complaint when the other party was older in age and the relationship was reserved. On the other hand if the other party was in the same age group and was in a friendly relationship, overgeneralization of Korean's showing direct emotional status of could be found. In other words, to the other party that is same age and close Japanese Korean speaker showed more direct response than the native Koreans. But in case of strategy use, they used more indirect strategy than the two native speaker group. Expressing complaints in specific situation(situations that anticipated big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such as (1)situation where a salesperson makes a mistake (2)situation with public morality (3)situation with consideration) is evaluated on a standard judgement of Japan. In method of response, Japanese Korean speakers showed transfer of Japanese method by expressing dissatisfaction with their attitude. Transfer of Japanese method also took place in many cases of strategy use, but in other cases they uses more indirect strategy than the two native groups. But in case of situation where one' s foot was steeped on and in situation where people were talking loudly in theaters, Japanese Korean speakers showed more direct strategy than the native groups. Detailed observation of Japanese Korean speaker's strategy use shows that they use indirect strategy in most cases than the two native groups except when in asking for improvements, they used medium indirect strategy. These indirect strategy use is the result of Japanese Korean speaker not being sure when to use the direct or indirect strategy. Therefore in Korean Pragmatics Education, it should be directed to let the Japanese Korean speaker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different from Japanese native speakers in showing dissatisfaction with their attitude, Korean native speakers choose to show dissatisfaction by directly expressing in words or else show no dissatisfaction at all. It is also important to educate that the strategy of expressing complaint varies in situations according to age, power, closeness and mental distance and what contents are preferred by the Korean native speakers.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of a help for the basis of th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