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수련-
dc.creator권수련-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항공승무원들이 직업활동 속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이 업무의 질과 개개인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을 전제로 하고 항공승무원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국적 항공사 승무원 2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심리적 소진측정을 위해서는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 측정과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서는 각각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와 김아영, 차정은(1996)이 개발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우선 항공승무원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라 심리적소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는다음과같다. 1. 성, 연령, 결혼상태, 근무연한, 근무역할, 근무시간의 양에 따른 항공승무원의 심리적 소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첫째, 심리적 소진은 성, 연령, 근무연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심리적 소진을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26세-30세 집단에서, 근무연한으로는 2년-5년 미만의 집단에서 심리적 소진이 빈번하다고 할 수 있다. 20대 초반의 경우 입사하여 새로운 근무환경에 적응하는 기간으로 비교적 심리적 소진 경험이 많다고 볼 수 있고, 36세 이상의 10년 이상 근무한 집단에서는 심리적 소진을 가장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 연령, 근무연한의 세 가지 변인 모두 심리적 소진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고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혼상태, 근무역할, 근무시간의 양에 따라서는 심리적 소진의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월 근무시간의 양에 관련한 변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80시간-90시간 근무 집단이 사회적 지지를 가장 많이 받는다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80시간대 미만의 근무 집단도 비교적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였다. 반면, 90시간-100시간 근무집단이 사회적 지지를 가장 적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성별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남자가 여자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자기효능감의 자신감, 자기 조절 효능감, 과제 난이도 선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항공승무원의 심리적 소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상관계수로 알아본 결과,심리적 소진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 또는,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심리적 소진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자기 효능감을 높게 지각할 것으로 기대된다. 3. 항공승무원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정도와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두 변인중 자기효능감이 항공승무원의 심리적 소진을 더 잘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flight attendants' burnout. Researched participants were 203 number of flight attendants working in an airline company in Korea. Burnout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MBI)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l981). Social support scale(Park, 1985), and self-efficacy scale(Kun, 1997) were used to measure each variables -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test, ANOVA, Pearsons's bivariat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program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Scheffe' post test was used to compare pairs of groups. The results obtained in h 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the length of service in burnou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onthly working time i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on gender in self-efficacy. The other circumstance variables, the marriage status and the working rol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dependant and independent variables. 2.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ocial support, and between burnout and self-efficacy. Thus, if the social support or the self-efficacy of flight attendants is high, their burnout is low. But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f the social support of flight attendants is high, their self-efficacy is also high. 3. Burnout was predict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was better predictor of burnout than social support. Overa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explained 10.5% of variance of burnout.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one of the methods to buffer the burnout of flight attendants by enhancing cognition level of social support and improving self-effica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항공승무원의 심리적 소진 (burnout) = 4 1. 항공승무원의 직무 특성 = 4 2. 심리적 소진의 개념 = 5 3. 심리적 소진의 근원 = 8 4. 심리적 소진의 구성요인 = 10 5. 심리적 소진의 결과 = 13 B.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 14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 14 2. 사회적 지지의 유형 = 18 C. 일반적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 20 1. 자기효능감의 개념 = 20 2. 자기효능감의 근원 = 21 3.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 = 23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절차 = 27 C. 측정도구 = 28 D. 자료분석 = 31 Ⅳ. 연구결과 = 32 A. 개인배경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 = 32 B. 심리적 소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 38 C.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영향력 = 40 Ⅴ. 결론 = 41 A. 요약 및 논의 = 41 B. 제한점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7 부록 = 52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67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항공승무원-
dc.subject자기효능감-
dc.subject사회적 지지-
dc.subject심리적 소진-
dc.title항공승무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Flight Attendants' Burnout in Korea-
dc.format.pagei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