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통일교육 내용변천에 관한 연구

Title
통일교육 내용변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nge in the Contents of the Unification in Social studies
Authors
박근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의 분단 상황은 영토적인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닌 정치, 경제 등 제도적 측면과 함께 사상, 문화 등 일상생활의 측면까지 포함하는 총체적이며 체제적 특성을 갖는다. 그동안 남북통일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은 주로 정치체계와 이데올로기의 통일정책에 국한되어 이질적인 두 사회문화체계의 만남에서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문화충돌과 갈등양상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그에 기초하여 대응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했다(이장희 외, 2001). 그러므로 이전 시기의 우리의 통일교육내용은 그 본질적인 역할을 갖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통일교육을 분단의 극복에 대한 의지를 갖추고,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합리적 가치판단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것이라 할 때 통일 환경요인에 따라 통일교육이 어떠한 변천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정치적 시기를 분류하여 통일 환경요인(국제적·국내적·남북관계)이 반영된 각 시기의 통일정책을 살펴보고, 이에 해당하는 교과과정기의 중학교 사회과교과서의 내용구성맥락 속에 나타나는 통일 관련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통일’이라는 과제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정치적 통일 환경요인에 따른 시대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사회과교육의 목표가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것이라 할 때, 현재의 사회과교육에서 구성되어 있는 통일교육의 내용은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사회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현직 교사들과 교육전문가들 역시 현행 교육내용에 개선점이 많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으로 북한에 대해 학생들이 스스로 비판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 교육내용의 구성과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한 자료의 개발과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사회과교육에서 통일교육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우리의 통일교육은 단순히 북한에 대한 객관적 사실을 반영하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장기적 안목에서 설정되어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의 생활세계의 내부에 뿌리박고 있는 분단 체제의 모순들을 찾아내며,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성찰은 공교육에서 통일교육의 접근법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concerning to the social studies from 1st curriculum to the current 7st, and to find out some suggestions to develop the contents of a future curriculum for unification education. It closely looks into the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in 1st~3rd grade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and trie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political unification environment factors, containing in international, internal, and South-North rel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s have been kept o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of that time as it was. Despite of the purposes for social studies to build up a reasonable democratic citizen with a critical attitude, the unification education have not carried out properly. Moreover,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in charge of social studies have not satisfied on the contents. The students have to learn various approaches to overcome the separation of nation, therefore, contents of the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that students could fertilize the sense of discrimination to judge by themselves on reality of north korea, and make the logic for unification affirmatively and concretely.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ed to develop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ntents or approaches for unification education have to be established in the view of long time period so that they should be maintained a continuity. Second,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exts have to be developed so that the factors of changing environment for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Third, re-education of teacher in charg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executed systematically and activ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