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아동이 지각한 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Title
아동이 지각한 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perceiv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ir Self-efficacy
Authors
정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 수준 및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효능감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아동이 지각한 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효능감간에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4개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학생 417명(남학생: 217명, 여학생: 20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Carkhuff(1969)의 척도를 기초로 하여 신현오(1991)가 번안한 교사-아동간 의사소통 검사지를 수정한 것과 차정은(1997)이 개발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재구성한 것이다. 교사-아동간 의사소통 검사는 7개의 하위영역(공감성, 존중성, 진실성, 구체성 자기개방, 즉시성, 직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기효능감 검사는 3개의 하위영역(자기조절,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검사의 Cronbach‘s a는 각각 .87와 .89이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win 12.0에 의한 정준상관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이 지각한 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기효능감간의 관계를 정준상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즉시성, 직면, 진실성, 구체성, 존중성에서 긍정적으로 지각한 학생일수록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자신감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교사가 아동과 대화할 때, 지금-여기에서, 아동의 행동과 언어 사이의 불일치를 지적해주고, 진실 되게, 추상적인 말 대신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하고, 학생의 능력을 믿으며 존중해준다면, 아동은 어려운 과제에 도전적이게 되고, 자기조절 능력이 향상되며, 자신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의 바람직한 내적 변화를 위한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 양성기관에서는 교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하며, 교육 현장에서는 지속적인 교사 연수를 통해 교사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아동과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기술 향상 프로그램 교육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improve school children's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ir self-efficac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their self-perceiv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to their self-efficacy. A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pose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perceiv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ir self-effica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7 fourth and sixth graders in four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who included 217 boys and 200 girl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were Sin Hyeon-oh(1991)'s adapted version of Carkhuff(1969)'s Teacher-Child communication Scale and Cha Jeong-eun(1997)'s General Self-Efficacy Inventory, which were modified and reconstructed respectively before they were used. The former consisted of seven segments that involved empathy, respect, genuineness, concreteness, self-disclosure, immediacy and confrontation, and the latter was constituted by three segments, including self-control, confidence and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of the two were respectively .87 and .89. For data handl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Whe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own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ir self-efficacy, the stud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their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terms of immediacy, confrontation, genuineness, concreteness and respect scored better in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self-control and confidence. So it's found that children could challenge tough tasks, have themselves in control and build up confidence if their teachers talk here and now, if they point out inconsistency of their speech and action on the spot, if they talk in a trustworthy manner, if they talk in a concrete way, not an abstract one, and if they believe in them and respect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educating children to make a good inner change requires positive communication skills on the side of teachers. Colleges of education should offer communication-training courses as part of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sustained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foster their communication skills. At the same time, a wide variety of communi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parents who spend many time with children should be conducted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