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9 Download: 0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

Title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Authors
신원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에 있어서 대표적인 적응 지표로서 기능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미래 학생들의 직업적 성취를 예측하는 진로 포부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 포부 사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이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 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의미한 변인인지 알아보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 포부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경로 모형을 구축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 포부가 높을 것이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진로 포부가 높을 것이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 포부를 매개할 것이며, 매개효과에 있어서 남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3개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316명(남학생 156명, 여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Ryff 등(Ryff, Lee, & Na, 1993, Ryff & Keyes, 1995 재인용)이 한국판으로 번안한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아영·박인영(2001)이 개발 및 타당화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Academic Self-Efficacy Test; ASET)를 사용하였으며, 학생의 진로 포부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O'brien(1993)이 개발한 진로 포부 척도(Career Aspiration Scale; CAS)를 사용하였다. 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 포부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남녀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SPSS 12.0을 사용하였고,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 포부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AMOS 5.0을 사용하여 경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로 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첫째, 심리적 안녕감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 점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높아져서 심리적 안녕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 포부 점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진로 포부 수준도 높아져서 심리적 안녕감은 진로 포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 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 포부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 효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남녀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또한 진로 포부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examine the rel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b) to examine whether the associ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career aspiration would be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Three hundred sixteen(male: 156, female: 160) 1st and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other high schools in Seoul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cademic self-efficacy test(ASET) and the career aspiration scale(CAS).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t-Test by SPSS 12.0 program and mediation modeling techniques with Baron and Kenny(1986) steps by AMOS 5.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meaningful effect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econdly,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had a positive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aspiration. Thirdly,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aspiration. So, fourthly,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aspiration was not significant. And in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in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imply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need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intervention programs developing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