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수진-
dc.creator정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3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37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s the sequence between the national history book of an elementary school and a middle school. And it analyzed the cause that such problems appear in history education. In addition, it examined how the sequence should be reflected on the seventh curriculum which is revised partly. What the analysis of sequence focuses on is the systematic analysis which was insufficent in the past studies, an the sequence of the materials and research task which has not been studied yet. First, before analyzing the text book, I analyzed the target of the history education. In addi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equence of the text book is based on the spiral curriculum, I analyze the national history text book of an elementary school and a middle school dividing those into contents, materials and research task. Through analysis, the conclusion that has gotten is as following. Numerous contents and the materials in the text book are redundant. Futhermore, the research subject is also lack of sequence. Next, I the revision of the seventh curriculum in part was analyzed. The curriculum which will be revised also has plenty of problems in sequence. Therefore,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solve these problems. To solve these problems, we need to tell the students basic concept and the mainstream of Korean history through the story about Korean ancestors in a view of the 'history organized around lives of people'. In addition, the amount of 'concept' studying needs to be reduced and I suggest practicing 'function' and 'method of knowing history'. In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add the feature of the period to 'the mainstream of history' and 'basic concept' in the students' cognitive sructure. In addition, if the students practice 'the method of knowing history', we need to let them apply the method in the history learning by themselves. The connection of writers of each school and selection of the content factors with academic agreement, and efforts and studies for making axis of the sequence through development of the contents considering consistancy are necessary. Furthermore, for the sequence of 'the method of knowing history', the sequence of the aims of the history 'function' between an elementary school and a middle school needs to be studied.;본 연구는 역사 교육에서 초․ 중학교간 역사 교과서의 계열화 및 문제점이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계열화가 7차 교육과정 부분개정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할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계열화의 분석에서 특히 역점을 둔 것은 기존 역사 교육의 계열화 논의가 중․고등학교에 집중되어있고, 초․중학교 간의 계열화는 최근에야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에서 부족한 교과서의 체계적인 분석이나,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학습 자료 및 탐구과제의 계열화라는 측면을 살펴보는 것이다. 우선 교과서의 분석에 앞서 역사 교육의 학교급별 목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의 체계적 분석을 위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바 교과서의 계열화가 나선형 교육과정에 충실하였다는 전제하에,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사 교과서를 교과서 내용, 학습 자료, 탐구 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 국사 교과서의 학교급간의 계열성은 교과서의 내용과 학습 자료가 다수 중복되며, 탐구 과제 분석을 통해 그 계열화가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시 7차 교육과정의 부분개정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되는 교육과정 역시, 7차 교육과정 계열화의 문제점의 요소를 거의 그대로 안고 있으며, 따라서 앞으로 있을 교과서의 계열화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기초적 개념과 한국사의 큰 흐름을 생활사 연구의 관점에서 바라본 옛날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풀어주며, 개념에 대한 학습의 양을 줄이고, ‘기능’, ‘역사를 아는 방법’을 연습하는 것을 제안해본다. 중학교 단계에서, 학생들의 인지 구조 속 ‘역사의 큰 흐름’과 ‘기초적 개념’에 ‘시대의 특징’이라는 작은 개념을 더하는 작업을 해야할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역사를 아는 방법’을 연습해서 왔다면, 중학교 단계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국사 학습에 스스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과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집필진의 연계는 물론, 학문적 합의를 통한 내용요소 선정, 지속성을 고려한 내용 전개를 통해 연계성의 축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며, ‘역사를 아는 방법’의 계열화를 위해 초․ 중학교간의 역사 ‘기능’의 목표의 계열화가 연구되어야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4 Ⅱ. 7차 교육과정 초·중등 국사 교과서 계열화 = 5 1. 목표의 계열화 = 5 2. 내용의 계열화 = 10 Ⅲ. 7차 교육과정 ‘부분 개정’ 에서의 계열화 방향 = 30 1. 목표 분석 = 30 2. 학년별 내용 분석 = 31 Ⅳ. 초·중학교 국사교과서 계열화 제언 = 36 1. 내용 서술 및 학습 자료 = 36 2. 탐구 과제 = 40 Ⅳ. 결론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6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7-
dc.title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사 교과서 계열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quence of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dc.creator.othernameJung, Soo-Jin-
dc.format.pageⅳ,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