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국내외 주요 기업의 가족친화제도 비교 연구

Title
국내외 주요 기업의 가족친화제도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tudy of family friendly system of the domestic & overseas enterprise
Authors
이지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women advancing into various sectors of society, however, women are still under the labor environment where they have to quit their jobs for giving birth to children and raising them under the situation where men are still considered as working in public sector while women work in private sector with the fixed idea of traditional gender role sharing. As a result, some women have given up giving birth or raising them altogether. Because of such, our society has come into the low-fertility society drastically, and the demand on the family friendly system has been expanded with the change of value point of view from work-orientation to family-orientation, 5-working day system and others. Accordingl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low-fertility and express the interest on the welfare benefits of individual, the government has expand the legal and systematic system for guarantying the maternity leave and child care leave, flexible time of working hour, providing the child care facilities but the practicality has declined under the system where the reality of taking it as a corporate culture is not available.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alize the system in realistically, not as providing the system, the corporate environment as a detailed infra has to be built-up. A family system was already found to bring a positive effect such as an increas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decrease in the absence rate and the transfer rate, and an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ccording to diverse existing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cases of the family affinity system which has been run by existing domestic companies and foreign companies at a time when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family affinity system, and to propose alternatives for promoting the family affinity system. This study suggested problems of and alternatives to the family affinity system used by Korean companies through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US, European, and Japanese family affinity systems and their current oper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amily affinity system of Korean and foreign companies, the USA introduced th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ism, and Europe has mutually different backgrounds by country, however, they introduced the system due to a low birth rate and the utilization of female human forces in general. In Japan, there has begun a discussion of th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the low birth rate and its aging society. Korea has shown a similar trend to that of Japan, and the system currently operated by Korean companies is shown to be very poo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ases and the current operation of the system in the USA, Europe, and Japa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introducing the family affinity system is to prioritize appropriate systems which accept the employee’s demand by company while being appropriate for the details of work and a corporate environment. Also, in order to be successful in introducing the family affinity system,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 concrete structure with a higher possibility of the employees’ acceptanc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adequately deliver information to employees about policies to be introduced or a system to be changed, and to offer education and training to managers since the role of managers is very crucial to the operation.;여성의 사회 진출은 증가하였으나 남성은 공적 영역, 여성은 사적 영역이라는 전통적인 성 역할 분담의 고정 관념이 자리 잡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많은 맞벌이 여성들은 아이를 낳고 기르기 위해 직장을 관둬야 하는 노동 환경에 처하게 되었으며, 일부 여성들은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을 포기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우리 사회는 출산율 1.08명(통계청, 2006)이라는 저출산 사회로 접어들었고, 일 중심에서 가족 중심으로의 가치관 변화, 주 5일 근무제 시행 등과 맞물려 개인의 행복을 중시하는 문화로의 변화, 평생직장 개념에서 평생 직업으로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 전환 등과 더불어 가족친화 제도에 대한 요구는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복리 후생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기 위해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의 보장, 근로시간의 유동적 탄력시간, 보육시설의 제공 등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확대하고 있으나, 법적으로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등을 보장하고 있다 하여도 현실에서 기업 문화로 자리 잡고 있지 못하는 한 제도의 실효성은 저하 될 수밖에 없다. 가족친화제도는 여러 가지 선행 연구에서 조직몰입의 증가, 결근율 및 이직률 감소, 생산성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현재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가족친화제도의 사례를 살펴보고, 가족친화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국, 유럽, 일본의 가족친화제도의 도입 배경과 운영 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기업의 가족친화제도의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기업의 가족친화제도를 비교한 결과, 미국의 경우 가족주의 관점에서 가족친화제도가 도입되었고, 유럽의 경우에는 나라별로 상이한 배경을 가지고 있긴 하나, 대체로 저출산, 여성인력의 활용을 위해 가족친화제도가 도입되었고, 일본의 경우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안으로서 가족친화제도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이 시행하고 있는 가족친화제도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유럽, 일본의 가족친화제도 사례와 운영 현황을 우리나라와 비교한 결과, 가족친화제도의 도입에 있어서의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기업별로 근로자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업무 내용과 기업 환경에 적절한 제도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제도 도입 시에는 보다 바람직하고 근로자의 수용가능성이 높은 구체적인 제도를 결정해야 하며 가족친화제도의 도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도입되는 정책이나 변화되는 제도에 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충분히 전달해야 하고, 운영에 있어서의 관리자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관리자에 대한 교육 훈련 등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