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혜원-
dc.creator장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7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720-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 현대 미술은 자아의 발견으로 인간의 개성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개성을 중심으로 표현되는 실험을 거쳐 다양한 예술이 등장하였으며 지금도 지속적인 변화를 확장해 가고 있다. 새로운 예술의 등장은 표현방법의 변화에 따른 인식의 확산에 의해 예술의 가치와 기능이 극대화되고, 시각미디어의 등장으로 오늘날 예술을 시각예술이라 일컬어지는 바와같이 시각성이 하나의 언어로 시각의 자유가 확대되고 새로운 사회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20세기를 특징짓는 것 중의 하나는 새로운 예술형태를 찾기위한 '실험'이 가장 활발한 시대였다고 볼때 세기말의 예술현상 중의 하나는 설치미술이며 설치는 가장 특별한 형태로 인간사회 속에서 폐쇄된 화랑공간에서 탈피하여 거리의 사람들과 만나는 예술로 발전할 징조가 보인다. 물체를 적극 이용하는 일반적 추이는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길을 트기위한 특수한 수단으로서 또는 예술 그 자체를 사람들 사이에서 각광받기에 이르렀다. 설치미술의 효과는 예술의 시야를 스튜디오에서 미술관으로 미술관에서 정원으로, 정원에서 환경의 문제로 파급시켜 모더니즘의 종말을 예고했던 70년대 이후 더욱 확장된 시야를 특히 도시속에서 형성하고 있다. 설치미술의 환경적 특성은 전시공간 자체를 화랑이 아닌 실제 일상 환경에 적용하여 획일화된 건축물과 도시환경을 새로운 예술환경 시스템으로 전환시켜 대중적이고 능동적으로 인간의 예술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공간 시민과의 대화의 공간, 예술과의 만남의 광장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지하철 공간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환경개선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설치미술의 특성으로서 현대미술을 이해하고 시민과 환경, 그리고 지하철의 메마른 공간을 예술의 개념을 도입하여 인간과 유리되지 않고 삶 속에서 참다운 생활공간, 문화공간을 형성하여 적극적인 도시문화를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 지하철 공간의 현황 및 이용객에게 미치는 심리적 요소와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삶을 살펴보고 지하철 공간내 환경미술의 특징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결해 보고자 하였다. 2. 설치미술의 조형적 요소와 특성을 예술적 감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디자인 방법을 바탕으로 접근하였다. 3. 공간미술로서 예술가와 감상자의 거리를 좁히고 공간속에 함께 즐길 수 있는 설치미술의 특성을 일상속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앞서 논의 되었던 지하철 벽면 이미지 개선을 위한 설치작품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와 설치미술의 환경 조성을 위해 앞으로의 방향을 연구해 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In the modern art of 20th century, the trend has become diversified and chang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expresses on the basis of diverse personality and enlarged personality of human due to self-awareness. The advent of new art maximized the value and functions of art by the enlargement of understanding and the change of method of expression. The visualization is enlarging its range from the understanding to new society and visual freedom as language of visual due to the advent of visual media. We can consider that one of the characterictics of 20th century is an era that the experiement for searching new art modes is most active. Therefore, one of art phenomenon of end of century is installation art and it indicates that can be developed as an art which meets street people in human society and closed art gallery space as most particular modes. There are a tendeney toward the generalization to use the object positively. It appears before the footlights among the people as art itself and particular means to new way of communication. The effect of installation art influences the view of art to be extended from studio to museun, from museum to garden and from garden to environmental problems, so much enlarged view of installation art since 70' s when the end of modernism is foretold has been formed in city especiall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s convert standardized buildings and environment of city into system of new environment of art for applying an exhibition space itself from the gallery to daily life in reality and it shows successively the possibility for making space that leads the art participation of human polularly and a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vert subway space into the space of conversation with citizens, open space of meeting with art and to recompose it.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culture of city actively for understanding modern art as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on the basis of necessit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adopting from the concept of art and forming dry space of subway into the true living space or culture space for life that is not isolated from human. This study proceeds by following step : 1. Searching the living of citizens who use subway, the situation of subway space and the psychological factor that influences citizens who use subway. 2. Approaching on the basis of method of design for converting the shape el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into artistic senses. 3.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that retrieves the gap between artist of space art and appereciators and can enjoy together in space to the experience in daily life. 4. Presenting the installation work for improving the image of subway wall as mentioned above and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s for matching the city and environmental shape of installation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2. 본론 = 4 2.1 지하철 공간의 현황 = 4 2.1.1 지하철은 인간의 생활 공간 = 6 2.1.2 지하철 공간과 인간 = 7 2.1.3 지하철 공간과 환경미술 = 10 2.1.4 지하철 공간의 문제점 = 13 2.2 왜 설치 미술인가? = 15 2.2.1 주변 환경으로 확대 = 17 2.3 미디어와 테크놀러지 = 24 2.4 설치 미술과 지하철 공간 = 30 3. 작품제작 및 분석 = 38 4. 결론 = 55 참고문헌 = 57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513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설치유형-
dc.subject지하철-
dc.subject벽면디자인-
dc.subject광고디자인-
dc.title설치유형을 통한 지하철 벽면 이미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6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