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7 Download: 0

종합병원에서 사용되는 의약품집의 적정성 검토

Title
종합병원에서 사용되는 의약품집의 적정성 검토
Other Titles
Evaluation of Appropriateness in Hospital Drug Formulary
Authors
이후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Keywords
종합병원의약품집적정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병원에서 사용되는 의약품집(hospital formulary)은 각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 의약품 사용과 관련된 정책과 절차 및 약제부와 관련된 업무 이용방법 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자이다. 의약품집에 수재 되는 의약품의 선택은 치료학적인 장점, 안전성, 의약품의 가격 등을 근거로 평가, 결정하며 치료학적으로 동등한 약효를 지닌 의약품의 중복을 최소화하면서 환자 치료에 가장 적합한 의약품을 의약품집에 싣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약품집의 발행현황, 내용과 구성, 의약품목록(current formulary list)의 검토를 통해 의약품집을 재평가 하고자 하였다. 한국병원약사회 회원으로 등록된 허가병상수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113개 소 중 2002년 의약품집을 발행한 병원을 대상으로 종합전문요양기관과 종합병원, 700병상 이상과 400병상∼699병상으로 구분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의약품집 내용과 구성에 대한 적정성 평가기준은 미국병원약사회에서 제시하는 기준항목을 근간으로 의약품사용 정책과 과정, 본문, 부록, 및 구성과 외양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의약품목록은 항목별 품목수 및 보건복지부 의약품분류기준에 의한 11개 약효군과 Drug Facts and Comparisons의 분류기준에 의한 19개 약효군의 성분수 및 품목수를 조사하고, 외국병원과의 의약품목록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400병상 이상 종합병원 113개소 중 매년 혹은 격년으로 의약품집을 발행한 경험이 있는 곳은 51개소(45.2%), 2002년 의약품집을 발행한 곳은 20개소(18%)였으며, 외국병원의 경우 최소한 50%이상에서 의약품집을 발행하였다. 그 중 조사대상인 15개소 종합병원의 의약품집 발행현황은 종합전문요양기관이 8개소(53%), 종합병원은 7개소(47%)였으며, 700병상 이상이 7개소, 400병상∼699병상은 8개소를 나타내었다. 의약품집 내용과 구성의 의약품사용 정책 및 과정에 해당하는 항목 중에서 약 처방, 조제, 투약관련 규정과 의약품집 사용안내는 전체 조사대상 모두에서 수재 되었으며, 의약품 사용 규제 또는 추가 과정은 1개소만 수재 되었다. 약물 치료학위원회 소개와 가장자리 색인(edge index)은 종합전문요양기관이 종합병원 군보다 유의하게 많이 수재 되었으며(p<0.05), 병상규모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47). 본문은 모두 약품명 알파벳순으로 정렬되었으며, 그 필수기재사항인 일반명과 제형, 함량, 포장, 크기 및 복합제의 주성분, 그리고 권장항목 대부분은 모두 수재 되었다. 색인과 의약품집의 구성과 외양이 갖추어야 할 필수 항목 역시 모두 수재 되었으며, 전체 조사대상의 50%이상에서 수재하고 있는 부록의 내용은 아미노산 수액 비교표·피부반응검사(skin test)(86.7%), 항암제 안정성(80%), 소아 약용량 계산법·임신 중 약물복용의 안전성(73.3%), 항균제 안정성(66.7%)등 이었다. 조사대상 의약품집의 항목별 품목수로는 전체 조사대상의 총 품목수가 평균 약 1249품목, 총 성분수 약 855성분, 주사약 약 422품목, 경구약 약 609품목, 외용약 약 218품목, 제제약 약 49품목, 원외약 약 106품목(median 57품목)이었다. 종합전문요양기관 군이 종합병원 군보다 총 품목수, 총 성분수, 주사약·경구약·외용약 품목수 등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700병상 이상 군은 400병상∼699병상 군보다 주사약 품목수가 유의하게 많았다(p<0.05). 약효군별 의약품목록 비교조사에서는 해열, 진통, 소염제가 평균 약 29성분 42품목, 정신신경용제 약 33성분 53품목, 소화성궤양용제 약 16성분 23품목, calcium channel blocker 약 10성분 18품목, beta blocker 약 9성분 13품목, aminoglycosides 약 8성분 10품목, cephalosporins 약 24성분 32품목, penicillins 약 9성분 14품목 등이 수재 되어 있었다. 종합전문요양기관 군이 종합병원 군보다 건위소화제, calcium channel blockers, beta blockers, 및 4세대 cephalosporins에서 성분수와 품목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angiotensin Ⅱ receptor antagonists, HMG CoA reductase inhibitors의 성분수와 진통, 진양, 수렴, 소염제의 품목수가 유의하게 많았다(p<0.05). 병상규모별로는 700병상 이상 군이 400∼699병상 군보다 혈액제제류 성분수와 antilipemic agents 품목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또한 외국 조사대상 병원과의 비교에서는 국내 조사대상 의약품목록이 외국 조사대상 병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의약품집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기준항목을 국내 의약품집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며, 제한적인 몇 곳의 외국 조사대상 병원과 의약품목록을 비교하였기에 향후 좀더 대규모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의약품집을 통한 약물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의약품집에 수재 되는 의약품의 선택 시 환자치료상의 장점과 안전성, 비용 효과적인 부분을 고려한 합리적인 의약품의 선택 등 의약품사용제도의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Hospital drug formulary is a continually revised compilation of pharmaceuticals, reflecting the current clinical judgement of medical staff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hospital formulary in Korea. Out of 113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20 hospitals published formularies in 2002. Fifteen hospital formularies out of 20 were obtained for evaluation. Hospitals being surveyed were categorized by the number of beds (greater than 700 beds vs. 400~699 beds) and by the type of hospital (tertiary vs. acute care hospital). The criteria for formulary content and organization suggested by American Society of Health System Pharmacist (ASHP) was modified and applied. Drugs were categorized based on both the drug classifications sugges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Drug Facts and Comparisons. Formularies were revised annually or biannually in 51 out of 113 hospitals (45.2%). Of 15 hospitals studied, 8 were tertiary hospitals (53%) and 7 had greater than 700 beds. Information on organizational policies and procedures concerning drugs and using the formulary were provided in all 15 hospitals. However, restrictions on drug use and procedures for requesting a drug to be added to the formulary were included in only one hospital. Drug products were listed alphabetically by generic name in all 15 hospitals. Generic name of the drug, dosage form(s), strength(s), packing(s), size(s) and formulation (active ingredient) of a combination product, and drug classification number were provided in all 15 hospitals. Among special information, comparison of amino acid solutions, skin tests, stability of antineoplastic and antibiotic agents, pediatric dosing, and pregnancy categories were included in more 50% of the hospitals. However, the number of drugs in the formularies from Korean hospital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other countries. Evaluation of hospital formulary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is could be applied as a guideline to the hospitals preparing formulary publication and update. Also, the selection of items to be included in the formulary should be based on objective evaluation of their relative therapeutic merits, safety, and co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