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장애인을 위한 통합목회 방안

Title
장애인을 위한 통합목회 방안
Other Titles
Integrated Ministry Program for the Disabled
Authors
김정회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Keywords
장애인통합목회Disabled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 이후 인권 존중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선진국에서는 장애인을 향한 왜곡되지 않은 시각과 그들을 이해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어 왔지만, 한국사회는 아직도 그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여 그들이 사회로부터 소외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을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으로 돌보고 교육해야 할 교회들 마저 장애인에 대한 소극적이고 냉소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다. 장애인 학교 교사로 활동하면서 장애인은 비장애인과의 동일한 인격체로 대우받기 원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후 실천신학을 전공하면서 실질적인 장애인 목회에 관심이 제고되었다. 결국, 바람직한 장애인 목회를 위해서 교회공동체가 장애인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관심을 갖는 교육, 교회의 열려진 통로,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을 통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목회 차원에서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돕기 위한 적극적 노력을 유도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분리교회의 장애인 프로그램 사례 조사 및 분석, 그리고 사역자, 장애인, 장애인가족, 그리고 성도에게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 순서로 논문을 전개한다. 연구의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한국교회의 문제점은 일반교회나 사회로부터 고립된 집단이고, 장애인 프로그램이 소극적이고 비전문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래서, 이상에서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통합 목회에서 찾을 수 있다. 통합목회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나되어 하나님을 섬기는 신앙공동체가 통합목회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 함께 평등하게 예배드리며 모든 교회 활동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동참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통합목회의 당위성은 보편적 차원에서 교회의 일치, 화해, 완전성의 회복 차원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성서적 근거를 보면 예수께서 세리들과 죄인들, 장애인들, 소외된 자들과 함께 하셨던 예수 공동체에서 그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자선과 도움이 필요한 '우리와는 다른' 소수의 집단으로 생각하기보다는 하나님이 만드신 이 사회를 구성하는 동등한 인격체임을 인식하고 그들과 하나로 어우러지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교회의 모습을 만들어 가야한다.;As human right movements regularized after th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continuous effort to understand the disabled unbiasedly among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in efforts to reform the fixed conception and prejudice on them in the Korean society, which alienates them from the society. In particular, even churches that have to educate and take care of them with sacrificial love of Christ are cold and negative towards the disabled. While working as a teacher in a school for the disabled, I learned that the disabled desired to be treated the same as a non-disabled person, and then developed interest in actual ministry for the disabled while majoring in practical theology. Ultimately, I understood the necessity for an actual program that can integrate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through an open passageway of the church, and the church community educating the disabled with proper recognition and interest on them, for advisable ministry for the disabled. The aim of this study is develop a program and put active effort into helping the disabled participate in the society in the dimension of integrated ministr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proper understanding on the disabl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ograms for the disabled of separated-ministry churches, and concrete measure for service workers, the disabled, family of the disabled and apostles. The problems of churches in Korea exposed in the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church was an isolated group from the general church or society, and that programs for the disabled were managed negatively, non-professionally. Integrated ministry will be ab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im of integrated ministry is a group of believers who serve God becoming one -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together- and signifies the disabled and non- disabled participating together in all church activities and worshipping God equally. What is required in integrated ministry can be described in the recovery dimension of completeness and the universal dimension of church harmony and reconciliation. And, according to the Bible there is the root of community of Jesus where He was with alienated people, the disabled, sinners and the influential. In general, the disabled should be appreciated as an equal being from the non-disabled, who form this society God has made, rather than conceiving them as a minority group who are different from us and who need help and charity. Churches have to develop an image of harmonizing with them as one, as a natural thing to ac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