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은희-
dc.creator신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8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factors and provide the fundamental indication to find the way of releasing anxiet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1. How was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1-1 Were there any difference of anxiety degree whether having teaching experience in kindergarten or not? 1-2 Were there any difference of anxiety degree according to the style of instruction organiza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ffectiveness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233 senior students of college who took part in the student practicing in the latter of the year. For the surve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ffectiveness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STAS(Student Teacher Anxiety Scale) which were developed by Hart(1987) was used for the anxiety measurement. There were 25 questions in this kit and each question was measured by 5 point. For the teachers' effectiveness measurement, Yeebunryeo(1998) which was corrected as a measurement kit from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used. There were 25 questions in this kit and each question was measured by 5 point.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for adults which was developed by Buss and Plomin(1984) was used for the temperament determination. There were 20 questions in this kit and each question was measured by 5 poi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was 3.45. Regarding the order of the anxiety ratio was, the anxiety of practical evaluation was the highest with 3.47%, the relations between infants and professionality with 3.46%, control the class with 3.43%, and class planning with 3.40%. According to having teaching experience in kindergart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3 instruction organizations which were be subjects of survey. Second, Between the temperament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had the relationship in emotional sense, that is to say,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was increased as emotional sense was high, and decreased as activity was high. Third, It was perceiv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s' effectiveness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And for the personal effectiveness, the higher effectiveness, the lower anxiety was shown.;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요인을 알아보고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불안은 어떠한가? 1-1. 교육실습 하기 전 어린이집 실습 경험유무에 따라 교육실습 불안도에 차이가 있는가? 1-2. 교육실습 기관의 유형에 따라 교육실습 불안도에 차이가 있는가? 2. 기질과 교육실습 불안의 관계는 어떠한가? 3.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교육실습 불안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지역에 소재 한 후반기 유치원 교육실습을 실시하는 대학의 졸업반 학생 233명이었다. 교육실습의 불안, 기질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Hart(1987)가 제작한 STAS(Student Teacher Anxiety Scale)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교사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유치원 교사 효능감 측정도구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2개의 하위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기질을 측정하기위한 도구는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성인용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20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 윌콕슨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은 5점 척도에서 전체 평균 3.45로 나타났다. 불안이 높은 순서대로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평가(M=3.52)에서 불안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유아와의 상호작용(M=3.47), 교육활동 계획 및 운영(M=3.44), 유치원 직원들과의 인간관계(M=3.20)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할 기관유형에 따른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은 사립유치원의 경우(3.51%)가 공립유치원(3.17%)과 대학부속 유치원(3.1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전 어린이집에서의 실습 경험유무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불안은 세 기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과 기질과의 상관 관계는 교육실습 불안과 기질의 하위영역인 정서성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동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은 정서성이 높을수록 높아지고, 활동성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과 교사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일반적인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상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인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효능감이 높을수록 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육실습 = 5 1. 교육실습의 중요성 = 5 2. 교육실습 단계 = 6 B. 교육실습의 불안 = 10 1. 불안의 개념 = 10 2. 교육실습 불안의 요인 = 11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연구 도구 = 18 C. 연구 절차 = 20 D. 자료 분석 = 21 Ⅳ. 결과 및 해석 = 22 A.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불안 = 22 B. 기질과 교육실습 불안 = 25 C. 교사 효능감과 교육실습 불안 = 27 Ⅴ. 논의 및 결론 = 30 A. 논의 = 30 B. 결론 및 제언 = 33 참고문헌 = 35 부록 = 40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13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교사-
dc.subject교육실습-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유아-
dc.title예비 유아 교사의 교육실습 불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dc.format.pagev,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