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정서함양 토의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정서표현 및 교수방법의 변화

Title
정서함양 토의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정서표현 및 교수방법의 변화
Authors
백나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정서함양 토의활동교수방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표현 함양을 위한 토의활동을 진행했을 때 유아들에게서 보여지는 정서표현과 교수방법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의 정서표현능력의 발달과 교사의 교수방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에서 첫째, 정서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토의활동은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가? 둘째, 유아의 정서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교사의 교수방법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세째, 사랑반 유아들의 정서표현능력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병설유치원 만 4, 5세 혼합반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유아 30명과 교사 1명이었다. 2003년 3월 10일부터 2003년 4월 17일 동안 총 17회의 활동을 통하여 자료가 수집되었다. 본 활동으로 그림책을 통한 토의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확장활동으로 동극, 동시짓기, 노래 만들기, 신체표현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녹음, 비디오촬영, 사진 촬영, 유아들의 작품들, 설문지, 학부모 면담, 교육계획안, 교사저널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은 다음 활동의 계획에 반영되어졌으며 유아의 정서표현능력의 발달과 교사의 교수방법의 변화에 대한 분석자료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토의활동은 동화책 읽기, 등장인물의 정서인식하기, 문제원인 규명하기, 해결방안 모색하기, 확장활동 실행하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토의활동은 황의명 외(1997)가 제시한 정서지능발달을 위한 교수방법을 재구성한 것으로 먼저 유아들의 정서표현능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제와 유아의 흥미, 정서발달을 고려하여 그림 동화책을 선정하였다. 정서인식 단계에서는 선정된 동화를 이용하여 유아들과 등장인물들의 정서에 대해 토의해보며 정서의 의미와 발생요인을 알아보았다. 문제원인의 규명 단계에서는 등장인물들의 문제상황과 관련되어 유아들이 경험한 정서적 상황과 비교하면서 문제원인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이 사회·문화적으로 적절한 정서표현에 대한 필요성을 갖도록 하였다. 해결방안의 모색단계에서는 다양한 방안들을 토의하고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안을 선택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변화되어 나타나는 정서에 대해 이야기해보며 긍정적인 정서로의 전이과정을 경험하였다. 확장활동의 단계에서는 유아들이 결정한 해결방안과 새롭게 변화되어 나타난 정서를 동시짓기, 노래만들기, 동극, 신체표현 등의 활동으로 실행하여 긍정적인 정서를 심화시키는 과정을 가졌다. 둘째, 토의활동을 통해 유아의 정서표현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방법을 체계화하고 내면화시 켰다. 교사의 교수방법을 체계화시키기 위해 과거에 진행했던 활동과 교수방법들을 분석한 뒤 황의명 외(1997)가 제시한 교수방법들을 재구성하여 활동을 진행하였다. 토의활동 초기에 교사는 유아들이 사회·문화적으로 적절한 정서를 표현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활동이 진행되어짐에 따라 유아들이 표현한 정서들이 유아의 주도적인 정서조절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표현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정서인식의 단계에서 유아들이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도록 언어, 몸짓, 얼굴 표정 등으로 정서를 표현하도록 하였으며, 문제원인의 규명단계에서는 발생된 원인을 파악하도록 유아들이 경험한 정서상황과 결부시켜 발생원인을 토의하였다. 해결방안의 모색단계에서는 사회·문화적인 배경의 틀 안에서 적절한 해결방안을 스스로 선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유아들이 제시한 해결방안들이 미칠 영향과 나타나게 될 정서에 대해 토의하는 과정을 가졌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서로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해 정서를 효율적이고 건설적으로 표출하도록 하는 자기주도적인 정서조절과정의 체계적인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확장활동의 실행단계에서는 유아들이 선택한 해결안들이 내면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고 활동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제와 연계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 과정 속에서 정서의 의미, 발생요인, 긍정적인 방법으로의 정서조절을 위한 교수방법을 체계화시켜 나갈 수 있었다. 세째, 유아들은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처음엔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데 소극적이었으나 토의활동을 통해 정서를 적극적으로 표현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토의활동의 초기에 유아들의 정서표현의 범위는 한정되어 있었고 정서를 인식하고 문제원인을 파악한 뒤 정서조절을 위한 방안을 토의하는 과정에서도 즉흥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활동이 계속 진행되어짐에 따라 등장인물에 감정이입을 해보며 문제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이 과정 속에서 토의한 해결안을 사회·문화적으로 인정된 정서 형태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뒤 결정된 해결방안이 실행되었을 때 예측되는 정서의 형태를 예상해보며 긍정적인 정서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동극, 조형, 신체표현, 동시짓기, 노래만들기 등의 확장활동을 통해 조절된 정서를 심화시키고 정서의 조절과 표현 과정을 내면화시키는 모습을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activity of discussion on children ' s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and teacher's teaching method.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up for the above purpose : 1. How is the activity of discussion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on ablity being progressed? 2. How is the teacher's teaching way being changed to improve ability of expression of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an activity of discussion? 3. How is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being developed during the activity of discuss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a class of four, five-year-old children in an BUD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with 30 children and 1 teac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main activity of discussing the emotion with an illustrated story book and secondary activity such as playing a drama, composing poem, song, body expressing etc for 1 and a half month, from March 10, 2003 to April 17, 2003. The main activity and the secondary activity were recorded by video for the activities of discussion with an illustrated book, interviewing the parents' view of developing of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children's works such as drawing, composition, photos, video, teaching plan, teacher's journal etc. And the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ose records. Therefor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ly the activity of discussion was proceeded and organized through reading an illustrated book, understanding character's emotion, figuring out a cause, searching a solution and operating the secondary activity And the activity of discussion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was established by processing above activities. Secondly the way of teacher's teaching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was able to be improved to organize and structure, which effected to the children to develop their emotion by making them understand the character's emotion, leading the children to think about the reason of occurred emotion in the illustrated story book and discussing for the solution. Thirdly the children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own emotion through the activity of discussion with the illustrated story book and the study brought the children get positive to express themselves. They could finally affirmatively control their emotions to make their situation bet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