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미진-
dc.creator신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7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youth is to measure the level of Place Attachment as one of the emotional affection on the local community and to analyse the influence of tha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Also, the final aim of this study is to apply place affection as the means of promoting the citizenry more responsible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work programs. This study is based on a sample of 456 people who a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on recognition for environment, place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To analyze th data SPSSWIN10.0 programs was used for computing some statistics techniques such as mean,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t-test,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youth were regarded air pollution as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 both local communities and whole country. More than 50% of those questioned thought that local environment was polluted and they were damaged by that. Moreover, a majority of students were concerned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and agreed that pollution was occurred and would be able to be decreased by themselves. The survey showed that most of those questioned got the information related to environment through the TV. 2. The consequence of the investigation for local attachment said that most students didn't have enough affection for local resources. In addition to this, that showed that the place attachment of students who lived in Gyeonggido were higher than the others who lived in Seoul and also middle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high school students. As might be expected, the level of students' pro-environmental behaviors was estimated low. But apart from this, some of those behaviors such as sorting recyclable materials and conserving water were measured much higher than the others, so it was certain that social rules might have mainly influenced on the specific phenomenon. 3. The higher dependency on local surroundings was showed by those who resided in Gyeonggido, felt their residental environment clean and did not have serious damage occurred by a various forms of pollution. Also, a group of people who lived in Gyeonggido, wer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 and felt that their local area was good for residing had much higher place identity. By and large, the more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 students had, the higher level they had. But, apart from this fact, the place identity didn't intermediate between place dependenc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s study illustrated the linkage between the local attachment to local natural resourc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at, it was clear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can inspire ordinary people's awareness of necessity of conserving environment by means of local attachment. Therefore, the effort, which keeps environment pleasant and develops/applies programs on the development of that, may lead to increase place attachment. To sum up, it is certain that such as this process influence pro-environmental behavior positively.;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 대한 감정적 애정인 지역친밀감 정도를 측정하고 이것이 친환경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역친밀감을 환경교육 또는 체험학습프로그램을 통해 더 책임있는 시민으로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수단으로써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환경에 대한 인식, 지역친밀감, 친환경적 행동 수준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SPSSWIN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둥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와 지역환경문제는 대기오염이며,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지역환경이 오염되어 있고, 그 피해를 받는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환경오염의 주체와 해결노력 대상이 나 자신을 비롯한 우리 모두라는 의견에 동의하였다. 환경관련 정보는 TV를 통해 가장 많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친밀감 측정 결과, 학생들은 자신들의 지역환경에 대해 그다지 애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지역친밀감이 서울지역의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친환경적 행동 수준 역시 낮게 측정되었는데, 분리수거와 물 절약 행동이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아 사회 규범적 신념의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지역의존성은 경기도에 거주하고, 지역환경상태가 쾌적하다고 생각할수 록, 환경오염 피해가 적다고 느낄수록 높았으며, 지역동일성은 경기도에 거주하고,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고, 지역환경이 쾌적하다고 느낄수록 높게 나타났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지역친밀감(지역의존성과 지역동일성)이 높을수록 친환경적 행동 수준은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동일성이 지역의존성과 친환경적 행동을 매개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에 대한 애정과 친환경적인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함으로써 지역친밀감이 환경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더 책임있는 시민의식을 발달시키기 위한 어떤 하나의 수단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지역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은 지역친밀감의 향상을 이끌 것이며 이는 친환경적 행동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친환경적 행동 = 5 1. 친환경적 행동의 개념 = 5 2. 환경교육 목표로서의 친환경적 행동 = 7 3. 관련변인 = 11 B. 지역친밀감 = 15 1. 지역친밀감(place attachment) 의 개념 = 15 2. 지역의존성 (place dependence) = 20 3. 지역동일성 (place identity) = 21 C. 지역 환경교육의 의의와 중요성 = 2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7 A. 연구대상 = 27 B. 측정도구 = 29 C. 자료수집 = 31 D. 자료분석방법 = 3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2 A.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정도 = 32 B. 지역친밀감과 친환경적 행동 수준 = 39 1. 지역친밀감 수준 = 39 2. 친환경적 행동 수준 = 42 C. 지역친밀감과 친환경적 행동 및 제변인들간의 상관관계 = 46 D. 지역동일성이 지역의존성과 친환경적 행동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48 Ⅴ. 결론 및 제언 = 51 참고문헌 = 54 Abstract = 61 지역친밀감과 친환경적 행동에 관한 설문지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0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지역친밀감-
dc.subject친환경-
dc.subject행동-
dc.title지역친밀감(place attachment)이 친환경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