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문화정체성이 반영된 문화상품에 관한 연구

Title
문화정체성이 반영된 문화상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ulture Products with the Reflection on Cultural Identity : Focusing on the Designs on Korean Paper Cart on Using the Folk Painting
Authors
서영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문화는 정치, 경제, 사회전반의 변화를 포괄적으로 선도하면서 앞으로의 세계화를 이끌어 가는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21세기에 들어서 세계의 경제 및 기술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융합되어 가는 과정 에서 ‘문화산업’이라는 현상이 생겨났고, 이것으로 문화는 경제에 힘을 실어주는 원동력이 되었다. 즉 문화적으로 강한 나라가 자국문화의 가치창출 능력에 힘입어 경제대국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자주적인 문화능력을 키워나가기 위해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소중한 우리만의 문화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자국의 전통적인 요소들의 특성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자인은 자국의 전통적인 요소들의 형식적 요소만을 차용하는 단편적인 디자인 전개가 아닌 문화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이어야 하겠다. 우리의 삶 속에서 자연적인 환경이나 인문사회적인 역사와 문화에 바탕을 둔 민족적인 특성이나 특질이 끊임없이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연성 있게 변화하면서 우리의 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어서 문화는 중요한 개념이다. 따라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우리의 문화에 대한 역사적 인식, 사회 문화적 현상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의 조형관을 표현하여야 한다. 전통적인 이미지의 재현에 있어서도 토속적, 민속적 소재의 바탕을 둔 전통의 재현뿐만 아니라 우리정서를 추상화시키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고유한 미의식, 전통, 조형적 질서를 담아 낸 한국민화에서 추출한 예술적 색채관을 한국 지공예에 적용하여 현대적인 재해석으로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한지지함을 제작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민화는 우리민족의 생활 철학과 정서가 자유로이 표현된 그림으로 궁중내실 장식화로부터, 서민층 무속 종교화에 이르기까지 서민들의 삶을 반영하여 전통문화의 한 장르를 이루고 있다. 예술적 측면의 민화는 전통적인 미의식인 소박함과 담백함을 지니고, 해학성, 무속성, 무명성을 특성으로 하여 선과 구도에서는 반복성, 복합성, 추상성, 원근법적인 조형적 특성을 지니고 있고 색도 대체로 높은 채도의 원색을 대담하게 사용하고 뚜렷하고 밝은 색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자는 논문에서 민화와 더불어 한국적 미를 잘 나타내고 있는 전통공예품 하나인 한국 지공예품의 조형성 특성과 고유의 미감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민화의 색채관을 바탕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공예품의 문화상품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의 특수성을 지켜 나가기 위해 세계화 시대 에 맞게 보편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중요한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우리만의 문화상품으로 개발해야할 것이다. 이렇듯 한국문화의 민족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문화역량을 어떻게 발전시키느냐에 따라 새로운 세기에 있어 국가의 위상이 결정될 것이다. 지금까지 잊어버린 자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발견하고 한국의 전통 문화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다양한 표현과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제품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것이다.;Culture will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driving force to lead the comprehensive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overall society while accelerating the globalization in the days to come. In the 21st century, during the course of drastic growth and interfacing the world economy and technology, there is a phenomenon so-called ‘Culture Industry’, and this has enabled culture to become the source of driving force for economy to advance. Namely, it implicates that the state with strong culture will be able to become an economic power with the capability of value generation in its 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independent cultural capability of Korea,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develop the culture of its own. As a way of finding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t has to be the design that has the foundation in culture, not a fragment design borrowing the formative element of traditional factors of the country only. Culture is an important concept in showing the identity of a country while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which have its foundation in natural environment or humanistic background in history and culture, flexibly change along with the change of time and society. Therefore, in the research of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e view on formative works of Korea has to be expressed on the basis of studies on the historic recognition on our culture and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n reproducing the traditional image, the traditional reproduction is considered as needed along with the folk and ethnic themes in the abstract work of our senti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the Korean paper carton to use in practical living with its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the artistic beauty and simplistic beauty extracted from the Korean folk painting that contains the aesthetic concept, traditional and formative order of Korea’s own through the subjective view together with the geometric patterns in repetition of basic form in the art deco of 1925s, jig jag and others. The folk painting is the painting that freely expresses the living philosophy and sentiment of Korean people that reflects the live of people in decorative paintings in royal palace and shaman and religious paintings for lay people to form a genre in traditional culture. The folk painting in the artistic aspect has the traditional aesthetic concept in ‘plainness and delicac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umor, non-attribution(무속성) and non-name(무명성)’ to have the formative properties of ‘repetition, integration, abstract and perspective’ shown in lines, colors and composi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unique sense of beauty of Korean paper crafted products, one of the traditional craftwork which well expresses the Korean beauty along with the folk paintings. And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e products, the Korean paper that can make the best of Korean image based on the color sensation of folk painting is used to make the Korean paper crafted product. Therefore, in this thesis, in order to keep the particularity of Korean culture, it would be prudent to success and develop important culture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generality to meet in the globalization era and develop it as the product available only in the Korean culture. As such, depending on how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while maintaining the cultural identity in tact on the basis of uniqueness and particularity of Korean culture, the national status would be determined in the new century. Through the rediscovery of long lost cultural identity and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various expressions and designs would be developed to heighten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products and generate high added-value produ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