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레디메이드(Ready-Made)이미지를 응용한 도자 오브제(Object) 주전자 조형연구

Title
레디메이드(Ready-Made)이미지를 응용한 도자 오브제(Object) 주전자 조형연구
Other Titles
RESEARCH AND STUDY ON KETTLE PLASTIC ART OF CEMETERY OBJECT THROUGH APPLICATION OF READY-MADE IMAGES
Authors
손은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미술의 다양한 양식가운데 두드러진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오브제이다. 오브제는 어떤 물체가 우연적이거나 필연적 효과에 따라 작품의 소재가 될 때 그 본래의 용도나 기능은 의미를 잃게 되고, 새로운 물체성을 가지고 작품화되는 것을 오브제라 한다. 따라서, 흙이 지닌 물질적 특성과 다양한 기술의 도입은 새로운 조형과 형태로서의 가능성을 통해 새로운 창출을 가능케 하였다. 흙으로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오브제(Object)중 본 논문에서는 예부터 우리의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보아온 주전자의 형상을 표현 하고자 하였다. 주전자는 고대로부터 오늘날까지 기능적 측면과 형태는 크게 변화지 않았다. 현대 주전자를 살펴보면 과거 장식성과 실용성을 갖춘 기능적 용기에서 현재 독특한 형태의 오브제 주전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주전자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가깝게 접할 수 있는 용기 중의 하나로써 유기적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시각적으로는 주위와 흥미를 끄는 대상이다. 오늘날에 와서는 다양한 소재와 장식적 요소의 확대, 그리고 기능을 무시한 변형으로 최소한의 구조적 특성만을 갖춘 새로운 표현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공업화와 기계화에 따른 대량 생산과 일상생활에서 쉽게 보고 지나칠 수 있는 수도꼭지, 플라스틱 소쿠리, 열쇠, 소화기 등을 소재로 하여, 사물을 단순하게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주전자이미지로 다양한 상상을 통해 보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전달하고, 레디메이드(Ready-Made)의 영향을 받아 직접 만들어진 작품보다는 연구자의 상상을 통해 표현되고, 실험적인 작품을 연구하고 싶은 것이 연구의 동기가 되었다. 주전자를 통해 사물의 사실적 이미지들을 주전자에 도입하고, 형태적 특성을 재구성하여 장식적인 요소를 표현함으로써 조형성을 강조하여, 새로운 비 기능 오브제 주전자를 도자예술로 도자 주전자 조형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오브제와 조형예술에 나타난 레디메이드의 개념과 특성, 주전자의 유래와 기능을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고, 주전자의 사례로 현대 도예에 나타난 국·내외 오브제 주전자의 다양한 작품을 알아보았다. 작품 디자인을 연구함으로서 오랜 시간동안 주전자를 단지 도구로 이용하고 보아 왔다면 본 연구자는 주전자를 하나의 오브제의 표현매체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보고, 지나치는 물체들을 이용하여 주전자를 제작하여 물체들이 다시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내려고 하였다. 작품의 조형과정에서는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물품(Ready-made)을 재구성 한다는 의미로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을 사용하였다. 이장 주입성형 후에 나온 기물을 결합과 변형을 하는 과정을 거쳐 조형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조합하여 주전자의 특성을 살려 전체적으로 작업의 통일성과 변화를 동시에 부여하여 율동적인 오브제 주전자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태토는 백색도가 높은 고려도토의 슈퍼화이트에 다양한 표현을 위해 Black, Blue, Pink색의 안료를 0.3%를 혼합하여 태토에 사용하였다. 유약은 태토와 조형의도에 부합하는 섬세한 형태의 표현을 위해 다양한 색감의 특성에 맞게 동유, 망간유, 진사유, 청자유, 투명유의 광택유와 균열유, 흑유의 무 광택유를 사용하여 담금법으로 시유하거나 작품의 형태와 분위기에 따라 분무시유 하였다. 작품의 따라서는 2차소성 후 러스트유를 바르거나 테라시질라타(Terra Sigillate)에 안료를 섞어 붓으로 바른 후 수세미로 문질러 3차소성 하였다. 소성은 0.5㎥의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5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하였다. 2차 소성은 0.5㎥의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12시간동안 산화 염 소성하였고, 작품의 성격에 따라 1㎥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13시간동안 환원염 소성하였다. 테라시질라타를 사용한 작품의 경우 2차 소성 후 0.5㎥의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1000℃로 10시간동안 3차 소성하였고, 또 러스트유(Lust oil)를 사용한 작품은 2차 소성 후 0.5㎥의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00℃로 6시간 동안 3차 소성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지나쳐 버린 사물(Ready-made)들을 다시 표현하는 것은 본 연구자에게 새로운 경험이었고, 단순하게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주전자의 구조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여 보다 유쾌한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주전자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주전자를 제작하면서 형태에서 흥미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약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을 할 수 있었다. 첫째. 오브제의 개념을 통해 오브제의 시대적 흐름을 알고, 현대적 시대흐름에 맞는 감각으로 재해석 하였다. 둘째. 레디메이드(Ready-made)에 관한 연구를 통해 공업화와 기계화에 따른 대량 생산과 일상생활에서 쉽게 보고 지나칠 수 있는 사물을 소재로 하여, 그것을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주전자의 구조로 새롭고,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셋째. 주전자의 기능성과 조형성의 특징을 알아보고, 구조적 특징에 맞게 조형적이고 독창적인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었다. 넷째. 삼국시대에 제작되어진 상형토기와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시대에 제작되었던 청자, 백자는 그 시대에 적합한 사회의 요구와 필요에 의해 제작되었기에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을 연구하였다. 다섯째. 소외되거나 버려진 사물(Ready-made)을 소재로 하여, 모든 사물을 변형을 통해 조형작품에 표현되는 과정에서 기존 형태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조형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험으로 본 연구자는 사물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예술 활동의 다양한 방법과 조형적 특성을 살려 오브제 주전자 작품을 제작하면서 영역의 확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지금까지 제작한 작품은 기능성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여러 사물을 이용해 제작할 작품은 기능성이 있는 작업으로 발전시켜 깊이 있는 작품을 추구하고자 한다.;It is Object that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methodology amongst various styles of modern art. Object means to lose its original purposes or functions and instead, create and produce a new work, when a thing becomes a subject of the work by either coincidental or inevitable effects. Thus, the physical features of clay and the introductions of the various technologies have enabled new plastic arts and their patterns to emerge. The research thesis has been meant to express the forms of a kettle one of diversely-shaped, clay-expressed and wide-spread objects in our daily life, since a quite long ago. In fact, a kettle has not made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both aspects of function and shape, from the ancient times up to today. The close look into contemporary kettle demonstrates that such kettle has made a wide range of changes ranging from functional vessel with the past decoration and practicality to the current unique-formed Object kettle. Kettle is one of the vessels in our closest daily life, having the organic components and appealing in visual terms. Today, such kettle becomes the 'object' of new expressions with the version of just minimum functional feature, disregarding various subjects, decorative and functional factors. The researcher has been motivated into expressing more funny stories based on not merely reproduction of objects but indefinite imaginations about images of kettle and demonstrating art works through imaginations that researcher has, instead of the art works made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Ready-Made, and then researching experimental works, To do it, the researcher has decided to choose subjects such as faucets, plastics, baskets, keys, fire extinguishers, which are mass products associated with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sm, but can often be overlooked in our daily life. The research thesis has aimed at introducing actual object images into kettle, reconstructing pattern features, and punctuating fancy elements. And, the thesis has also focused on turning new non-object kettle into cemetery art, making the research and study on cemetery kettle. In the theoretical contexts,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the research and study o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ady-made, the origin and functions of kettle, through literature data, finding out various artcraft of Object kettle, at home and abroad appearing in contemporary cemetery art. Many researchers researched about kettle, treating kettle as a mere instrument. In contrast, the researcher has designed to produce and create new image of kettle as one expression medium of 'object', through things disregarded by many people. In the process of making plastic art works, the researcher has used slip carving with plastic modeling, in the sense of reconstructing Ready-made objects. And, the research has been mad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ombining and transforming vessels out of slip carving, and demonstrating them as plastic art. In harmony with these processes, the research has also been intended to highlight the features of kettle, offer uniform and diversity of the art works, at the same time, and express the dynamic object kettle. To do it, homegrown clay was mixed with Black, Blue, and Pink pigments of 0.3%, for the purpose of diverse expressions of super-white Goreyo clay with intense whiteness. And, glaze oil was mixed with tung oil, manganese oil, cinnabar oil, celadon oil, and glossy oil, and crock oil of pellucid oil, along with non-glossy oil of black oil, for the purpose of brewing and spraying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s and atmosphere of art works. Such mixture was done in order to demonstrate a wide variety of delicate patterns and color features living up to the original purpose of plastic ar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making the second plastery before applying lust oil, and applying pigment to Terra Sigillate before scouring and then producing the third plaste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art works. The first plastery was done for eight hours in electric kiln of 0.5㎥ with the ultimate temperature of 850℃, while the second plastery was oxidized and chloridized for twelve hours in electric kiln of 0.5㎥ with the ultimate temperature of 1250℃ . And, reducing chlorine plastery was done for thirteen hours in gas kiln of 1㎥ with the ultimate temperature of 1200℃,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work pieces. For art pieces of Terra Sigillate, the third plastery was done for ten hours in electric kiln of 0.5㎥ with the ultimate temperature of 1000℃ after the second plastery was done. And, for art pieces out of lust oil, the third plastery was conducted for six hours in electric kiln of 0.5㎥ with the ultimate temperature of 800℃ after the second plastery was conducted. Reexpressing objects disregarded in our daily life was the new experiences for the researcher. Such object is not cited as the mere reproduction, but they are related to delivering a wide range of expressions and happier stories through the structure of kettle. And, the researcher can not only be interested in the 'form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kettle, owing to the structural patterns of kettle, but also can express various factors with the aid of glaze. Firstl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currency of object by means of the concept of object, and reinterpret such concept as the contemporary trend. Secondly, it was possible to choose as the subjects mass production involving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sm, and objects disregarded in our daily life, and create such objects as kettle structure in noble and various ways, instead of reproducing them. The above-stated activities were made through the research on Ready-made. Thirdly, it was conducted to study the functionality of kettle and features of its plastic art, and manufacture plastic and unique images suiting for the structural patterns. Fourthly, the research was made on the substantial values of hieroglyphic earthen wares originating from the Korean ancient three kingdoms, and celadon porcelain and white porcelain originating the Goreyo kingdom and Joeson dynasty, as such objects were produced by the social requests and necessities right for the ages. Lastly, it was possible to make as the subjects Ready-made objects, which had been ignored and discarded. Also, it was feasible to make the observations on the potential attributes of plastic art down deep in the established forms, in the course of expressing plastic art pieces through the versions of all objects. The extensive experiences were helpful in creating new images of objects, for researcher. And, it is expected to develop and expand the realms by producing objects related to electronic goods, through a wide variety of creative and unique artistic activities and plastic attributes The functional factors hav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so-far produced art works. But the art works, which will be produced through many objects need to be developed and pursued so that such works could reach the functional and profound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