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대학교 탐구 화학 실험에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모델의 적용 효과

Title
대학교 탐구 화학 실험에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모델의 적용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reativity-improvement model in college exploratory chemistry experiment
Authors
임정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은 과학적 기본 개념을 습득하고, 자연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과 과학적인 태도를 기르기 위한 학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현행 7차 교육과정 이후 시행예정인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학생 중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증진되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창의적인 사고에 밑받침이 되는 탐구 학습 능력을 기르는 것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이를 지도하고 이끌어줄 수 있는 교사의 능력 개발 및 신장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교사 양성 기관인 사범 대학에서 공부하는 예비 과학 교사들의 창의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된 탐구 화학 실험을 분석하고, 이러한 실험을 경험한 예비 과학 교사들의 창의성과 과학적인 태도가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된 결과를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통해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수정․보완된 탐구 화학 실험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창의성을 신장시키도록 수정․보완된 탐구 화학 실험을 경험한 학생들은 가설 생성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세 번째, 창의성을 신장시키도록 수정․보완된 탐구 화학 실험을 경험한 학생들은 과학적 태도 중에서 창의성과 호기심이 증진되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실험은 가설적 사고력의 신장에 있어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과학적인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성 신장 모델을 적용한 탐구 화학 실험을 경험한 학생과 이 모델을 적용하지 않은 종전의 일반 화학 실험을 경험한 학생들을 비교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뒤따른다면 창의성 신장 모델의 효과를 좀 더 타당하게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창의성 신장 모델을 적용한 탐구 화학 실험을 경험한 예비 과학 교사들이 장차 과학 교사가 되었을 때 현장의 상황에 적절하고 유용한 창의성 신장 실험을 훌륭하게 개발할 수 있으며, 탐구 실험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Science is a study that acquires fundamental notions of science, and develops the ability to explore nature scientifically and scientific attitude. Reflected by this, advanced 7th education program for the coming year after the present 7th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emphasizes on "creative thinking skill." In order to improve student-centered creative thinking skill, developing exploratory learning ability should be put in the first place in supporting creative thinking by students themselves, but the development and cultivation of teachers' ability to lead exploratory learning ability is the one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modified and complemented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to help to develop creativity of future teachers studying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meaningful improvement of their development and scientific attitude through this experiment. The result to reach the goal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modified and complemented general chemistry exploratory experiment to improve creativity via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Second, this study has shown the meaningful progress in hypothesis-generating ability of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modified and complemented general chemistry exploratory experiment to improve creativity. Third, this study has shown the increase of creativity and curiosity in scientific attitude from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modified and complemented general chemistry exploratory experiment to improve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eriment is effective for improving hypothetical thinking, and it could also make positive change in scientific attitude. In addition, for further discussion, following researches will be able to support the effect of creativity-improvement model by examining and comparing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ith other students who experience former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that does not adopt this model. Finally, future teachers who experience this general chemistry exploratory experiment adopting creativity-improvement model will be able to successfully develop proper and useful creativity-improvement experiment on the spot and to teach with confidence in exploratory experi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