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성유경-
dc.creator성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66-
dc.description.abstract보행환경은 도시의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행도로는 물론, 지역의 전반적인 관리를 통하여서만 개선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특정 부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던 보행환경 연구들을 종합하여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지역 환경을 통합적, 구체적으로 다를 수 있는 지구단위계획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지구단위계획은 지구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계획이 가능하므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계획을 세우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광범위하고 일률적인 도시계획 방식으로는 이러한 보행환경에 관한 상세한 고려가 불가능하였으나 지구단위계획은 지역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보행환경 계획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단위계획의 관리 수법을 통하여 지역 전체의 전반적인 보행환경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계획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 부문별로 이루어져왔던 보행환경 계획요소들을 종합, 체계화하였다. (2) 지구단위계획에서의 보행환경 계획목표를 수립하였다. (3) 사례조사를 통하여 현재 수립된 지구단위계획들의 보행환경 계획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4) 지구단위계획 작성 시 기준이 될 수 있는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 지구단위계획과 보행환경 계획요소의 고찰은 관련 선행 연구의 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지구단위계획의 평가를 위한 사례조사는 도시계획법 개정 이후 작성된 7개 지구의 지구단위계획 도서의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지구단위계획이 보행환경을 계획하기에 적합한 계획요소들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성된 지구단위계획은 지구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획일적이라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사용되는 계획요소도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의 작성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1) 지구특성에 맞는 적절한 계획목표를 수립한다. 지구단위계획이 다루는 모든 계획요소를 보행과 관련하여 무분별하게 사용하기 보다는 지구특성에 맞는 계획목표로 구체적인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 목표를 실현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2) 다루고자 하는 계획요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계획요소의 언급만으로는 보행환경 계획이 마련되어졌다고 할 수 없으며, 계획요소를 실제 반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기술하도록 한다. (3) 각 계획요소를 중요도로 구분하고 실행순서를 작성한다. 각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실현되기까지의 비용, 시간소요를 고려하여 지구단위계획의 운용지침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환경 개선의 방안으로서 지구단위계획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은 시행 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립된 계획의 실현을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작성된 계획의 내용 자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실현된 계획방안의 검증과 재정비에 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comprehensive ways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by reviewing and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Since various factors come into play and affect pedestrian environment, it can be improved only through comprehensive management of districts. To conduct the research, the District Unit Planning of DUP was applied since it specifically deals with various issues affecting the district environment. The DUP is effective to establish comprehensive plans for overall enhanc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to set up concrete plans that fit into unique conditions and special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To establish comprehensive plans for the enhanc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by applying the DUP, the study follows several methods as below. First, systemize and integrate factors that affect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to make up for previous researches that have overlooked comprehensive pictures and focused only on certain aspects of pedestrian environment. Second, establish objective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ct Unit Planning. Third, conduct a case study to analyze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nd identify problems. Forth, establish guidelines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to provide a basis for the District Unit Planning. The study researched previous studies to find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ct Unit Planning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 case study to assess the DUP was conducted by studying books and literatures about the District Unit Planning for 7 Districts. They were written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lanning Code. After studying previous DUPs,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many of them have taken one-size-fits-all and uniformed standards, failing to meet different conditions of each district. Second, planning factors were broad and not specific. To compensat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study suggests several points to establish effective District Unit Planning. First, establish appropriate plan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s unique conditions of each district. Instead of recklessly applying all factors of DUP, establish concrete goals and set priorities accordingly. Make specific district unit plans to accomplish the goals. Second, make detailed descriptions on various factors which will be considered in planning. Avoid lining up factors. Concrete methods and specific criteria must be set up to implement the plan. Third, set priorities among various planning factors and decide which plan will be implemented first. While doing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UP guideline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s the importance of each planning factors, cost and time to materialize each of them. In addition, related local laws should be considered to add diversity to the DUP In conclusion, the study has focused on reviewing various applications of District Unit Planning and analyzing planning factors as a way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In fact, it usually takes 10 years for urban planning to be implemented after being established. The District Unit Planning has been implemented for only a few year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verify every planning factor of the DUP. It may be desirable if future analysis on the verification of planning guidelines is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제2장 보행환경과 지구단위계획에 관한 이론고찰 = 6 2.1. 지구단위계획제도에 관한 일반적 고찰 = 6 2.1.1. 지구단위계획제도의 개요 = 6 2.1.2. 지구단위계획의 내용 = 8 2.1.3. 지구단위계획의 현황 및 문제점 고찰 = 11 2.2. 보행환경에 관한 일반적 고찰 및 계획요소 체계화 = 13 2.2.1. 보행환경의 의미고찰 = 13 2.2.2. 보행환경 계획요소 = 14 2.2.3. 보행환경 계획 요소의 체계화 = 17 제3장 지구단위계획에서의 보행환경 계획 = 19 3.1.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의 적용 검토 = 19 3.2. 지구단위계획에서의 보행환경 계획목표 = 20 3.3. 지구단위계획에서 다루어지는 보행환경 계획요소 = 25 제4장 사례조사 = 28 4.1. 사례지구 개요 = 28 4.2. 사례지구의 현황 및 지구단위계획 결정도면에 나타난 계획 분석 = 30 4.2.1. 구로구 구로공단역 (대림지구) = 30 4.2.2. 동작구 신대방 = 31 4.2.3. 서대문구 아현 (북아현동 일대) = 32 4.2.4. 성동구 금호 = 34 4.2.5. 영둥포구 대림 = 35 4.2.6. 종로구 동대문 = 36 4.2.7. 중랑구 묵동 = 37 4.3. 사례지구의 계획목표 분석 = 38 4.3.1. 토지이용 및 시설에 관한 계획에서 나타난 보행환경 계획목표 = 39 4.3.2. 획지 및 건축물 등에 관한 계획에서 나타난 보행환경 계획목표 = 39 4.4. 사례지구의 계획요소 분석 = 43 4.4.1. 도시기반시설의 계획요소 분석 = 43 4.4.2. 건축물과 대지의 계획요소 분석 = 47 4.4.3. 기타 지역특성 및 경관 계획요소의 분석 = 49 4.5. 소결 = 52 제5장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의 평가 및 제안 = 54 5.1. 지구단위계획에서 수립된 보행환경 계획의 문제점 분석 = 54 5.2. 지구단위계획에서의 보행환경 계획을 위한 제안 = 55 제6장 결론 = 59 참고문헌 = 61 부록 사례지구의 지구단위계획 내용 = 65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77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c.subject지구단위계획제도-
dc.subject보행환경-
dc.subjectPedestrian Environment-
dc.title지구단위계획제도를 기반으로 한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on the Basis of District Unit Planning-
dc.format.page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