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검사조정으로서의 문항대독이 시각장애 중학생의 교육성취도 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

Title
검사조정으로서의 문항대독이 시각장애 중학생의 교육성취도 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ad Aloud as a Test Accommodation on Test Score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ers with Visual Impairments
Authors
김정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학생들은 의사소통이나 정보습득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학업성취에 대한 평가를 받을 때, 평가 문항의 제시방법,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형태, 검사를 허용하는 시간, 검사가 이루어지는 환경 등에 있어서 조정이 불가피하며, 현재 이러한 검사조정은 장애유형별로 범주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범주화된 조정은 평가를 받는 장애학생들의 개별적인 욕구를 충족하기에 부족하며, 특히 여러 연구들에서 시각장애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시험지의 점역 또는 확대, 시간 연장 등의 기본적인 검사조정이 불충분함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정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청각자극을 수단으로 하는 녹음테이프나 문항대독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피험자가 기기를 직접 작동해야 하는 녹음테이프에 의한 조정보다 감독관이 문항을 직접 읽어주는 문항대독에 대한 연구가 더 지속적이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독자에 의한 방법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공식적으로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점자를 사용하는 수험생에 대하여 1교시와 4교시에 문제가 녹음된 테이프를 제공하는 검사조정이 실시되고 있으나, 대독에이 장애학생의 검사 과제 수행 결과(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문항대독이 시각장애 중학생의 교육성취도 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보다 합리적인 검사조정방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항대독이 제공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간 교육성취도 평가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국어와 수학 각각에 대해 알아보았고, 둘째, 문항대독이 제공된 실험집단 내의 점자사용 학생들과 일반문자인 묵자사용 학생들 간에는 교육성취도 평가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국어와 수학 각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 인천 지역에 소재한 3개 시각장애 학교와 저시력 특수학급이 개설된 1개 학교에 재학 중인 단순시각장애 중학생 52명이 참여하였고, 대상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의 일정한 장소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시각장애 유형과 그에 따라 그들이 사용하는 문자매체(점자 또는 묵자)에 의해, 학생들을 학업수행 수준이 유사한 두 집단으로 나누고,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시험지 점역 또는 확대, 시간 연장 등의 기본적인 검사조정과 함께 문항대독이 제공되었고, 통제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기본적인 검사조정만이 제공되었다. 검사 도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출제한 국가수준교육성취도 평가 초등학교 6학년 국어와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력 진단 수학 문제지를 활용하였으며, 검사지의 학년수준은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대상학생들 모두가 풀이 가능한 것으로 선정한 것인데, 다만 수학의 경우 선행연구들에서 대상학생들의 직전학년 수준 문제지를 도구를 사용했을 때 성취수준이 너무 낮아 바닥효과를 나타내, 측정이 불가능하였던 사례를 참조하여, 초등학교 3학년 문제지를 활용하였다. 예비검사에서는 2005년도 문제지를, 본 검사에서는 2006년도 문제지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인 검사조정과 문항대독이 제공된 실험집단과 기본적인 검사조정만 제공된 통제집단 간에 국어와 수학 각각의 평가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문항대독이 제공된 실험집단 내에서 점자를 사용하는 학생들과 일반문자인 묵자를 사용하는 학생들 간에는 국어와 수학 각각의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문항대독은 촉각이나 보조기구 등을 사용하므로 읽기 및 쓰기 속도가 저하되고, 도형이나 지도 또는 긴 지문이 포함된 문제를 풀이할 때 어려움이 있는 시각장애학생들이 평가를 받을 때, 시각손상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켜, 이들의 교육성취도 평가 점수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검사조정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즉, 문항대독을 통해 시각장애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 학생들의 학습상황이나 학습한 것을 평가할 때 대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들이 축적됨으로써 시각장애학생들에게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검사조정을 제공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 aloud as a test accommodation on academic test scor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pursuit of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students on verbal and on mathematics in relation to read aloud accommodation and whether there were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of students on verbal and mathematics in relation to learning medium(brail or large print) both with read aloud accommod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 of verbal and mathematics by 52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blind or who have low vision with 2005 and 2006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program as instrument. Subtest without read aloud was administrated for grouping the participants as their academic level and learning medium(brail or large print). After this, students of treatment group completed the main test with their appropriate medium(brail or large print), time extension and with read aloud accommodation, and those of control group did it with their medium(brail or large print) time extension and without read alou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students who were tested using read aloud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did without this accommodation both on verbal and on mathema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is difference. Second, test scor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brail users and large print users in treatment group both on verbal and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result, this study implicates that the measurement for the academic ability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can be conducted accurately with read alou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